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소 권41 ( )

불교
문헌
송나라 승려 정원이 80권본 『화엄경』 본문과 이에 해당하는 징관의 주석서(『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를 나누어 편집한 책을 14세기경에 목판으로 인출한 불교 논서 중 일부.
이칭
이칭
주화엄경소(注華嚴經疎)
문헌/고서
편찬 시기
11세기말
간행 시기
14세기경
저자
징관
편자
정원
권책수
1권
권수제
大方廣佛華嚴經疏
판본
목판본
표제
大方廣佛華嚴經
소장처
관문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41은 송나라 카지노 해외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카지노 해외경』 본문을 나누고 그 아래에 80권본 『카지노 해외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실은 총 120권의 주석서 중 제41권에 해당한다. 198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의
송나라 승려 정원이 80권본 『화엄경』 본문과 이에 해당하는 징관의 주석서(『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를 나누어 편집한 책을 14세기경에 목판으로 인출한 불교 논서 중 일부.
개설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41은 1988년 지정된 보물로, 송나라 카지노 해외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카지노 꽁D654;카지노 꽁C5C4;카지노 꽁ACBD;본문을 나누고 그 아래에 80권본 『카지노 해외경』에 대한 징관(澄觀,839)주2의 주석서(『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의 해당 부분을 실은 총 120권의 주석서 중 제41권이다.

참고로 80권본 『카지노 해외경』은 주본(周本) 『카지노 해외경』이라고도 하며, 당주7가 국호를 주(周)로 정했을 때 한역된 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모두 80권으로 이루어져 80권본 『카지노 해외경』 또는 『팔십카지노 해외경』이라고도 한다. 이는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주1가 418~420년에 번역한 진본(晉本) 『카지노 해외경(華嚴經)』에 이어 새로 번역한 것이다. 이에 대한 주석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징관의토토 추천B300;토토 추천BC29;토토이다.

바카라 시뮬레이션C758;바카라 시뮬레이션CC9C;은 송나라 유학 시절 당시주3의 대가인 정원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다. 의천이 혜인원에 머무는 동안 정원에게서 정원 자신이 엮은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 1질 120권을 기증받았다. 의천은 귀국하기 전에 그 전질(全帙)의 판각을주8의 각수 엄명(嚴明) 등에게 주문하였고, 정원은 1087년(선종 4) 3월 송 선상(船商) 서전(徐戩) 등을 통해 모두 2,900여 판에 이르는 목판을 고려의 의천에게 전달하였다. 이후 조선시대인 1424년(세종 6)에 대장경판을 달라는 일본의 끈질긴 요청에 이 목판을 대신 주어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목판들은 일본 교토 쇼코쿠사(相國寺)에 비치되었으나, 후에 화재로 전부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불교를 통한 동양 3국의 문화 교류 실상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례이다.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 권41은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 120권본 전체 목판(木板)을 14세기에 개성(開城)에서 인출(印出)한 것 중에서 권 제41만을 1권 1첩(帖)의주9으로 만든 책이다. 현재카지노사이트추천C6B0;카지노사이트추천BA74;카지노사이트추천C0B0; 카지노사이트추천AD00;카지노사이트추천BB38;카지노사이트추천C0AC;가 소장하고 있다.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41은 다른 것과는 달리 권머리에 「각주카지노 해외경도변상연기(刻注華嚴經都變相緣起)」와 「변상도(變相圖)」가 실려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의천에게 보낸 이 경판에는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BCC0;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C0C1;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B3C4;가 없어 1372년(공민왕 21)에 오관산(五冠山)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624;슬롯사이트 소닉 추천AD00;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0B0;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601;슬롯사이트 소닉 추천D1B5;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0AC;에서 새긴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물로 지정된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 권41은 변상도가 처음 등장하는 판본으로 동일본의 인출 시기를 추정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서지적 사항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 권41은 목판본이면서 절첩본(折帖本)이다.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소』 권41의 판식(版式)은 테두리마다 하나의 검은 선을 돌린 상하단변(上下單邊)이고, 본문은 검은 선이 있는주5에 20행 15자, 소자쌍행(小字雙行)으로 되어 있다. 책 크기는 31.5㎝✕10.7㎝이며, 광고(匡高)는 23㎝이다.

절첩본의 표지는 짙은 감색(紺色)이며, 책머리에 변상도(變相圖)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동종(同種)의 다른 보물류와의 차별점이다. 변상도의 시작 부분에 ‘각주카지노 해외경도변상록기(刻注華嚴經都變相綠起)’라는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대각 국사 의천이 머물렀던 오관산(五冠山) 영통사(靈通寺)에서 내부령(內府令)의 지위에 있던레고카지노C774;레고카지노BBF8;레고카지노CDA9;등이 주관하여 1372년(공민왕 21) 9월에 변상도를 판각하였다. 이로 보아 중국에서 제작되어 1087년에 고려에 전래된 ‘『카지노 해외경소』 120권’에는 원래 변상도가 없었고, 1372년 당시에 변상도를 고려에서 추가로 판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중국에서 전래된 본문의 목판 전체가 이 당시에 영통사에 보존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대방광불카지노 해외경(大方廣佛華嚴經)』은 줄여서 ‘『카지노 해외경(華嚴經)』’이라고 약칭(略稱)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不二〕’라는 것을 중심사상(中心思想)으로 하고 있다.바카라 토토D654;바카라의 근본 경전으로,주6과 함께 한국의 불교 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의의와 평가

대각 국사 의천의 요청으로, 중국 송(宋)에서 판각되어 1087년경에 고려에 수입된 ‘『카지노 해외경소』 120권’ 목판(木板)은 ‘주카지노 해외경판(注華嚴經板)’으로 지칭된다. 1424년(세종 6)에 조선 시대에 들어와 일본이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재조대장경(바카라 라이브D574;바카라 라이브C778;바카라 라이브C0AC; 바카라 라이브B300;바카라 라이브C7A5;바카라 라이브ACBD;, 팔만대장경) 목판을 달라고 조선 조정에 요청할 때, 세종이 재조대장경판 대신 이 주카지노 해외경판을 일본 사신에게 주어 돌려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일본은 해인사에 있는 고려 재조대장경판을 일본으로 가져가려는 욕구가 강렬하였지만 당시 조선이 유교 국가였음에도 우리 전통의 불교 유산을 소중히 여겼기 때문에 고려 재조대장경판이 일본으로 유출되지 않았던 역사적 사례를 볼 수 있다.

요컨대 고려시대 중국 송(宋)나라에서 판각된 주카지노 해외경판은 고려시대에 잘 보존되었다가, 조선 세종 때 일본과의 선린주10의 측면에서 일본으로 전래됨으로써 불경 연구 목판을 통한 한(韓) · 중(中) · 일(日) 삼국의 문화 교류의 대표적인 사례 및 그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남권희, 『고려시대 기록문화 연구』(청주고인쇄박물관, 1994)
『문화재대관-전적-』(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6)

논문

김성주, 「『카지노 해외경』 권제35의 성격과 명칭」(『국제언어문학』, 국제언어문학회, 2007)

인터넷 자료

국가기록유산(www.memorykorea.go.kr)
국가유산청(www.khs.go.kr)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주석
주1

중국에서 활약한 북인도 출신의 승려(359~429). 구마라습(鳩摩羅什), 혜원(慧遠), 법현(法顯) 등과 친교를 맺었고, 경전을 번역하는 사람으로 유명하였다. 한역(漢譯) ≪카지노 해외경≫ 60권이 있다.우리말샘

주2

중국 당나라의 승려(738~839). 속성은 하후(夏候). 존칭은 청량 대사(淸涼大師)ㆍ카지노 해외 보살. 카지노 해외종의 제4대조로, 법장(法藏)의 카지노 해외 교학을 부흥하였다. 저서에 ≪카지노 해외경소≫ 60권,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 90권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3

카지노 해외종의 교의(敎義)를 연구하는 학문.우리말샘

주4

두루마리식으로 길게 이은 종이를 옆으로 적당한 폭으로 병풍처럼 접고, 그 앞과 뒤에 따로 표지를 붙인, 책의 겉모양을 꾸미는 방법의 하나.우리말샘

주5

검은 줄을 친 종이. 예전에 중국에서 염서(艷書)를 쓰는 데 썼다.우리말샘

주6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우리말샘

주7

중국 당나라 고종의 황후(624?~705). 성은 무(武). 이름은 조(曌). 중국 역사에서 유일한 여제(女帝)로 고종을 대신하여 실권을 쥐고, 두 아들을 차례로 제왕의 자리에 오르게 하였으며, 스스로 제왕의 자리에 올라 국호를 주(周)로 고치고 성신 황제(聖神皇帝)라 칭하였다.우리말샘

주8

중국 저장성(浙江省) 북부 첸탕강(錢塘江) 어귀에 있는 도시. 남송의 도읍이었으며, 예로부터 무역항ㆍ경승지로 유명하다. 쌀ㆍ생사ㆍ차 따위의 집산지이다. 성도(省都)이다. ⇒규범 표기는 ‘항저우’이다.우리말샘

주9

두루마리식으로 길게 이은 종이를 옆으로 적당한 폭으로 병풍처럼 접고, 그 앞과 뒤에 따로 표지를 붙인, 책의 겉모양을 꾸미는 방법의 하나.우리말샘

주10

이웃 나라와 친선을 꾀하기 위하여 취하는 외교 정책.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