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미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조선시대, 고서의 판심 아래위 부분에 있는 물고기 꼬리처럼 생긴 접지표.
이칭
이칭
중봉(中縫)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해시 게임 바카라 판심의 아래위 1/3 위치에 있는 물고기 꼬리 모양의 문양이다. 호접장, 포배장, 선장본의 고서는 인출한 매 책장의 가운데를 접어 여러 장을 겹쳐서 제본하는데, 이때 가운데 접히는 부분을 판심이라 한다. 해시 게임 바카라는 위치와 색깔, 방향, 꽃잎의 수에 따라 그 명칭이 달리 붙여지며, 시대별로 특징적인 모습이 있어서 서책의 간행 시기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키워드
목차
정의
조선시대, 고서의 판심 아래위 부분에 있는 물고기 꼬리처럼 생긴 접지표.
내용

고서(古書)는 대개주1에서 인쇄한 후 중앙을 접어 여러 장을 가지런히 포개서 오른쪽 가장자리를 묶어서 제본한다. 이때 중앙의 접히는 부분을토토 로얄D310;토토 로얄C2EC;또는 중봉(中縫)이라 한다. 판심에는 주로 축약된 서명(書名)과 권차(卷次), 장차(張次)를 기록하고, 그 아래위에 물고기 꼬리 모양으로 장식을 하였는데 이 장식을 해시 게임 바카라(魚尾)라 한다. 처음에 해시 게임 바카라는 접는 부분을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넣기 시작하였으나 후대로 갈수록 책의 기본 형식으로 자리 잡아 시대별로 특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서에는 해시 게임 바카라가 대체로 판심의 아래위 1/3 지점에 위치하는데, 상하단 모두에 있거나 상단에만 있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또 해시 게임 바카라가 향하는 방향은 대체로는, 상단의 해시 게임 바카라는 아래쪽으로, 하단의 해시 게임 바카라는 위쪽을 향하여 서로 마주 보고 있는 것이 보통이나, 종종 모두 아래쪽을 향하기도 한다. 단, 상단의 해시 게임 바카라가 위쪽을 향하는 경우는 없다.

해시 게임 바카라의 명칭으로, 위에 있는 것을 상해시 게임 바카라(上魚尾), 아래의 것을 하해시 게임 바카라(下魚尾)라 하고, 흰색 바탕으로 된 해시 게임 바카라를 백해시 게임 바카라(白魚尾), 검은색 바탕으로 된 해시 게임 바카라를 흑해시 게임 바카라(黑魚尾)라 부른다. 또 해시 게임 바카라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도 이름이 달라진다. 상단의 해시 게임 바카라가 아래로 향하고, 하단의 해시 게임 바카라가 위로 향하고 있으면 ‘상하내향해시 게임 바카라(上下內向魚尾)’ 또는 ‘내향해시 게임 바카라(內向魚尾)’라 하고, 상하단의 해시 게임 바카라가 모두 아래로 향하고 있으면 ‘상하하향해시 게임 바카라’라 한다. 해시 게임 바카라에주2이 있으면 화문해시 게임 바카라(花紋魚尾)라 부르는데, 판심에서 접히는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의 꽃잎 수에 따라 그 숫자를 앞에 붙여 2엽화문해시 게임 바카라, 3엽화문해시 게임 바카라 등으로 부른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해시 게임 바카라는 위치와 색깔, 방향, 꽃잎의 수에 따라 그 명칭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검은색 해시 게임 바카라가 상하단에 있고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중봉의 양쪽에 대조적으로 2개의 꽃잎이주3되어 있다면 ‘상하내향이엽화문해시 게임 바카라(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라는 이름이 붙는다.

해시 게임 바카라는 원래 중국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한국에서 이것을 독특하게 발전 시켰으며, 시대별로 특징적인 모습이 있어서 이판(異版)을 가름하거나 간행 시기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고 있다. 내향3엽화문해시 게임 바카라는토토 신규가입꽁머니C911;토토 신규가입꽁머니C885;무렵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토토 가상계좌 디시C219;토토 가상계좌 디시C885;무렵에는 내향2엽화문해시 게임 바카라와 섞여 드물게 나타나고,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601;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870;때부터는 대체로 내향2엽화문해시 게임 바카라로 바뀌는 모습을 보인다. 또 판심의 해시 게임 바카라에는 종종메이저 바카라AC01;메이저 바카라C218;의 이름을 새겨 넣거나 독특한 문양을 음각하였는데, 고서의 본문 내용과는 별개로 각수의 사적 기록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천혜봉, 『한국서지학』(민음사, 2006)
주석
주1

인쇄하는 데 쓰는 판. 재료에 따라 목판ㆍ석판ㆍ아연판ㆍ동판 따위가 있고, 양식에 따라 평판ㆍ오목판ㆍ볼록판이 있다.우리말샘

주2

꽃 모양의 무늬.우리말샘

주3

조각에서, 평평한 면에 글자나 그림 따위를 안으로 들어가게 새기는 일. 또는 그런 조각.우리말샘

집필자
장원연(청주고인쇄박물관 학예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