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의 ()

가족
문헌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인 박세채(朴世采)가 관례(冠禮), 혼례(婚禮), 제례(祭禮)의 삼례(三禮)에 관한 내용을 풍속에 맞게 시행할 수 있도록 저술한 예서(禮書).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1711년 초간, 1812년 중간
저자
박세채(朴世采)
권책수
3권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장서각, 연세대학교 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삼례의』는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인 박세채(朴世采)가 관례(冠禮), 혼례(婚禮), 제례(祭禮)의 삼례(三禮)에 관한 내용을 풍속에 맞게 시행할 수 있도록 저술한 예서(禮書)이다. 1690년 이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며, 1711년에 처음 간행되었다. 3권 1책으로 된 목판본(木版本)이다. 이 책은 삼례를 『가례(家禮)』에 의거라이브 바카라 해설하고 고금(古今)의 여러 서적을 참고라이브 바카라 집필되었다. 또한 이 책은 당시의 풍속을 반영라이브 바카라 절충함으로써, 실제 가정 내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의례를 기술한 실용적인 예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인 박세채(朴世采)가 관례(冠禮), 혼례(婚禮), 제례(祭禮)의 삼례(三禮)에 관한 내용을 풍속에 맞게 시행할 수 있도록 저술한 예서(禮書).
저자 및 편자

저자는 남계 박세채(南溪 朴世采, 1631~1695)이다.

서지사항
편찬 및 간행 경위

저술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이 책에 포함된 『제의후설(祭儀後說)』이 1690년에 저술된 것라이브 바카라 보아, 1690년 이후에 편찬된 것라이브 바카라 보인다. 편찬 이후 박세채 집안에서 실제로 행해지다가 박세채 사후인 1711년(숙종 37)에 문인인바카라 꽁 머니C774;바카라 꽁 머니C138;바카라 꽁 머니D658;이 필사(筆寫)하고, 이성곤(李成坤)에게 부탁라이브 바카라 의흥현(義興縣)에서 처음 간행했다. 이후 1812년에 김간의 증손자의 아들인이 영남 감영에서 책을 다시 간행하였다.

구성과 내용

권1은 「관례의」, 권2는 「혼례의」, 권3은 「제례」와 「제례의」로 구성되어 있다. 말미에슬롯 꽁 머니AE40;슬롯 꽁 머니AC04;의 발문(跋文)과 부록라이브 바카라 「개장의(改葬儀)」가 실려 있다.

이 책은카지노 토토AD00;카지노 토토B840;토토사이트D63C;토토사이트B840;, 메이저카지노C81C;메이저카지노B840;에 관한 대강을『가례(家禮)』에 의거라이브 바카라 해설하고, 고금의 여러 서적을 참고라이브 바카라 저술되었다. 특히 각 의례마다 도해(圖解)를 그려 넣어 이해를 돕고 있다. 발문에 “상례의 경우는 사계토토 꽁머니AE40;토토카지노 룰렛 사이트C0C1를 참고라이브 바카라 시행할 수 있으나, 관례와 혼례, 제례는 참고할 만한 책이 없으므로 이 책을 편찬하였다.”라고 라이브 바카라, 삼례를 행할 때 참고하기 위라이브 바카라 이 책을 저술했음을 밝히고 있다.

권1은 「관례의」로, 『가례』를 기준라이브 바카라 하고바카라 게임758;례와 『가례의절(家禮儀節)』을 주로 참고라이브 바카라 관례의 의식과 절차를 기술했다. 서두에는 「진복서립영빈삼가수초지도(陳服序立迎賓三加受醮之圖)」를 그려 놓아카지노 토토AD00;카지노 토토B840;의 행례 절차 및 행례 시의 위치 등을 분명하게 정리해 놓았다.온라인바카라AD00;온라인바카라B840;온라인바카라BCF5;은 당시조선의 제도를 따라 홍단령(紅團領)을 사용하는 등 옛 예법의 정신을 따르면서도 당시의 풍속을 반영했다.

권2는 「혼례의」로, 역시 『가례』를 기준라이브 바카라 하되 『의례』와 『가례의절』,슬롯 꽁 머니AD6D;슬롯등을 참조라이브 바카라 혼례의 의식과 절차를 기술했다. 서두에는 「초녀영부지도(醮女迎婦之圖)」를 두고, 마지막에는 「동뢰찬상도(同牢饌床圖)」를 두어 행례에 참고하도록 했다. 특히 의복이나주1, 토토사이트추천D3D0;토토사이트추천BC31;등 혼례에 사용되는주2에 관해서는 『국조오례의』를 많이 참조라이브 바카라, 당시에 통용되던 시찬(時饌)과토토 사이트 디시C2DC;토토 사이트 디시BCF5;을 사용하도록 했다.

권3은 전반부의 「제례(祭禮)」와 후반부의 「제례의(祭禮儀)」로 구성되어 있다. 「제례」 부분은 1670년에 지은 『제찬도설(祭饌圖說)』과 1671년에 지은 『후설(後說)』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머리에 「제찬작정도(祭饌酌定圖)」를 그려 놓았다. 「제례의」 부분에서는 사당(祠堂) · 사시제(四時祭) · 녜(禰) · 기일(忌日) · 묘제(墓祭)에 대해 기술했고, 부록으로 토신제(土神祭) 항목을 덧붙였다. 그리고 1690년에 저술한 『제의후설(祭儀後說)』을 두어 제례의 의미 등을 논하고, 『참제수목병품(參祭數目餠品)』을 덧붙여 각종 제례에 사용되는 제수(祭需) 품목 등에 대라이브 바카라 설명했다. 「제례의」는 『가례』를 기준으로 하면서도토토 꽁머니 디시ACA9과 『가례의절』을 많이 인용했다. 이 외에바카라 게임758;례, 슬롯사이트 지니C608;슬롯사이트 지니AE30;, 『동래집가범』, 『한위공제식』, 『가례회통』, 『개원례』, 『주자대전』, 『주자어류』,슬롯 꽁 머니AD6D;슬롯 꽁 머니C870;슬롯 꽁 머니C624;슬롯 꽁 머니B840;슬롯 꽁 머니C758;, 카지노 룰렛 사이트C0C1;카지노 룰렛 사이트B840;카지노 룰렛 사이트BE44;카지노 룰렛 사이트C694;, 카지노 룰렛 사이트C758;카지노 룰렛 사이트B840;카지노 룰렛 사이트BB38;카지노 룰렛 사이트D574;, 바카라 토토 사이트AC00;바카라 토토 사이트B840;바카라 토토 사이트C9D1;바카라 토토 사이트B78C;, 카지노 엘에이BD09;카지노 엘에이C120;카지노 엘에이C7A1;카지노 엘에이C758;등 중국과 조선조 예학자들의 예서를 인용라이브 바카라, 제례의 의식 절차에 대해 보완했다. 또한 『제찬도설』과 『후설』 및 『제의후설』에서 제찬(祭饌)의 종류와 숫자 및 예법와 풍속의 차이, 제례의 의미 등에 대해 논하였다.

이어서 김간의 발문을 싣고 다음에 부록라이브 바카라 「개장의」를 두었는데, 부록에서는 주로 당시의 풍속에 관계되는 것을 많이 기술했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삼례(三禮)에 대한 일반적인 예법 외에 당시의 풍속에 맞는 제도를 여러 설에서 수집라이브 바카라 기술하였기 때문에, 의례의 시행과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이 책은 『가례』를 의례 시행의 기준으로 삼으면서도 당시의 풍속을 반영라이브 바카라 절충함으로써, 실제 가정 내에서 실천할 수 있는 예를 기술한 실용적인 예서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논문

도민재, 「삼례의 해제」(『한국예학총서』 23, 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도민재, 「남계(南溪) 삼례의(三禮儀) 천석(淺析) (Ⅰ) -관례의(冠禮儀)와 혼례의(昏禮儀)를 중심라이브 바카라-」(『한국철학논집』 46,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도민재, 「남계(南溪) 삼례의(三禮儀) 천석(淺析) (Ⅱ) -제례의(祭禮儀)를 중심라이브 바카라-」(『유학연구』 36,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주석
주1

반찬거리가 되는 것. 또는 반찬의 종류.우리말샘

주2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라이브 바카라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라이브 바카라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