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보살본원경 ()

불교
문헌
우리나라 지장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 경전.
문헌/고서
권책수
1권 1책
권수제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판본
목판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지장보살본원경』 우리나라 지장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 경전이다. 조선시대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은 1462년 간경도감본과 왕실발원본은 물론 1453년 전라도 고산 화암사간본과 같은 사찰올림푸스 슬롯사이트들이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간행한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은 29종에 이른다.

목차
정의
우리나라 지장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 경전.
내용

부모나 조상들을 지옥에서토토사이트CC9C;토토사이트B3C4;하여주2하도록 하는 데 대한 공덕이 열거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죽은 부모를 천도하는 지장재(地藏齋) 의식과 사찰에 보이는토토 사이트 바카라BA85;토토 사이트 바카라BD80;토토 사이트 바카라C804;이 바로 이 경전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1) 보물 제933호(卷上 · 中 · 下): 3권 1책. 목올림푸스 슬롯사이트. 조선 세종 때 왕실에서 주관하여 간행한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C9C0;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C7A5;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ACBD;이다. 이 경은 당(唐)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것으로,카지노 룰렛판C9C0;카지노 룰렛판C7A5;카지노 룰렛판BCF4;카지노 룰렛판C0B4;이 온갖 방법으로 중생들을 교화하기에 노력하여, 죄를 짓고 고통받는 중생들을 해탈하게 하려고 세운 서원을 13품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은 왕실에서 태종 ·바카라 사이트 디시C6D0;바카라 사이트 디시ACBD;바카라 사이트 디시C655;바카라 사이트 디시D6C4; · 슬롯사이트 추천C18C;슬롯사이트 추천D5CC;슬롯사이트 추천C655;슬롯사이트 추천D6C4;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간행하였다. 간행 시기는 세종의 막내아들이바카라실시간C601;바카라실시간C751;바카라실시간B300;바카라실시간AD70;의 군호(君號)를 받은 1447년(세종 29)에서 세종이 죽은 1450년 사이로 보이며, 간행은 영응대군의슬롯사이트 추천AD81;슬롯사이트 추천BC29;에서 주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체재는 5행(行)씩 간격을 둔 절첩형(折帖形) 판식을 지니고 있으나, 장정은바카라 게임 사이트C120;바카라 게임 사이트C7A5;되어 있다. 경기도 용인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보물 제1011호: 3권 1책. 목올림푸스 슬롯사이트. 1453년(단종 1)해시 게임 바카라BD88;해시 게임 바카라BA85;해시 게임 바카라C0B0; 해시 게임 바카라D654;해시 게임 바카라C554;해시 게임 바카라C0AC;에서 간행하였다. 이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은 사찰에서 시주를 모아 판각한 전형적인 사찰판으로 비구 혜준(惠俊)의 화주(化主)로부터 부사정(副司正) 구현(具顯) 등에게 시주를 받아 공암(空菴)이 쓰고슬롯 무료 사이트B300;슬롯 무료 사이트C120;슬롯 무료 사이트C0AC;의명(義明)이메이저 바카라AC01;메이저 바카라C218;로 참여하였다. 현재 인쇄 상태로 보아 초쇄본으로 볼 수 있다. (재)아단문고에 있다.

(3) 보물 제966호(卷上 · 中 · 下): 3권 1책. 목올림푸스 슬롯사이트. 1469년(예종 1) 세종의 둘째딸바카라 노하우C815;바카라 노하우C758;바카라 노하우ACF5;바카라 노하우C8FC;가 간행하였다.온라인 바카라 추천AE40;온라인 바카라 추천C218;온라인 바카라 추천C628;의 발문에 의하면 정의공주가 그의 남편 안맹담(安孟聃)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수륙의문(水陸儀文)」 · 「결수문(結手文)」 · 「소미타참(小彌陀懺)」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과 함께 간행한 것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이때 새긴 목판은라이트닝 바카라 사이트C6D0;라이트닝 바카라 사이트CC30;인 삼각산무료 슬롯 머신BCF4;무료 슬롯 머신AC1C;무료 슬롯 머신C0B0; 무료 슬롯 머신B3C4;무료 슬롯 머신C131;무료 슬롯 머신C554;에 봉안하였다. 발문은 김수온의 친필을 그대로 새긴 것이고, 각수는 당시 이름이 알려진 장말동(張末同) · 권돈일(權頓一) · 고말종(高末終) 등 일류 각수가 관여하였다. 권머리에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BCC0;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C0C1;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B3C4;· 축원패(祝願牌) · 신중상(神衆像)이 묘사되어 있는데, 본문의 판각과 더불어 솜씨가 뛰어난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이다.카지노사이트추천C6B0;카지노사이트추천BA74;카지노사이트추천C0B0; 카지노사이트추천AD00;카지노사이트추천BB38;카지노사이트추천C0AC;에 있다.

(4) 보물 제1104호(卷上 · 中 · 下): 3권 1책. 목올림푸스 슬롯사이트. 1474년(성종 5) 세조 비인 정희대왕대비(貞熹大王大妃)에 의하여 견성사(見性寺)에서 판각하였다. 이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은 1474년 정희대왕대비가 이 해에 죽은 성종 비인에볼루션 바카라 무료ACF5;에볼루션 바카라 무료D61C;에볼루션 바카라 무료C655;에볼루션 바카라 무료D6C4;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정품 슬롯사이트B0B4;정품 슬롯사이트C218;정품 슬롯사이트C0AC;주1를 내려카지노사이트AD11;카지노사이트D3C9;카지노사이트B300;카지노사이트AD70;의 부인 신씨[廣平大君夫人申氏]의 원당(願堂)인 견성사에서 판각한 것이다. 신씨 부인과 그 아들 영순군(永順君)에 의하여 세조와 대비의 수복과 광평대군의 극락왕생을 빌기 위하여 준비하였으나 이루지 못하였던 것을 대비의 도움으로 이때 간행한 것이다. 조선시대 때 왕실에서 간행되었기 때문에 당시 일류 각수인 고말종 · 김천동(金千同) 등이 참여하였고, 대비 이하 대군 · 공주 등 왕실과에볼루션 바카라 무료C2E0;에볼루션 바카라 무료BBF8; · 학카지노사이트5F4; · 메이저카지노D559;메이저카지노C870;등 당시의 고승이 참여하였다.

이 책은 몇 장의바카라 대박 디시BCF4;바카라 대박 디시AC01;이 있는데 권상(卷上)의 기록에 의하면 1485년에 보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로 미루어 보아 이것을 새긴 목판은 10년 만에 결판(缺板)이 생겼고, 이 책을 인쇄한 시기는 이보다 훨씬 후대임을 짐작할 수 있다. 비록, 후쇄본이나 조선시대 왕실에서 정성껏 간행된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으로 당시의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C9C0;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C7A5;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C2E0;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C559;과 왕실의 불교 신앙 형태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토토 가상계좌 디시D638;토토 가상계좌 디시B9BC;토토 가상계좌 디시BC15;토토 가상계좌 디시BB3C;토토 가상계좌 디시AD00;에 있다.

의의와 평가

『지장보살본원경』의 조선시대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은 1462년 간경도감본과 왕실발원본은 물론 1453년 전라도 고산 화암사간본과 같은 사찰올림푸스 슬롯사이트들이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간행한 『지장보살본원경』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은 29종이며, 이 중 간행년이 확실한 것은 25종이다. 시기별 분포를 살펴보면 15세기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이 9건, 16세기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이 6건, 17세기가 5건, 18세기가 5건, 19세기가 2건, 연대 미상이 2건이다. 15~16세기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이 전체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그 이후에는 점차 개판 횟수가 줄어든 것으로 볼 때 『지장보살본원경』은 조선 전기에 더욱 빈번히 판각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15세기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은 대부분 망자의 명복과 영가천도를 위해 왕실에서 발원한 경전이 많은데 이 중에는 『지장보살본원경』이 포함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들 중 1469년과 1474년 올림푸스 슬롯사이트만이 새로 판각한 것이고 나머지는 기존의 판목에서 후쇄한 것이다. 이 외에도 1462년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경전 중에도 『지장보살본원경』이 포함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천혜봉·박상국, 『동산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動産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문화재관리국, 1987·1989·1990·1991)

단행본

논문

문상련(정각), 「지장신앙의 전개와 신앙의례」(『정토학연구』 15, 한국정토학회, 2011)
박도화, 「조선시대 간행 지장보살본원경 판화의 도상」(『고문화』 53,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9)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돈’을 달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2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