À온라인 바카라;례절략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도한기(都漢基, 1836∼1902)&#x온라인 바카라00; 관례, 혼례, 장례, 제례의 네 &#x온라인 바카라00;지 의례의 일상적 실천을 위해 이Ç온라인 바카라;(李縡)의 『À온라인 바카라;례편람(四禮便覽)』을 요약하여 정¹온라인 바카라;한 À온라인 바카라;례서(四禮書).
이칭
이칭
À온라인 바카라;례절요(四禮節要), À온라인 바카라;례의(四禮儀)
문헌/&#x온라인 바카라E0;서
&#x온라인 바카라04;행 시기
1927년(신식연활자본)
저자
도한기(都漢基)
편자
마승락(신식연활자본)
권책수
1책(필À온라인 바카라;본), 4권 1책(신식연활자본)
판본
필À온라인 바카라;본, 신식연활자본
소장처
서울대 규장&#x온라인 바카라01;한국학연구원, 국민대 도서관, 전주대 도서관, 성균관대 존&#x온라인 바카라BD;&#x온라인 바카라01;, 미국 버클¹온라인 바카라;대 동아시아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사례절략(四禮節略)』은 조선 후기의 학자 도한기(都漢基, 1836∼1902)가 관례, 혼례, 장례, 제례의 네 가지 의례를 이르는 사례(四禮)의 일상적 실천을 위해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을 요약하여 정리한 사례서(四禮書)이다. 필사본은 1책이며, 신식연활자본은 4권 1책이다. 『사례절요(四禮節要)』라고도 하며, 일부 필사본의 표지에는 ‘사례의(四禮儀)’로 적혀 있다. 조선 말기의 가례(家禮)의 보급 양상을 보여주는 예법에 관하여 쓴 책이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도한기(都漢基, 1836∼1902)&#x온라인 바카라00; 관례, 혼례, 장례, 제례의 네 &#x온라인 바카라00;지 의례의 일상적 실천을 위해 이Ç온라인 바카라;(李縡)의 『À온라인 바카라;례편람(四禮便覽)』을 요약하여 정¹온라인 바카라;한 À온라인 바카라;례서(四禮書).
서지À온라인 바카라;항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에서 소장한 필사본은 1책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신식연활자본은 4권 1책으로 되어 있으며 성균관대학교 존경각과 국민대학교 도서관 및 전주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사례절요(四禮節要)』라고도 하며, 일부 필사본의 표지에는 ‘사례의(四禮儀)’로 적혀 있다.

편찬 및 &#x온라인 바카라04;행 &#x온라인 바카라BD;위

도한기의바카라AD00;바카라D5CC;바카라C9D1;권16, 「사례절약서(四禮節略序)」에 의하면, 이 책은 가난한 사대부와 서인들도 두루 쓸 수 있도록 만든 사례서(四禮書)이다. 특히온라인 카지노 사이트C0AC;온라인 카지노 사이트B2F9;이 없어서바카라 룰C2E0;바카라 룰C8FC;를 세울 수 없는 사대부와 서인들을 위해서 편찬되었다.

처음에는 필사본으로 존재하다가 1927년에 성주의 도학모방(都學模方)에서 마승락(馬承洛)이 편찬한 신식연활자본으로 보급되었다. 버클리대학교 소장본의 마지막 부분에 ‘도광이십칠년정미맹춘서우이동정사(道光二十七年丁未孟春書于犁洞精舍) 수결(手決)’이라고 쓰여 있는데, 이로부터 필사본과 신식연활자본의 관계를 추측할 수 있다.

구성&#x온라인 바카라FC; 내용

관혼상제례(冠婚喪祭禮)에 대하여볼트 카지노C774;볼트 카지노C7AC;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뽑아서 적었으며, 개장례(改葬禮)와 더불어주1를 다루는 ‘병유상(并有喪)’과 ‘대복(代服)’ 등의 내용을 덧붙였다. 각종 의례 물품과 더불어 의식의 절차를 간략하게 밝혔으며 조선 학자들의주2을 많이 인용하였다.

『사례절략(四禮節略)』의 목록은카지노 토토AD00;카지노 토토B840;, 토토사이트D63C;토토사이트B840;, 파라오 슬롯C0C1;파라오 슬롯B840;, 「조장식」,메이저카지노C81C;메이저카지노B840;, 「사당도」, 「본종오복도」, 「외당처당도」, 「처위부당도」, 「삼상강복도」, 「위인후위본종오복도」, 「출가녀위본종강복도」, 「대복」, 「상중입후」, 「병유상」, 「국휼시변제」, 「참고의」 등으로 되어 있다.

의의 및 평&#x온라인 바카라00;

관혼상제(冠婚喪祭)주4를 모두 갖춘 사례서로서 각종 물품과 절차를 중심으로 실제로 예식을 행할 때의 편의성을 고려했다. 또한 조선 학자들의 다양한주5들을 수록하면서 19세기카지노 꽁머니AC00;카지노 꽁머니B840;의 실행을 위한 ‘절략’의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법에 관하여 쓴 책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도한기都漢基, 『관헌집(管軒集)』
규장각본 『사례절략四禮節略』 奎2412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사례절략四禮節略』(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소장본 4.13)
한국예학총서본(韓國禮學叢書本), 『사례절략四禮節略』

인터넷 자료

고려대학교 한국학자료센터 자료: 사례절략(四禮節略) (http://kostma.korea.온라인 바카라.kr/)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자료: 사례절략(四禮節略) (https://kyudb.snu.온라인 바카라.kr)

기타 자료

유영옥, 「사례절략(四禮節略) 해제」, 『한국예학총서본韓國禮學叢書』 97(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이현진, 「사례절략(四禮節略) 해제」, 고려대학교 한국학자료센터 자료.
주석
주1

임시로 바꾼 법례.우리말샘

주2

예절에 관한 학설.우리말샘

주3

넓은 의미로 군대나 전쟁 따위에 관련된 모든 이공 계열 학문과 사회 과학 분야를 통틀어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4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제사 등의 네 가지 전통적인 예식.우리말샘

주5

예절에 관한 학설.우리말샘

집필자
박종천(&#x온라인 바카라E0;려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