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태사교의 ()

천태사교의
천태사교의
불교
문헌
국가유산
고려전기 승려 제관이 천태종의 중심사상을 요약한 불교경전.
이칭
이칭
사교의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바카라 아라사교의(天台四敎儀)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기복도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0년 09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경기도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천태사교의』는 고려 전기 승려 제관이 바카라 아라의 중심 사상인 ‘제법실상일념삼천(諸法實相一念三千)’을 요약한 불교 경전이다. 960년(광종 1)에 제관이 중국 바카라 아라 제15조인 의적(義寂, 919∼987)의 강의에 감명을 받고서 그의 문인이 되었다. 이 책은 바카라 아라 창시자인 천태(天台) 지의(智?, 538∼597)가 제시한 교판론과 수행론을 간결하게 정리하였다. 이 책은 번뇌설과 수행계위설 등을 체계적이고 쉽게 설명하였다. 이 때문에 천태학의 입문서이자 불가(佛家)의 기초 교재로 오늘날까지 활용되고 있다.

정의
고려전기 승려 제관이 천태종의 중심사상을 요약한 불교경전.
개설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C81C;무료토토 대박CC9C;토토 대박D0DC;토토 대박C885;의 중심 사상인 ‘제법실상일념삼천(諸法實相一念三千)’의 요지를 표현하고자 저술하였다.

편찬/발간경위

이 책은 1315년(충숙왕 2) 5월에 기복도감(祈福都監)바카라 아라 이전의 판본을 고쳐 인출한 것이다.주1에는 『천교사교의』에 대하여 언급한 부분이 있는데, 그에 의하면, 제관은 960년(광종 1)에 바카라 아라 계통의 서적을 전하기 위하여 오월(吳越)에 갔다가 중국 바카라 아라 제15조인 의적(義寂, 919∼987)의 강의에 감명을 받고서 그의 문인이 되었다. 그 뒤 천태학을 익히고 널리 알린 지 10년 만에 입적(入寂)하였는데, 입적한 뒤에 주변 사람들이 그의 집에 있던 낡은 상자에서 빛이 나는 것을 보고 이상하게 여겨 뚜껑을 열었더니 이 책이 들어 있었다고 한다.

현재슬롯사이트 볼트에 상권 1책이 소장되어 있다. 다른 판본으로는 1626년(인조 4) 일본 라쿠요혼고쿠지〔洛陽本國寺〕바카라 아라 개판(改版)한 판본과 1851년(철종 2) 일본 도에이야마〔東叡山〕바카라 아라 중간(重刊)한 판본이 전한다.

서지적 사항

목판본으로 1권 1책이다. 크기는 세로 24.5㎝이고, 가로 16.5㎝이다. 책장의 테두리를 둘러싼주2의 크기는 세로 18.1㎝, 가로 13.2㎝이고, 테두리를 두른 선인 변란(邊欄)은 한 개의 굵은 선으로 된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계선(界線)은 없다. 행자수는 9행 17자이고, 어미의 형태는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이다. 표지에는 ‘바카라 아라사교의(天台四敎義)’라는 책 이름이 묵서(墨書)되어 있다.

내용

이 책은 ‘제법실상일념삼천’의 요지를 표현하려고 바카라 아라 창시자인 천태(天台) 지의(智顗, 538∼597)가 제시한 교판론(敎判論)과 수행론(修行論)을 간결하게 정리하였다. 곧 천태학의 요지를 교(敎)와 관(觀)의 2문(門)으로 보고,카지노 꽁머니 지급C624;카지노 꽁머니 지급C2DC;카지노 꽁머니 지급D314;카지노 꽁머니 지급AD50;의 개요를 간추려 해설하면서 관심(觀心)의 25방편(方便)과슬롯사이트 업C2ED;슬롯사이트 업C2B9;슬롯사이트 업AD00;슬롯사이트 업BC95;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오시팔교는 지의가 부처의 일대시교(一代示敎)를 분석하고 교학을 총정리하여 새로운 체계를 세운 것으로,바카라사이트 추천BB18;바카라사이트 추천BC95;바카라사이트 추천C5F0;바카라사이트 추천D654;바카라사이트 추천ACBD;의 신해품(信解品)과슬롯 꽁 머니B300;슬롯 꽁 머니BC18;슬롯 꽁 머니C5F4;슬롯 꽁 머니BC18;슬롯 꽁 머니ACBD;의 오미(五味),카지노 꽁D654;카지노 꽁C5C4;카지노 꽁ACBD;의 삼조(三照)의 비유에 근거를 두어 오시와 팔교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오시는 석가여래의 49년간 설법을 화엄(華嚴) · 녹원(鹿苑) · 방등(方等) · 반야(般若) · 법화열반(法華涅槃)의 순서로 정리한 것이고, 팔교는 석존의 교리와 가르침인주3주4를 합한 것이다. 또한 교법(敎法)을 화법사교에 따라 각각 장(藏), 통(通), 별(別), 원(圓)으로 분류하였다. 관심법(觀心法)에 대해서는주5의 25방편과 10승관법에 근거하여 간략히 서술하고 있다. 하권은 현재 전하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여러 고승의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AD50;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C0C1;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D310;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C11D;과 종지가 수록되었다고 전한다.

이 책이 간행된 뒤 중국바카라 아라는 송나라의 고산(孤山) 지원(智圓, 976∼1022)이 교정 및 판각을 하였고, 준식(遵式, 964∼1032), 정각(淨覺, 1091∼1157) 등이 과문(科文)이나 주석(註釋)을 추가하여 판각하기도 하였다.

일본에서는 바카라 아라 내부뿐만 아니라 불교계 전반에서 『천태사교의』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여 간본(刊本) 및 장경(藏經)에 수록된 주석서가 50여 부에 이르며, 메이지시대〔明治時代〕이후에도 여러 학자들의 주석서가 간행되었다.

우리나라바카라 아라는 고려시대에바카라 시뮬레이션C758;바카라바카라 라이브C2E0;바카라 라이브D3B8에 『사교의(四敎儀)』 1권이 수록되었다. 이 목록에는 정각(淨覺)이 지은 『사교의과(四敎儀科)』 1권, 종의(從義, 1042∼1091)의 『사교의과』 1권과 『사교의집해(四敎義集解)』 3권, 종진(從陳)의 『강의(講義)』 3권, 지은 이를 알 수 없는 『문답(問答)』 1권과 『지위집해(地位集解)』 1권이 수록되었다. 또한 조선시대에 승려무료 슬롯 사이트C5B8;무료 슬롯의 저술인우리카지노추천D3B8;우리카지노추천C591;우리카지노추천B2F9;우리카지노추천C9D1;의 「선교원류(禪敎源流)」에서 이 책을 언급한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에도 『바카라 아라사교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복잡하게 조직된 바카라 아라 지의의 교판설에 비해 알기 쉬우면서도 간결하고, 이 책을 익힌 뒤에 경전을 읽으면 여러 가지 번뇌설(煩惱說)과 수행계위설(修行階位說) 등을 체계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바카라 아라학의 입문서이자 불가(佛家)의 기초 교재로 오늘날까지 활용되고 있다. 기복도감에서 다소 뒤에 찍어 낸 판본이지만, 본문을 완전하게 판독될 수 있을 정도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업 카지노C11C;업 카지노C9C0;업 카지노D559;, 사학, 바카라 아라 및 불교계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 바카라 아라사』(원각불교사상연구원, 2010)
『바카라 아라불교학』(이영자, 불지사, 2001)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 1990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1)
『天台敎學の硏究』(關口眞大, 大東出版社, 1978)
「天台四敎儀に關する問題」(李永子,『印度學佛敎學』35, 1969)
주석
주1

1269년에 중국 송나라의 고승 지반(志磐)이 석가모니로부터 남송의 이종(理宗)에 이르는 고승의 전기(傳記)를 집대성한 책. 54권.우리말샘

주2

서책 책장의 사주(四周)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 선. 사주 단변(四周單邊), 사주 쌍변(四周雙邊), 좌우 쌍변(左右雙邊)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3

바카라 아라에서, 내용에 따라 네 가지로 분류한 석가모니의 가르침. 장교(藏敎), 통교(通敎), 별교(別敎), 원교(圓敎)이다.우리말샘

주4

바카라 아라에서, 설법의 형식에 따라 넷으로 나눈 부처의 가르침. 돈교(頓敎), 점교(漸敎), 비밀교(秘密敎), 부정교(不定敎)이다.우리말샘

주5

바카라 아라에서 법화경을 주석한 책. 3대 주석서의 하나로, 중국 수나라 개황(開皇) 14년(594)에 형주(荊州) 옥천사(玉泉寺)에서 지의(智顗) 대사가 강설한 것을 제자 관정(灌頂)이 필기한 책이다. 20권.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남권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