법성 ()

불교
개념
사물이나 현상의 본성이나 습관성, 규칙성, 진리성을 의미하는 불교 용어.
이칭
이칭
법이(法爾)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바카라 필승법은 사물이나 현상의 본성이나 습관성, 규칙성, 진리성을 의미하는 불교 용어이다. 어원적으로는 사물이나 현상을 뜻하는 법의 본성이라는 의미를 갖지만, 실제 용례는 개체가 가진 습관성이나 자연스런 성질 등 일상적인 의미에서 철학적인 의미까지 다양하다. 특히 대승불교에서 공성과 동일시되면서 진리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정의
사물이나 현상의 본성이나 습관성, 규칙성, 진리성을 의미하는 불교 용어.
연원 및 변천

바카라 필승법이란, 산스크리트어로는 dharmatā로,법(法, dharma)에 추상 명사 어미 성(性, tā)을 첨가해 만든 용어이다. 추상 명사로서의 바카라 필승법 개념은 법, 곧 사물이나 현상이 가진 고유한 성격 곧 본성을 의미한다. 이때 본성이란 실체적 개념이라기보다는 그 사물이 가진 성격이나 성질, 습관성이나 규칙성 등을 의미한다. 바카라 필승법은 일상적인 용법부터 철학적인 용법까지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일상적인 용법으로, 초기 경전에는 뱀이 자신이 가진 습관에 따라 수행자의 움막에 들어간다거나, 돌이 굴러떨어지는 것은 저절로 굴러떨어지는 것이 아니라주2가 굴렸기 때문이라는 표현이 나타난다. 이때 ‘습관’ 혹은 ‘저절로’라는 용어가 바카라 필승법이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또한 어떤 현상이 정해진 방식으로 발생하는 것도 바카라 필승법이라고 한다. 해가 동쪽에서 뜨고 서쪽으로 지거나, 계절이 일정한 순서대로 바뀌는 자연 현상도 바카라 필승법이라고 간주하였다. 나아가주4을 조건으로주5이 있고, 행을 조건으로주6이 있으며, 내지는주7을 조건으로주8가 있다는주3도 규칙성과 법칙성이라는 의미에서 바카라 필승법이라고 한다.

바카라 필승법 개념이 가진 규칙성과 법칙성의 측면은 철학적으로 발전하여 진리 개념과 동일시된다. 이러한 진리 개념으로서 규칙성과 법칙성은 초기 경전에서는슬롯사이트 업카지노C5EC;슬롯사이트 업카지노B798;가 세상에 태어나든 태어나지 않든 언제나 존재하는 법칙으로서 법주성(法住性, dhamma-ṭṭhitatā) 혹은 법정성(法定性, dhamma-niyāmatā)이라고 하였다. 바카라 필승법을 법주성 및 법정성과 나란히 언급하는 초기 경전도 있다.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C544;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BE44;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B2EC;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B9C8;의 대표 논서인주9은 법주성 및 법정성과 동일시되는 바카라 필승법을 법의 보편성(dharma-jāti)이자 법의 규칙성(dharmāṇāṃ śailiḥ)이라고 정의한다.

진리 개념과 동일시되는 바카라 필승법은 아비달마불교에서주12을 불설로서 인정하게 하는 기준의 하나가 되기도 하였다. 석가모니가 남긴주13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요구됨에 따라, 경과 율 외에 바카라 필승법에 위배되지 않아야 불설로서 인정하였다. 이때 바카라 필승법은 성인의 가르침〔진실〕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의미가 된다. 때로는카지노 바카라BC95;카지노 바카라C0C1;이라고도 표현된다. 이런 의미에서 바카라 필승법은 정리(正理,주1라는 의미로 일반화되고, 불설의 진위를 판단하는 가장 우선적 기준이 된다.

바카라 필승법은온라인카지노B300;온라인카지노C2B9;온라인카지노BD88;온라인카지노AD50;에 들어와서 철학적 의미를주14개념이 되면서 다음과 같이 다양화된다.

카지노 꽁D654;카지노 꽁C5C4;카지노 꽁ACBD;에서는 ‘존재를 존재이게 하는 것’이라는 의미뿐 아니라, ‘존재의 진실로서 불변하는 본성’의 의미로 사용된다. 『십지경론』에서는주15라는 용어로 한역되기도 한다.

주16주17을 번역할 때는 'sarva-dharmāṇāṃ prakṛtiḥ'를 바카라 필승법으로 한역했으며 이 역시 존재의 자성을 의미한다.

바카라 무료 사이트C720;바카라 무료 사이트B9C8;바카라 무료 사이트ACBD;에서는토토 바카라C9C4;토토 바카라C5EC;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④ 『보성론』에서는 법계(法界,주18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내용

인도 대승불교에서 바카라 필승법

대승불교에 이르러 바카라 필승법 개념은 큰 전환을 맞게 된다. 그것은 전통적인 규칙성 혹은 법칙성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주10혹은 진여와 동일시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것은 바카라 필승법의 어원적 의미의 측면이 중점적으로 강조된 것이다.

최초의먹튀 없는 바카라 사이트B300;먹튀 없는 바카라 사이트C2B9;경전인 『팔천송반야』에서 바카라 필승법이라는 용어는 ‘법들의 바카라 필승법’ 혹은 ‘일체법의 바카라 필승법’이라는 형태로 자주 나타나며, 마술과 같은 것, 과거・현재・미래라는 삼세를 벗어난 것, 분별을 벗어난 것, 언설로 표현할 수 없는 것, 심오한 것 등으로 표현된다. 이것은 바카라 필승법을토토 바카라 사이트BC18;토토 바카라 사이트C57C;토토 바카라 사이트ACBD;의 핵심 개념인 공성 및 진여와 동일시하는 것이다.

카지노 사이트AE08;카지노 사이트AC15;카지노 사이트ACBD;에서는 한발 더 나아가 색깔이나 소리로 붓다를 보는 자는 진정한 붓다를 보지 못하고, 법이라는 관점에서 붓다를 보아야 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바카라 필승법은 분별의 대상이 아니며, 분별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바카라 필승법은 붓다의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BC95;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C2E0;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다.

『반야경』의 공 사상을 이론화한주19의 『중론』 제18장 「자아의 관찰」에서 바카라 필승법은바카라사이트C5F4;바카라사이트BC18;과 동일시되며, 발생하지도 않고 소멸하지도 않는 것이라고

유가행파주20의 문헌인 『변중변론』 제1장 「상품」 에서 바카라 필승법은 공성의 특징을 설명하는 가운데 법과 같지도 다르지도 않은 것이라고 한다. 마치 어떤 사물의 무상성이 그 사물과 같지도 다르지도 않는 것과 같다. 그것은 바카라 필승법이 무상성과 마찬가지로 사물의 보편적 특징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제3장 「진실품」에서 바카라 필승법은 삼자성설 중 본래 완성된 본성과 동일시된다. 곧슬롯사이트 지니C624;슬롯사이트 지니C628;주21은 가설된 본성・다른 것에 의존하는 본성・본래 완성된 본성이라는 세 측면으로 나뉘는데 이 중 본래 완성된 본성이 바로 바카라 필승법의 측면이라고 한다. 본래 완성된 본성은 『반야경』에서 유래하는 공성과 진여의 동의어이기도 하므로 결국 유가행파도 바카라 필승법을 공성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된다.

중국 불교의 바카라 필승법론

중국 불교사에서 승조(僧肇)는 『조론(肇論)』에서 바카라 필승법을 ‘바카라 레전드ACF5;’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였다. 지의(智顗, 538597)는 바카라 필승법을바카라사이트C911;바카라사이트B3C4;로 정의한다. 특히 바카라 필승법이라는 개념은바카라 토토D654;바카라 토토C5C4;바카라 토토C885;에서 자주 사용한다. 후기 지론종사이며 화엄종에 많은 영향을 미친 혜원(慧遠,592)주22주23에서 바카라 필승법을 풀이하면서 존재 그 자체가 법이고, 법의 본체를 성이라고 한다고 정의한다. 그리고 바카라 필승법에 대해서 사물인 바카라 필승법과 실바카라 필승법으로 나누기도 한다. 땅의 견고한 성질, 물의 습한 성질이 사물인 바카라 필승법이고, 모든 존재의 진실한 모습을 진실한 바카라 필승법이라고 정의한다. 나아가 사바카라 필승법은 세속의 진리이고, 실바카라 필승법은카지노사이트추천CD9C;카지노사이트추천C138;카지노사이트추천AC04;의 진리라고 이해한다.

화엄종의 지엄(智儼,주24은 만년의 저술인 『공목장(孔目章)』에서 바카라 필승법이라는 용어를 즐겨 사용한다. 그는 법신에 대해서 모든 것이 여여하고, 그것을 근본으로 일체의 존재가 성립하지만, 이것은 지혜의 대상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왜냐하면 분별할 수 없는 공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 공을 본성으로 하는 것이 바카라 필승법이다. 이런 점에서 초기 중국 불교의 바카라 필승법에 대한 사유를 계승함을 알 수 있다.

지엄의 제자 법장(法藏,주26은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에서 바카라 필승법은슬롯사이트 꽁머니B300;슬롯사이트 꽁머니C2B9;슬롯사이트 꽁머니AE30;슬롯사이트 꽁머니C2E0;슬롯사이트 꽁머니B860;에서 말하는주27를 의미한다고 본다. 체대는 존재의 참다운 본체를 의미하며, 일체법의 본성이어서 오염된 것과 깨끗한 것, 혹은 인간과 사물에 보편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본성이라고 표현한다. 이로써 바카라 필승법에 여래장의 의미가 부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징관(澄觀,주28은 바카라 필승법의 법은 차별된 모든 법을 의미하고, 성은 그 법의 의거가 되는 체성으로 설명한다. 즉 존재의 체성이 바카라 필승법인 것이다. 그런데 이 바카라 필승법은 본성이 없어 본래 생겨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변치 않는 불변(不變)의 의미를 지니지만, 존재에 따라 생기하는주29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설명된다. 징관에게도 바카라 필승법은주30과 같은 의미이다.

한편카지노 슬롯머신 규칙120;카지노 슬롯머신 규칙885;의 풍을 잇는 화엄종 종밀(宗密,주31바카라 전략C120;바카라 전략C6D0에서 ‘일체 현상을 관통하고 있는 절대 진리’의 의미로 사용하는데, 거의 동시기에 활동한 선종 승려 임제 의현(臨濟義玄,주32주33에서는 ‘진실 그 자체’로 이해하여 바카라 필승법이 존재의 진실에 대한 설명적 의미에서 ‘진리 자체’로 변천해 가는 양상을 읽을 수 있다.

원효와 의상의 바카라 필승법론

한국 불교에서는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C6D0를 통해서 바카라 필승법 개념의 수용을 볼 수 있다. 원효는마카오 카지노 바카라AE08;마카오에서 부처이든 부처가 없는 무성이든 바카라 필승법은 항상 변함이 없다고 보며, 이러한 바카라 필승법을 결정성이라고 표현하였다. 즉 일체의 존재에 항상 변함없이 존재하는 결정적 성품인데, 그것은 다름 아닌 공이며 깨달음이라고주34. 바카라 필승법에 결정성을 부여한 것은 『금강삼매경』의 영향을 받은 원효만의 바카라 필승법 이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슬롯 머신 일러스트B300;슬롯에서는 바카라 필승법이 존재의 본성으로서바카라사이트C5F4;바카라사이트BC18;과 동일시된다. 마음의 진실이 바카라 필승법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원효가 말하는 마음은주35이다. 『열반종요(涅槃宗要)』에서는 바카라 필승법이 상주법이며,슬롯사이트 2025년C131;슬롯사이트 2025년BB38;이나카지노 게임C5F0;카지노 게임AC01;등의슬롯사이트C774;슬롯사이트C2B9;이나토토 추천C721;토토 추천B3C4;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C724;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D68C;하는 일체의 대상과주36의 죄를 저지른 인간에게도 평등하게 내재한다고 명언한다. 이뿐만 아니라 모든 사물에도 보편적으로 평등하게 존재한다고 본다. 원효는 '진여 바카라 필승법'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즉 바카라 필승법을 진여와 동일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바카라 필승법의 평등함을 보고서야 나의 몸이 법신과 다르지 않음을 깨달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즉 바카라 필승법은 본래 갖추어져 있지만, 그것을 볼 수 있을 때만 의미가 있다는 실천적 해석을 덧붙임을 알 수 있다.

슬롯 무료 사이트 신라(新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바카라 두바이C2B9;바카라 두바이B824;표원은우리 카지노D654;우리 카지노C5C4;우리에서 모든 법이 혼융하여 걸림 없는 원인의 하나로서 '바카라 필승법 연기'를 들고 있다. 원효는 이때 바카라 필승법은 ‘본성을 벗어난’ 의미를 지닌다고 본다. 즉 일체 존재의 본성에 대한 집착을 벗어남으로써 걸림 없는 존재 세계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동아시아 불교의 독특한 개념인 바카라 필승법 연기가 원효에서 출발한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이후 이 바카라 필승법 연기라는 개념은주37과 법장의 제자 혜원 그리고 종밀 등이 화엄종에서 사용한다. 법장의 『화엄교분기(華嚴敎分記)』에 따르면, 존재들 간에 걸림 없는 연기가 성립하는 것은 존재가 본성이 없음을 기본으로 하며, 이것이 바카라 필승법 연기이다. 이로 인해 존재들 간에 모순이 없고, 존재의 능력도 서로 장애가 없이 발휘된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사태를 범부들이 이해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카라 필승법 연기는 일체 모든 곳에 공통되는 사태라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법장이 사용하는 바카라 필승법 연기는 원효가 사용한 개념의 기반 아래 전개된다.

원효와 동시대에 활약한카지노 한국인C758;카지노바카라 방법D654;바카라 방법C5C4토토 로얄AC8C;토토 로얄C1A1;은 ‘바카라 필승법게’라고 일반에 알려져 있다. 존재의 본성을 노래하는 시이다. 의상은 시에서 바카라 필승법은 원융하여 두 가지 양상이 없다고 한다. 그리고 그 게송을 스스로 해석하여 분별이 없는 것을 양상으로 한다. 평상시 그냥 중도에 있으므로 분별이 없는 것이 아님이 없다고 명언한다. 이와 같이 바카라 필승법을 중도와 연결시키는 것은 이미 중국에서 지의(智顗)가 강조하던 정의이지만, 일체 존재가 특별한 작위 없이 ‘평상시 그냥’ 중도에 속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한 것이 의상만의 특징이다. 즉, 일상생활이 모두 바카라 필승법의 모습으로서의 중도에 속해 있다는 의미가 된다.

의의와 평가

바카라 필승법은 사물의 본성이라는 어원적 의미를 갖고 있지만, 초기 경전에서는 습관성, 규칙성 등의 일상적 용법으로 사용되거나,카지노 슬롯 머신C5F0;카지노 슬롯 머신AE30;의 법칙성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의미는 대승불교에서 크게 일신하여 대승불교의 가장 핵심적 주장인 공성 및 진여와 동의어로 사용되게 되었다. 이 개념은 사물의 본성이라는 어원적 의미에 부합한다.

중국 불교에서 바카라 필승법 개념은 존재의 본성이라는 의미가 부여되면서, 존재가 존재이게 하는 근원에서, 진리 자체로 변화한다. 이와 같이 철학적 의미를 갖는 바카라 필승법 개념은 신라 원효에 이르러 존재의 변함없고 보편적인 ‘결정된 성품’이라는 속성이 부가되었다. 다만, 바카라 필승법은 이를 보는 자만이 알 수 있다는 것이 원효의 생각이었다. 이에 대해서 의상은 바카라 필승법은 ‘특별히’가 아니고, ‘평상시’, ‘그냥’ 중도의 모습으로 존재한다고 설명한다는 점에서 신라 불교가 지닌 실천적 특성이 보인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의상의 바카라 필승법 이해는 고려시대우리 카지노ADE0;우리 카지노C5EC;에게도 계승되어 ‘우리 평상시의 몸(오척신)’이 바카라 필승법과 동일하다고 언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카라 필승법 개념은 한국 불교에서 『금강삼매경』과 결합되거나, 나아가서는 '일상의 부처'라는 의미까지 전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화엄경문의요결문답((華嚴經文義要決問答)』
『공목장(孔目章)』
『화엄경소(華嚴經疏)』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
『대승의장(大乘義章)』
『법계도기총수록(法界圖記叢髓錄)』

단행본

Vaidya. P. L., (BST)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with haribhadra's commemtary called Āloka 4(Darbhanga: The Mithila Institute of Post‐Graduate studies and Research in Sanskrit Learning, 1960) -Vaidya. P. L., Vajracchedikā nāma triśatikā prajñāpāramitā: Mahāyāna-sūtra-saṃgraha part 1(Buddhist Sanskrit Text No.17, The Mithila Institute, 1961)
Gadjin M. Nagao, Madhyāntavibhāgabhāṣya(Tokyo: Suzuki Research Foundation, 1964)
Pradhan P., ed. Abhidharmakośabhāṣya, Tibetan Sanskrit Work Series 8(Patna, 1967)
Louis de La Vallée Poussin, (Bibliotheca Buddhica)Madhyamakavṛttiḥ: Mūlamadhyamakakārikās (Mādhyamikasūtras) de Nāgārjuna avec la Prasannapadā Commentaire de Candrakīrti 4(St. Pétersbourg, Osnabrück: Bibio Verlag, 1970)
Rahula·Walpora, Wrong Notions of Dharmatā(Buddhist Studies in Honour of I. B. Horner, Boston: Reidel, 1974)
中村元, 『佛敎語大辭典』(東京書籍, 2002)
Wen ZHAO, The Conceptions of Seeing the Buddha and Buddha Embodiments in Early Prajñāpāramitā Literature(München: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2018)

논문

권오민, 「바카라 필승법(法性): 성전의 기준과 불성 정의」(『문학사학철학』 제31·32호, 한국불교사연구소, 2012)
주석
주1

올바른 도리.우리말샘

주2

석가모니의 사촌 동생(?~?). 출가하여 석가모니의 제자가 되었다가 뒤에 이반(離反)하여 불교 교단에 대항하였다고 한다.우리말샘

주3

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우리말샘

주4

십이 연기의 하나. 잘못된 의견이나 집착 때문에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마음의 상태를 이른다. 모든 번뇌의 근원이 된다.우리말샘

주5

모든 변화하는 존재.우리말샘

주6

십이 연기의 하나. 대상을 다르게 아는 마음의 작용을 이른다.우리말샘

주7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우리말샘

주8

늙어서 죽음.우리말샘

주9

5세기 무렵 인도의 승려 바수반두가 저술한 불교 경전. 정식 이름은 아비달마구사론이다. 중국 당나라의 현장(玄奘)이 한역하였으며, 소승 불교의 기초적 논부(論部) 가운데 하나로 중시되어 왔다. 30권.우리말샘

주10

‘진여’를 달리 이르는 말. 공(空)의 이치를 체득할 때에 나타나는 실성(實性)이라는 뜻이다.우리말샘

주11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우주 만유의 본체인 평등하고 차별이 없는 절대의 진리를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12

부처가 가르친 말.우리말샘

주13

옛사람이 남긴 법.우리말샘

주14

어떤 이론이나 사상 따위를 담고 있다.우리말샘

주15

우주 만유의 본체.우리말샘

주16

중국 오호 십육국 때의 인도의 승려(344~413). 수많은 불전을 한역(漢譯)하여 중국 불교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번역한 책에 ≪법화경≫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17

모두 10권으로 된 반야경.우리말샘

주18

우주 만법의 본체인 진여(眞如).우리말샘

주19

‘나가르주나’의 한자식 이름.우리말샘

주20

인도에서 성하였던 대승 불교의 한 파. 법상종이 이를 계승하였다.우리말샘

주21

오온(五蘊)의 하나. 인간 또는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적인 부분을 이른다.우리말샘

주22

중국 수나라의 승려(523~592). 속성은 이(李). 지론종(地論宗) 남도파(南道派)에 속하며 해석학의 제일인자로, 578년에 북주 무제의 불교 금지령에 적극 반대하여 불법을 지켰다. 저서에 ≪대승의장≫ 28권이 있다.우리말샘

주23

중국 수나라의 혜원이 지은 일종의 불교 용어 사전. 내용을 교법(敎法), 의법(義法), 염법(染法), 정법(淨法), 잡법(雜法)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다시 222개 부문으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하였다.우리말샘

주24

중국 수나라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의 승려(602~668). 속성(俗姓)은 조(趙). 존호는 지상대사(至相大師). 화엄종의 제2조로, 육상원융ㆍ십현 연기의 뜻을 설교하여 화엄종을 널리 알렸다. 저서에 ≪수현기(搜玄記)≫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25

초목이 무성하다.우리말샘

주26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643~712). 속성은 강(康). 호는 현수(賢首). 화엄종의 제3조로, 지엄에게서 화엄경을 배웠다. 670년에 칙령에 의하여 출가한 뒤 교학의 대성에 힘썼으며 현장, 일조, 실우난타 등의 역경(譯經) 사업에도 참여하였다. 저서에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27

삼대의 하나. 만유의 본체인 진여가 유일ㆍ절대한 것으로서 우주에 편만하여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우리말샘

주28

중국 당나라의 승려(738~839). 속성은 하후(夏候). 존칭은 청량 대사(淸涼大師)ㆍ화엄 보살. 화엄종의 제4대조로, 법장(法藏)의 화엄 교학을 부흥하였다. 저서에 ≪화엄경소≫ 60권,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 90권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29

인연에 따라서 현상을 일으킴.우리말샘

주30

미계(迷界)에 있는 진여(眞如). 미계의 사물은 모두 진여에 섭수(攝受)되었으므로 이렇게 일컫고, 진여가 바뀌어 미계의 사물이 된 때에는 그 본성인 여래의 덕이 번뇌 망상에 덮이지 않게 되었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또한 미계의 진여는 그 덕이 숨겨져 있을지언정 아주 없어진 것이 아니고 중생이 여래의 본성과 덕을 갖추고 있으므로 이렇게 칭한다.우리말샘

주31

중국 당나라의 승려(780~840). 화엄종의 제5조로 규봉 대사(圭峯大師)라 칭하였다. 교선 일치(敎禪一致)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저서에 ≪원인론(原人論)≫, ≪원각경소(圓覺經疏)≫, ≪우란분경소(盂蘭盆經疏)≫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32

중국 당나라의 승려(?~867). 속성은 형(邢). 시호는 혜조선사(慧照禪師). 임제종의 개조(開祖)로, 황벽(黃檗)에게 불법을 배우고 진주성(鎭州城)의 임제원(臨濟院)에 정착하여 선풍(禪風)을 전파하였다. 제자 혜연(慧然)이 편찬한 ≪임제록≫에 그의 언행이 전한다.우리말샘

주33

중국 당나라 때의 불교 서적. 임제종의 시조인 임제 의현 선사의 법어와 언행을 제자인 삼성 혜연(三聖慧然)이 편집한 것으로 어록(語錄)ㆍ감변(勘辯)ㆍ행록(行錄)의 3부로 되어 있다. 2권.우리말샘

주34

분명히 말하다.우리말샘

주35

자비로운 부처의 마음.우리말샘

주36

주군(主君),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를 시해하는 일.우리말샘

주37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643~712). 속성은 강(康). 호는 현수(賢首). 화엄종의 제3조로, 지엄에게서 화엄경을 배웠다. 670년에 칙령에 의하여 출가한 뒤 교학의 대성에 힘썼으며 현장, 일조, 실우난타 등의 역경(譯經) 사업에도 참여하였다. 저서에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