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장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초기, 지방의 조세를 징수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
제도/관직
설치 시기
고려 초기
폐지 시기
983년(성종 2)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 사이트은 고려 초에 지방의 조세를 징수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이다. 금유(今有)와 함께 지방으로 파견되어 조세를 징수하였다.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983년(성종 2) 2월에 12목(牧)이 설치되면서 폐지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12목에 주목(州牧)이 파견되기 이전에 지방관의 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정의
고려 초기, 지방의 조세를 징수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
설치 목적

고려는 호족 연합 국가(豪族聯合國家)에서 출발하였고, 슬롯 사이트 호족(豪族)이 계속 사병(私兵)을 거느리면서 반독립적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건국 후 한동안 슬롯 사이트관을 파견하지 못하였다. 이에 고려는 슬롯 사이트 호족의 견제책으로메이저카지노사이트AE30;메이저카지노사이트C778; · 바카라 나락C0AC;바카라 나락C2EC;바카라 나락AD00;을 두었고, 또 국왕의 명령을 받아 일정한 임무를 수행하는토토랜드AE08;토토랜드C720;· 슬롯 사이트(租藏)이나토토 카지노C804;토토 카지노C6B4;토토 카지노C0AC;등을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지방을 통제하였다. 명칭을 통해 볼 때 슬롯 사이트은 조세를 징수하는 역할을 담당한 반면, 전운사는 그것을 운송하는 책임을 맡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임무와 직능

「백관지(百官志)」에서는 '금유'와 '슬롯 사이트'을 가리켜 외읍사자(外邑使者)를 일컫는 호칭이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보면 이는 지방에 상주하는주2이 아니라 임시적으로주1에 파견된 사자인 듯하다.

한편, 943년(태조 26) 전주(全州)에서 출생하여 1009년(목종 12) 사망한슬롯사이트 지니C720;슬롯사이트 지니BC29;슬롯사이트 지니D5CC;의 묘지명(墓誌銘)에 의하면, 그의 아버지 윤겸(潤謙)이 검무슬롯 사이트(檢務租藏)을 지낸 것으로 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금유와 슬롯 사이트은 그 지방의 토착인으로 임명하는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때의 '검무슬롯 사이트'은 슬롯 사이트을 감찰하는 업무를 맡은 관리를 일컫는 것인지, 금유 · 슬롯 사이트을 가리키는 것인지 명확치 않다.

변천 사항

금유 · 슬롯 사이트은 중앙 집권적 체제가 잡혀 가던슬롯사이트 2025년C131;슬롯사이트 2025년C885;슬롯사이트 2025년CD5C;슬롯사이트 2025년C2B9;슬롯사이트 2025년B85C;의 건의로 983년(성종 2) 2월 12목(牧)에 외관을 파견하게 됨에 따라 혁파되었다.

의의 및 평가

금유 · 슬롯 사이트이 '12주목(州牧)'이라는 하나의 관직으로 바뀌는 것으로 보아, 금유 · 슬롯 사이트은 대체로 한 사람이 두 가지의 업무를 겸임하였던 관직으로 보인다. 그 임무는 명칭에서 엿볼 수 있듯이 금유는 일반 행정에 관한 사무를 검찰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슬롯 사이트은 조세를 저장 · 보관하는 등 조세의 징수와 관련된 것이 주요 업무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원전

『슬롯 사이트사(高麗史)』
『슬롯 사이트사절요(高麗史節要)』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단행본

박용운, 『『슬롯 사이트사』 백관지 역주』(신서원, 2009)

논문

김성준, 「십훈요와 슬롯 사이트 태조의 정치사상」(『(한국)중세정치법제사연구』, 일조각, 1985)
김아네스, 「고려초기의 슬롯 사이트지배와 사」(『국사관논총』 87, 국사편찬위원회, 1999)
변태섭, 「슬롯 사이트전기의 외관제」(『슬롯 사이트정치 제도사 연구』, 일조각, 1971)
임용한, 「슬롯 사이트후기 수령의 사법권 및 행형범위의 확대와 그 성격」(『한국사론』 33, 국사편찬위원회, 2002)
주석
주1

외딴 시골.우리말샘

주2

슬롯 사이트의 관직이나 관원을 이르던 말.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