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각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판목의 일부를 들어내거나 삭제시키고 고칠 내용을 새로 끼워 넣는 작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바카라 대박 디시(補刻)은 판목의 일부를 들어내거나 삭제시키고 고칠 내용을 새로 끼워 넣는 작업이다. 한 판 전체를 다시 새기는 경우에는 개각(改刻)이라 하며, 이를 한 책 전체 중의 책판으로 볼 때는 보판(補板)이 된다. 바카라 대박 디시은 교정의 범주에 따라 자바카라 대박 디시(字補刻)과 도바카라 대박 디시(圖補刻), 선바카라 대박 디시(線補刻)과 부호바카라 대박 디시(符號補刻)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목차
정의
판목의 일부를 들어내거나 삭제시키고 고칠 내용을 새로 끼워 넣는 작업.
내용

내용의 편찬과 수정, 교정 과정을 거처 처음 판각으로 책이 간행된 것을 초간본(初刊本)이라 하고, 이후 내용을 고치거나 다시 전면적으로 판을 새기는 여부에 따라,슬롯사이트 업카지노911;각, 중간(重刊) 등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에서 내용의 부분적 수정이 있을 때 판목의 일부를 들어내거나 삭제시키고 고칠 내용을 새로 새겨 끼워 넣는 작업을 바카라 대박 디시(補刻)이라 한다.

판각의 교정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바카라 대박 디시 현상은 대략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자바카라 대박 디시(字補刻)은 교정의 범주에 따라 글자 단위로 잘못된 곳을 파내고 새롭게 바로 새긴 후 원자리에 끼워 넣고 고정시키는 바카라 대박 디시이다.

둘째, 선바카라 대박 디시(線補刻)은 도판을 새겨서 끼워 넣는 것으로 광곽(匡廓)의 변란(邊欄), 계선(界線) 등을 고치고 보충하는 바카라 대박 디시이다.

셋째, 부호바카라 대박 디시(符號補刻)은 본문 중의 기호나 부호를 고쳐 넣는 바카라 대박 디시이다.

문헌과 연구자에 따라서는 이러한 작업을토토 가입머니C0C1;토토 가입머니AC10;이라 하여 고려청자를 만들 때의 기법을 준용하여 쓰기도 한다. 일본에서는바카라사이트 추천B9E4;바카라사이트 추천BAA9;이라 부른다. 책판의 경우 주로 바카라 대박 디시의 범주는 글자에 해당하므로 이를 다시 영역별로 구분하면 획(劃), 자(字), 행(行), 면(面), 단(段), 편(片)에 대한 바카라 대박 디시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가령 『광홍명집』의 재조장본에서 이루어진 바카라 대박 디시의 경우, 총 6권에 걸쳐 모두 20개에 이르는 바카라 대박 디시이 조사되었다.

이렇게 바카라 대박 디시이 이루어진 원인과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문의 수정을 위한 바카라 대박 디시, 둘째, 원문의 정사를 위한 바카라 대박 디시, 셋째, 원문의 정사와 수정을 위한 바카라 대박 디시, 넷째, 원인 미상의 바카라 대박 디시으로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것 등이 그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천혜봉, 『韓國典籍印刷史』(汎友社, 1990)
김두종, 『韓國古印刷技術史』(탐구당, 1995)
남권희,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천혜봉, 『한국서지학』(민음사, 2005)
한국국학진흥원, 『동아시아의 목판인쇄』(한국국학진흥원, 2008)
한국국학진흥원, 『동아시아 책판의 가치와 의미』(한국국학진흥원, 2012)
한국국학진흥원, 『기록유산과 목판문화』(한국국학진흥원, 2015)

논문

류탁일, 「책판의 연구영역 설정과 그 과제」(『국학연구』 6, 한국국학진흥원, 2005)
유부현, 「홍명광집 재조장경판의 복각(매목)에 대한 연구」(『서지학연구』 69, 한국서지학회, 201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