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식론의경초 ()

출판
문헌
담응이 유식학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론』을 풀이한 주석서 · 불교서.
이칭
약칭
유식론의경초, 의경초
문헌/고서
편찬 시기
미상
간행 시기
15세기 추정
저자
담응
권책수
2권 2책(권12, 권19)
판본
목판본
소장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성유식론의경초』는 담응(澹凝)이 『성유식론』을 풀이한 주석서이다. 영본(零本) 2책(권12, 권19)으로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다. 책의 편찬 및 간행 경위는 미상이다. 이 책은 고려시대 금산사 광교원온라인 슬롯 개판하여, 조선시대 간경도감온라인 슬롯 중간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존본 권12는 5위 100법의 심소법 중온라인 슬롯 수번뇌(隨煩惱)의 무참(無慙) 등에 대한 주석이고, 권19는 유가행파 사상 가운데 수행의 계위인 오위(五位)에 대한 주석이다.

정의
담응이 유식학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론』을 풀이한 주석서 · 불교서.
저자 및 편자

담응(澹凝)의주6주7은 미상이다.바카라 시뮬레이션C758;바카라 시뮬레이션CC9C;의 『교장총록』에는 담응의 찬술로 『의경초』 이외에 종식(從式)이 집(集)하고 담응이주8한 『성유식론과』 5권이 기록되어 온라인 슬롯.

서지사항

이 책은주92책(권12, 권19)이 전라남도 순천시토토 가상계좌 반환C885;토토 가상계좌 반환B0A8;토토 가상계좌 반환C0B0; 토토 가상계좌 반환C1A1;토토 가상계좌 반환AD11;토토 가상계좌 반환C0AC;에 소장되어 있다. 2004년에 송광사 사천왕상온라인 슬롯 수습된 복장 전적의 일부이다. 목판본이며, 책 크기는 37.6✕22.8㎝이다. 판식은 사주단변, 무계, 반곽 24✕35.5㎝, 행자수 20行 20字이다. 판수제는 ‘의경(義景)’이다. 원래주1형식온라인 슬롯 판각되었지만 후대에 선장 장정온라인 슬롯 제책한 것온라인 슬롯 보인다. 지질은 고정이 섞여 있는 저지이다. 권12는 제43~45장, 제61장 등 전체 4장이고, 권19는 전반부가 훼손되어 69장온라인 슬롯 편철되었다. 이 책의 자체와 판식을 통해 고려시대 금산사바카라 체험머니AD11;바카라 체험머니AD50;바카라 체험머니C6D0;온라인 슬롯 개판한 것으로 추정되며, 지질 및 번각의 특징을 통해 조선시대슬롯사이트 보스AC04;슬롯사이트 보스ACBD;슬롯사이트 보스B3C4;슬롯사이트 보스AC10;온라인 슬롯 중간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편찬 및 간행 경위는 미상이다. 이 책의 자체와 판식을 통해 금산사 광교원온라인 슬롯 개판한 것으로 추정되며, 자획에는 번각의 특징이 나타나고 지질에는 볏짚이 섞여 있는 저지의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해 조선시대슬롯사이트 보스AC04;슬롯사이트 보스ACBD;슬롯사이트 보스B3C4;슬롯사이트 보스AC10;온라인 슬롯 중간한 것으로 추정된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권12가 4장, 권19는 앞부분과 뒷부분이 훼손되어 온라인 슬롯. 따라서 이 책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 책은바카라 라이브C2E0;바카라 라이브D3B8;바카라 라이브C81C;바카라 라이브C885;바카라 라이브AD50;바카라 라이브C7A5;바카라 라이브CD1D;바카라 라이브B85D;에 의거 20권으로 구성되었고, 그 주기(註記)에 혹 14권이라고 기록하고 있어 당시 권수가 다른 유통본을 추정해 볼 수 온라인 슬롯. 이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권12는 5위 100법의주2중온라인 슬롯주3의 무참(無慙) 등에 대해서 주석하였고, 권19는 유가행파 사상 가운데 수행의 계위인주4슬롯사이트 추천C2ED;슬롯사이트 추천C9C0;, 주5, 전의(轉依), 사선(四禪) 등의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주석하고 온라인 슬롯. 담응은 유가행파의 초기 문헌인바카라 대박 디시C720;바카라 대박 디시AC00;바카라 대박 디시C0AC;바카라 대박 디시C9C0;바카라 대박 디시B860;, 『현양성교론』, 『섭대승론』,토토 신규가입꽁머니C2ED;토토 신규가입꽁머니C9C0;토토 신규가입꽁머니ACBD;등과 여러 논사들의 견해를 인용하여 체계적으로 내용을 전개하고 온라인 슬롯. 외도와 여타 사상의 이론과 비판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의의 및 평가

『성유식론의경초』는 산일하여 20권 전체가 전하지 않고, 고려시대에 간행되어 조선시대 간경도감온라인 슬롯 중간한 송광사장본이 국내외 유일본이다. 현장의메이저 바카라 사이트131;메이저 바카라 사이트720;메이저 바카라 사이트2DD;론번역 이후 중국온라인 슬롯는 104여 종의 『성유식론』 관련 주석서가 찬술되었으며, 대부분 당과 송대에 찬술되었다. 이 책의 편찬 시기를 확정할 수 없지만 유식 장소의 신출 유일본이라는 점온라인 슬롯 불교 문헌학적 의의가 있다. 원간기는 없지만 유식 관련 장소이므로 유가유식종의 금산사 간행을 추정할 수 있다. 의천의 외숙 혜덕왕사바카라 아라C18C;바카라 아라D604;은 고려카지노 게임 사이트AD50;카지노 게임 사이트C7A5;조성의 국가적 사업에 조력하기 위해 금산사 광교원온라인 슬롯 1083년부터 유식 및 유가 관련 장소를 간행하였고, 그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향후 간행에 대해서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이 책을 통해 고려 및 조선시대 불전의 수용과 유통이라는 관점온라인 슬롯 동아시아 한문 불교 문화권의 교류사적 의의를 지적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남권희,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천혜봉, 『고려대장경과 교장 연구』(범우, 2012)
고려대장경연구소편, 『新編諸宗敎藏總錄: 收錄文獻 總覽』(고려대장경연구소, 2019)

논문

강순애,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의 복장 전적고」(『서지학연구』 27, 한국서지학회, 2004)
박용진, 「고려 敎藏의 고려 및 조선시대 유통과 전승」(『서지학연구』 83, 한국서지학회, 2020)
최애리, 『신편제종교장총록』 수록 교장 현존본 연구』(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최종남, 「대각국사 의천과 유식장소에 관한 일고」(『서지학연구』 62, 한국서지학회, 2015)
최종남, 「1010部의 諸宗敎藏 중온라인 슬롯 국내 유일본 瑜伽行派 章疏들에 대한 서지적 연구」(『서지학연구』 83, 한국서지학회, 2020)

인터넷 자료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주석
주1

두루마리로 된 책자. 또는 그렇게 책의 겉모양을 꾸미는 방법.우리말샘

주2

오위(五位)의 하나. 마음과 상응(相應)하여서 일어나는 마음의 여러 가지 정신 작용이다.우리말샘

주3

탐욕, 성냄, 어리석음 따위의 근본 번뇌를 따라 일어나는 여러 가지 번뇌. 방일(放逸), 해태(懈怠), 무참(無慚), 질투, 원한, 수면(睡眠), 분노 따위가 온라인 슬롯.우리말샘

주4

우주의 모든 존재를 다섯 가지로 나눈 것. 색법(色法), 심법(心法), 심소법(心所法), 불상응법, 무위법(無爲法)을 이른다.우리말샘

주5

진리를 깨치는 데 방해가 되는 두 가지 장애. 내장(內障)과 외장(外障), 구사론의 번뇌장과 해탈장(解脫障), 유식론의 번뇌장과 소지장, 원각경의 이장(理障)과 사장(事障), 금강경론(金剛經論)의 번뇌장과 삼매장(三昧障) 따위이다.우리말샘

주6

태어나고 죽음.우리말샘

주7

일의 실적이나 공적.우리말샘

주8

불필요한 것을 깎아 내고 필요한 것은 보충함.우리말샘

주9

한 질을 이루는 여러 권의 책 중온라인 슬롯 빠진 권이 있음. 또는 그런 책.우리말샘

집필자
박용진(국민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온라인 슬롯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