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도 ()

불이선란도
불이선란도
회화
개념
동양화에서 시의 내용이나 분위기 또는 시정을 표현한 그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동양화에서 시의 내용이나 분위기 또는 시정을 표현한 그림.
개설

시화일치(詩畵一致), 즉 시와 무료 슬롯 사이트이 하나의 예술이라는 것을 표현하는

남종화(南宗畵)주1의 시조로 추앙받는 당대(唐代)의 시인이자 문인화가인주2의 시에 관하여 소식(蘇軾)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마힐〔摩詰: 왕유〕의 시를 음미하면 그 가운데 무료 슬롯 사이트이 있고, 마힐의 무료 슬롯 사이트을 보면 그 가운데 시가 있다.” 이 말은 “시중유화(詩中有畵) 화중유시(畵中有詩)”라는 구절로 중국화론에서 즐겨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주3의 가르침을 찬술해 놓은 곽사(郭思)의 『임천고치(林泉高致)』(1070년경)에는 “시는 형상이 없는 무료 슬롯 사이트이고 무료 슬롯 사이트은 형상이 있는 시”라고 하였다. 즉 유성화(有聲畵), 무성시(無聲詩) 역시 소식의 위 구절과 같은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처럼 송대(宋代) 이후의무료 슬롯 사이트회화에서는 시와 무료 슬롯 사이트의 관계가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연원 및 변천

위와 같은 현상은 곧바로 북송시대 선화(宣和) 어화원(御畵院)에서 화가들을주4할 때 시의 구절을 출제하여 그 내용이나 시정(詩情)을 가장 잘 포착한 화가를 당선시키는 제도로 이어졌다. 남송시대에는 시를 직접 화면에 쓰지는 않았으나 원형 부채의 뒷면에 앞면의 무료 슬롯 사이트과 알맞은 시를 아름다운 서체로 적은 것이라든지 화첩의 상대 면에 무료 슬롯 사이트과 시가 각각 배치된 것들이 남아있다.

화면에 직접 시를 써 넣는 전통은 원대(元代)에 와서 시작되었고 전선(錢選),주5등 초기 문인화가들이 자신의 무료 슬롯 사이트에 자제시(自題詩)를 써넣기 시작하였다. 원사대가(元四大家)들, 특히주6주7은 시와라이트닝 바카라 사이트C11C;라이트닝 바카라 사이트C608;에 뛰어난 인물들이었으므로 자신의 무료 슬롯 사이트에 자제시를 아름다운 서체로 적어 넣어 한 무료 슬롯 사이트에 시서화(詩書畵) 삼절(三絶)을 이루었다. 이러한 전통은 명(明), 청대(淸代)로 이어졌다.

우리나라에서도바카라 온라인C815;바카라 온라인C870;때부터 시작된토토 커뮤니티ADDC;토토 커뮤니티C7A5;토토 커뮤니티AC01;자비대령화원(差備待令畵員)제도에서 특별히 선정된 화원들의 우열을 가려내어 급여에 반영하기 위한 시험에 시 구절을 출제한 기록이 무수히 남아있다.

또한조선시대 후기의 문인화가들 가운데 자제시를 무료 슬롯 사이트에 적어 넣기도 하고 중국이나 조선의 유명한 시를 무료 슬롯 사이트 위에 적어 넣어 그 시의(詩意)를 자신의 무료 슬롯 사이트에 표현했음을 밝힌 것을 볼 수 있다. 전자의 예는카지노 가입머니 즉시지급AE40;카지노 가입머니의 「불이선란(不二禪蘭)」이며 후자는토토사이트D5C8;토토사이트D544의 「두보시의도(杜甫詩意圖)」이다.

참고문헌

『무료 슬롯 사이트, 문학에 취하다』(고연희, 아트북스, 2011)
『조선후기 궁중화원연구』(강관식, 돌베게, 2001)
『무료 슬롯 사이트회화이론사』(갈로/강관식 역, 미진사, 1989)
「조선후기 시의도 연구」(조인희, 동국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3)
「무료 슬롯 사이트시문을 주제로 한 조선후기 서화합벽첩 연구」(유미나, 동국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5)
「조선후기 당시의도-산수화를 중심으로」(민길홍,『미술사학연구』233,234합집, 2002)
「명대후기 시의도에 나타난 시화의 상관관계」 (박은화, 『미술사학연구』201호, 1994. 3)
주석
주1

산수화의 2대 화풍 가운데 학문과 교양을 갖춘 문인들이 비직업적으로 수묵(水墨)과 담채(淡彩)를 써서 내면세계의 표현에 치중한 무료 슬롯 사이트의 경향. 조선 중기 이후의 한국화에 강한 영향을 남겼다.우리말샘

주2

무료 슬롯 사이트 당나라의 시인ㆍ화가(699?~761?). 자는 마힐(摩詰). 벼슬은 상서우승(尙書右丞)에 이르렀고, 무료 슬롯 사이트 자연시인의 대표로 꼽히며 남종화의 창시자로 불린다. 작품에 시집 ≪왕우승집(王右丞集)≫이 있다.우리말샘

주3

무료 슬롯 사이트 북송(北宋)의 화가(?~?). 자는 순부(淳夫). 계절에 따른 경관(景觀)의 변화, 빛과 구름의 상태 따위의 묘사에 뛰어났다. 작품에 <계산추제도권(溪山秋霽圖卷), 저서에 화론(畫論) ≪임천고치≫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4

시험을 보아 인재를 뽑음.우리말샘

주5

무료 슬롯 사이트 원나라의 화가ㆍ서예가ㆍ문인(1254~1322). 자는 자앙(子昂). 호는 집현(集賢)ㆍ송설도인(松雪道人). 서화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나라의 사대가(四大家)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저서에 ≪상서주(尙書注)≫, ≪송설재집(松雪齋集)≫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6

무료 슬롯 사이트 원나라의 화가(1280~1354). 자는 중규(仲圭). 호는 매화도인(梅花道人). 원나라 말기의 4대가의 한 사람으로,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특히 묵죽(墨竹)을 잘 그렸다. 작품에 <가화팔경도(嘉禾八景圖), <어부도(漁夫圖)#GT#따위가 있고, 저서에 ≪매화도인유묵(梅花道人遺墨)≫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7

무료 슬롯 사이트 원나라의 화가ㆍ시인(1301~1374). 자는 원진(元鎭). 호는 운림(雲林). 간결한 구조와 묘법(描法)으로 예스럽고 맑은 정취가 넘치는 산수화를 그렸으며 시도 잘 썼다. 시집에 ≪청비각집(淸閟閣集)≫이 있다.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