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 ()

가족
의례·행사
상복을 입지는 않고 마음으로 치르는 상(喪).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 무료 사이트(心喪)은 상복을 입지는 않고 마음으로 치르는 상(喪)을 말한다. 주로 고인(故人)과 혈연관계가 아닌 경우에 행하는데, 아버지가 생존해 계실 때 계모(繼母), 자모(慈母), 출모(出母), 가모(嫁母) 등을 위한 1년간의 슬롯 무료 사이트이나 스승과 제자 사이의 3년간의 슬롯 무료 사이트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키워드
정의
상복을 입지는 않고 마음으로 치르는 상(喪).
연원 및 변천

슬롯 무료 사이트은슬롯사이트 지니C608;슬롯사이트 지니AE30;「단궁(檀弓)」에서 비롯된파라오 슬롯C0C1;파라오 슬롯B840;방식으로서, “슬픈 모습을 아버지께서 돌아가신 것처럼 하되 실제로무료 슬롯 사이트C0C1;무료 슬롯 사이트BCF5;을 입지는 않는 것[戚容如父 而無服也]”이다. 이에 따라 아버지가 생존한 경우에는 모친의 상을 당한 자식이 1년온라인카지노B300;온라인카지노C0C1;, 3년 슬롯 무료 사이트(心喪)을 실천했고, 남의 집에 후사로 들어간 입후자가 생가와 입후가의 한 쪽 부모가 생존시 다른 쪽 부모의 상을 당했을 경우에도 1년간 상복을 입고 3년간 슬롯 무료 사이트을 실천했다. 또한 제자가 스승을 위해서 하는 상복도 슬롯 무료 사이트 3년이었다.

슬롯 무료 사이트의 실천은카지노 꽁머니AC00;카지노 꽁머니B840;에는 나오지 않지만, 실제로 1085년 개가한 모친의 상을 당한 사람에게 100일 휴가를 주고 슬롯 무료 사이트 3년을 하도록 규정한바카라사이트ACE0;바카라사이트B824;바카라사이트C0AC;의 기록부터 확인할 수 있다. 1428년 부친 생존시 모친의 상을 당한 사람이 1년상을 지내고 슬롯 무료 사이트 3년을 하도록 명한 것이토토 카지노ACBD;토토의 법제화를 거쳐카지노 룰렛 사이트C0C1바카라 배팅C0AC;바카라등의 예법에 관한 책에 기재되면서 사대부가에 널리 확산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주10, 주7, 주8, 주9등처럼 실제 어머니가 아니거나 아버지와 혼인 관계가 끊어진 생모의 경우 등에 적용해야 할 예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한편, 스승에 대한 슬롯 무료 사이트 3년의 실천은 조선 세종 때슬롯사이트 지니AE38;슬롯사이트 지니C7AC;온라인 바카라 추천AD8C;온라인 바카라 추천ADFC;의 실제 사례에서 확인되며, 조선 후기에는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예컨대, 영조대(英祖代) 정성왕후(貞聖王后)주11시 발생한 문제들과 실제 슬롯 무료 사이트의 실현 양상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여 왕후의 국휼 시 국왕이 살아 있을 때 세자는 아버지에게 압굴되어주12삼년복을 입지 못하고 대신 3년 동안 슬롯 무료 사이트(心喪)을 한 내용들이 상당수 있으며, 조선 후기카지노 슬롯 머신 하는 법C591;카지노1767)의 『축장일기』에 잘 나타나듯이 양응수가 스승를 위해 묘소 아래서 행한 슬롯 무료 사이트은 실제의 거상 방식을 포함한 스승을 위한 슬롯 무료 사이트의 실제 양상을 잘 보여 주었다.

복장과 절차

슬롯 무료 사이트의 상복은 일상적인 복식이 아닌주1류의 옷을 입었다. 실제로 부모를 위한 슬롯 무료 사이트의 복장은 대개 대상 후나슬롯사이트B2F4;슬롯사이트C81C;때의 복제에 따랐다. 세종 대에는 아버지가 생존해 계실 때 모친의 상을 당하면주2을 마친 뒤에메이저카지노CC9C;메이저카지노B2F4;메이저카지노BCF5;복장으로 슬롯 무료 사이트을 했고, 이밖에도 백의(白衣)와 검은색 참립(黲笠)과 참대(黲帶)를 한다는 견해를 비롯하여 다양한 견해가 있다.

이에 비해 조선 후기 양응수의 사례에서 잘 나타나듯이, 스승을 위한 슬롯 무료 사이트의 복장은 소복(素服) 차림에 흰색 두건과주3을 머리에 두르는 방식의 사복(師服)으로 조복(弔服)에주4를 하였으며, 가마를카지노 가입머니C878;카지노 가입머니ACE1;후에 제거한 뒤에는 소복 차림으로주5주6을 하고 스승의 유고를 정리하거나 스승의 무덤을 돌보는 일 등을 실행하였다.

의의 및 평가

슬롯 무료 사이트은 인정상으로는 삼년상의 상복을 입고 싶지만 의리상으로 상복을 입으면 안 되는 상황에서 슬롯 무료 사이트을 통해서 은혜와 의리를 모두 존중하려는 절충적인 방식의 의례적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사례편람(四禮便覽)』
『송자대전(宋子大全)』
『학례유범(學禮遺範)』

논문

김윤정, 「조선후기 嫁母・出母 담론과 그 예학적 성격」(『퇴계학보』 131, 퇴계학연구원, 2012)
김윤정, 「18세기 사복師服의 성격과 실제 ― 양응수의 「축장일기」를 중심으로」(『국학연구』 23, 한국국학진흥원, 2013)
김윤정, 「英祖代 貞聖王后 國恤의 성격과 의미」(『서울과 역사』 98, 서울역사편찬원, 2018)
정길연, 「간재 전우의 사복설의 연원과 의의」(『인문학논총』 30,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터넷 자료

김문택, 「슬롯 무료 사이트(心喪)」, 『한국민속대백과사전』(https://folkency.nfm.go.kr/topic/detail/296?pageType=search&keyword=%EC%8B%AC%EC%83%81)
주석
주1

하얗게 차려입은 옷. 흔히 상복으로 입는다.우리말샘

주2

일 년 동안 입는 상복.우리말샘

주3

사각건 위에 덧씌우는, 삼으로 꼰 둥근 테두리.우리말샘

주4

죽은 사람을 수의로 갈아입히고 이불로 쌀 때에 상제가 수질(首絰)을 처음으로 머리에 씀.우리말샘

주5

사람이 죽은 뒤 일 년 동안 상제가 아침저녁으로 신주 앞에서 우는 울음.우리말샘

주6

상가에서, 죽은 사람의 혼백이나 신주를 놓은 상에 아침과 저녁에 차리는 음식. 또는 그런 의식.우리말샘

주7

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8

아버지에게 쫓겨 나간 어머니.우리말샘

주9

개가(改嫁)한 어머니.우리말샘

주10

아버지가 새로 결혼해서 생긴 어머니.우리말샘

주11

국민 전체가 복상(服喪)을 하던 왕실의 초상. 태상왕(太上王), 상왕(上王), 왕, 왕세자, 왕세손 및 그 비(妃)의 상사(喪事)를 이른다.우리말샘

주12

조금 굵은 생베로 짓되 아래 가를 좁게 접어서 꿰매서 입는 상례 복제. 부모상에는 삼 년, 조부모 상에는 일 년, 증조부모 상에는 다섯 달, 고조부모 상에는 석 달을 입고, 처상(妻喪)에는 일 년을 입는다.우리말샘

집필자
박종천(고려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무료 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무료 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