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록 ()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흑룡록(黑龍錄), 흑룡일기(黑龍日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카지노 한국인」은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이 작품은 16세기 임진왜란이 발생하기 전·후의 조선의 정치 상황과 왜적의 실상 및 당시 전쟁의 경과를 보여 주는 역사소설이다. 「카지노 한국인」 서두에는 선조 때의 붕당 정치로 인한 어지러운 정치상과 왜국 풍신수길이 조선을 정벌하려는 내용이 나타난다. 이후 왜군이 조선을 정벌하는 과정과, 이순신이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는 내용,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나라 구원병 이야기, 그리고 사명당 등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실상과 항쟁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정의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이본사항

한글본으로는슬롯사이트사이트ACBD;슬롯사이트사이트D310;슬롯사이트사이트BCF8; · 바카라 온라인C644;바카라 온라인D310;바카라 온라인BCF8;이 있다. 필사본(筆寫本)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본, 이명선본(李明善本) 흑룡록(黑龍錄), 백순재본(白淳在本) 흑룡일기(黑龍日記), 한남대학교 도서관본(3책)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토토 사이트 바카라138;토토 사이트 바카라C3D;토토 사이트 바카라11C;관의 구활자본(舊活字本) 「카지노 한국인」도 전하고 있다.

한문본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본이 역사적 사실과 매우 가까운 것으로, 장서각본주1과 같은 계통이다.주2은 고려대학교주3· 경북대학교 도서관본(번역)과 계맥을 같이하고 있다.

「카지노 한국인」은 60여 종의 이본(異本)을 가지고 있으며 이본군(異本群)만 6가지로 분류된다. 그중 핵심 계열인 ‘역사 계열’ · ‘최일영 계열’ · ‘관운장 계열’은바카라 꽁 머니C784;바카라 꽁 머니C9C4;바카라 꽁 머니C65C;바카라 꽁 머니B780;이라는 공통적 화소(話素)를 가지고 있으나 그 차이가 크다.

‘역사 계열’ 한문본은 가장 이른 시기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 역사와 비교하기 쉽고 일관된 논리를 지니고 있다. ‘최일영 계열’은 실존 인물의 행적이나 관련바카라 전부C124;바카라 전부D654;의 주역을 최일영으로 대체했다는 특징이 있으며, 대다수 이본에는토토사이트추천C774;토토사이트추천C21C;토토사이트추천C2E0;이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최일영의 영웅적 일대기를 바탕으로 카지노 한국인왜란의 역사를 재구성했으며 허구성이 강하다. ‘관운장 계열’은 ‘역사 계열’과의 친연성(親緣性)이 크며주10과 명나라 군대 · 관우(關羽)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한문본인 역사 계열에서는 조정의 무능한 실상을 드러내는 한편, 이순신의 전승담 및 의병(義兵)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한글본 계열은 허구성이 더 많이 개입되어 있으며 가공의 인물을 설정해서 임란 중 승리자로 설정해 놓았다. 그리고주32의 출생담, 일본 장수에 관한 서술도 긍정적인 편이며 그들의 능력과 일본의 전력을 높이 평가해 놓았다. 이는 카지노 한국인왜란 이후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완화하는 동시에 풍신수길과 그의 장수들의 전력을 높이 평가함으로써, 카지노 한국인왜란이 조선이 감당하기 어려운 전쟁이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음을 보여 준다. 이로써 조선의 자존심을 회복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깔려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카지노 한국인」은 임진왜란의 경과에 따라 해당 인물의 활약상을 서술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근대 초기에는 「카지노 한국인」의 개별 화소의 등장인물을 분리하여 해당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면서 임진왜란의 경과를먹튀 없는 바카라 사이트C804;먹튀 없는 바카라 사이트AE30;의 형식으로 서술하여 작품을 구성하였다.

내용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카지노 한국인」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위공의 부인이 남방으로 큰 별이 떨어져 광채를 발하는 태몽을 꾼 후 관운장(關雲長)의 꿈으로 일경(日景)을 낳는 데서 비롯되어, 나중에 선조의 꿈을 최일경이 해몽하다가 동래로 귀양 가면서 임진왜란이 발발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그 뒤 이순신이 왜장 마홍에게 죽고, 마홍이정품 슬롯사이트AC15;정품 슬롯사이트D64D;정품 슬롯사이트B9BD;에게 죽고, 천동이 정충남(鄭忠男)에게 죽고, 충남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33]에게 죽고, 가토는 이여송에게 죽는 짜임새 있는 전쟁사가 눈길을 끈다.

특히,인터넷 바카라C720;인터넷 바카라C131;인터넷 바카라B8E1;이 이여송의 군대에 지원을 청할 때 압록강에서 벌인 재주 겨룸이라든가, 이여송이 조선 산천의 지맥(地脈)을 끊으려다 태백 산신의 질책을 받고 본국으로 도주하는 대목이 눈길을 끈다. 이는카지노사이트C9D5;카지노사이트BE44;카지노사이트B85D;에 나오는 ‘명나라 군사[明軍]가 토해낸 음식을 조선군이 거두어 먹는다.’라는 기록처럼, 당시 지원군의 횡포에 대한 조선인의 의식과,주13및 배명사상(排明思想)까지 함께 보여주고 있다. 전쟁이 끝난 후 이여송이 조선 산천의 맥을 끊으려다 노인의 인도로 태백산에 들어가주14를 만나고 크게 질책당하는 구성은, 한문본 계통의 작품에 더 강화되어 있어 민중 속에 배명 의식의 뿌리가 깊음을 말해 준다.

또한, 서산대사(西山大師)의 제자 사명당(四溟堂)이 왕명으로 왜국에 들어가 신이한 신통력으로 항복을 받아 내고 이후 왜인들이 조선에 사죄하고 공물을 바치는주16이 됨으로써 세상이 태평해진다.

이본들 가운데 나타난 「카지노 한국인」 속의 가장 대표적 설화는 다음과 같다.

① 사명당이 일본국에 항복 받는 설화, ② 김응서(金應瑞) · 강홍립이 일본 정벌에 나서는 설화, ③ 이여송 군대의 원병(援兵)과 관련한 설화, ④ 관운장이 조선군을 뒤에서 도와준다는 설화, ⑤ 최일경의 꿈풀이에 관한 충고 설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이 함께 어우러져 민족적 분노와 반성의 역사적 의식을 표출해 내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카지노 한국인」은 밖으로는 외적의 침략으로부터 국가의 영토와 민족을 수호하려는 분노를 고취시키면서, 안으로는주20으로 인한 허점을 드러내 외적의 침략을 자초한 뼈아픈 참회의 뉘우침이 담겨 있다. 말하자면 전란(戰亂)을 계기로 되돌아본 분노와 반성의 민중사(民衆史)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소설인 만큼 거의 모든 이본이 역사적 사실을 의도에 따라 크게 허구화하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현실적으로 패배한 패전의 역사를 허구적 승전사로 꾸며 놓음으로써 쓰라린 패배에 대한 정신적 보상을 얻으려는 것이 그 예이다.

한편 경판본 · 한남대본 등을 중심으로 한 「카지노 한국인」에는 이순신의 활약상이 상당한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의식은 임진왜란의 뒤를 잇는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BCD1;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C790;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D638;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B780;의 의식과도 이어지며,온라인바카라AD70;온라인바카라B2F4;온라인바카라C18C;온라인바카라C124;이 잇따라 창작되는 원인이 되었다.

「카지노 한국인」에는주25의 동굴 모티프가 수용되어 있다. 국조신화는 나라가 위태로울 때 거론됐다. 「카지노 한국인」은 국가의 위기 · 극복 · 승리로 구성되어 있다. 전쟁 당시 무기도 없이 왜군과 맞서 싸운 관군(官軍)들과 의병들은 왜군이 물러나도록 만들었으며, 이러한 저력은 국조신화의 동굴 모티프가 집단적 무의식에 수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순신 ·토토 도박ACFD;토토 도박C7AC;토토 도박C6B0; · 우리 카지노AE40;우리 카지노B355;우리 카지노B839; · 슬롯사이트C815;슬롯사이트BB38;슬롯사이트BD80; · 카지노 게임 종류C870;카지노 게임 종류D5CC; · 카지노 바카라C601;카지노 바카라ADDC;· 김응서 ·토토사이트추천B17C;토토사이트추천AC1C; · 주29등을 부각시켜 그들을 높이고 우러르는 모습에서 민족적 영웅을 갈망하는 사상이 싹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카지노 한국인」은 과거를 반성하고 삶에 대한 새로운 의지를 북돋게 하는 민중 의식이 반영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壬辰錄』(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카지노 한국인』(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金光淳 編著, 『韓國古小說全集 권78』(博而精, 2007)

단행본

조동일, 「카지노 한국인에 나타난 김덕령」(『상산이재수박사환력기념논문집』, 형설출판사, 1972)
김태준, 『카지노 한국인란과 조선문화의 동점』(한국연구원, 1977)
소재영, 『임병양란과 문학의식』(한국연구원, 1980)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임철호, 『壬辰錄 硏究』(정음사, 1986)
임철호, 『카지노 한국인 이본연구』Ⅰ∼Ⅳ(전주대학교출판부, 1996)
최문정, 『카지노 한국인 이본연구』(박이정, 2001)

논문

김순휴, 「카지노 한국인고」(『동악어문학』 4, 동악어문학회, 1966)
소재영, 「카지노 한국인연구」(『숭전어문학』 1, 숭전어문학회, 1972)
소재영, 「카지노 한국인한문본논고」(『국문학논집』 5·6, 단국대국어국문학과, 1972)
蘇在英, 「壬辰錄說話の一硏究」(『朝鮮學報』 89, 朝鮮學會, 1978)
신태수, 「카지노 한국인에 나타난 허구적 인물의 성격과 기능」(『韓民族語文學』 14, 한민족어문학회, 1987)
윤경수, 「『카지노 한국인』의 작가의식과 민족의식 고찰 ―민족의식의 자각을 중심으로―」(『한국사상과 문화』 63, 韓國思想과 文化, 2012)
임철호, 「壬辰錄 硏究」(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장경남, 「근대 초기 <카지노 한국인의 전변 양상」(『고소설연구』 36, 한국고소설학회, 2013)
정길수, 「전쟁의 기억과 <카지노 한국인 -<카지노 한국인 "역사 계열" 한문본을 중심으로-」(『국문학연구』 29, 국문학회, 2014)
주석
주1

단실거사(丹室居士) 편, 6권 6책, 한문필사본.

주2

김진태 역, 國際文化館 발행.

주3

필사본. 1책. 兎公傳과 합철되어 있음.

주4

손으로 써서 만든 책.우리말샘

주5

국문 소설류를 신식 활판 인쇄기로 찍어 발행한 것을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7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우리말샘

주8

소설 따위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우리말샘

주10

중국 명나라의 무장(武將)(?~1598). 자는 자무(子茂). 호는 앙성(仰城). 카지노 한국인왜란 때에 병사 4만을 이끌고 우리나라를 도우러 와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군을 무찔렀으나, 벽제관(碧蹄館) 싸움에서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에게 크게 패하였다.우리말샘

주11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무장(?~219). 자는 운장(雲長). 장비, 유비와 의형제를 맺고 적벽전에서 조조의 군대를 격파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웠다. 뒤에 위나라와 오나라의 동맹군에게 패한 뒤 살해되었다.우리말샘

주12

풍수지리에서, 땅속의 정기가 순환한다는 줄.우리말샘

주13

일본 사람이나 일본의 문물, 사상, 언어, 정치 따위를 배척하는 사상.우리말샘

주14

신선의 시중을 든다는 푸른 옷을 입은 사내아이.우리말샘

주16

강대국에 종속되어 그 지배를 받는 약소국가.우리말샘

주20

당파를 이루어 서로 싸우던 일.우리말샘

주23

민중이 겪어 온 역사. 주로 피지배 계급으로서의 일반 대중의 삶과 투쟁을 다룬다.우리말샘

주24

어떤 현상이나 사물이 발생하거나 일어날 원인을 속으로 가지다.우리말샘

주25

한 나라의 건국과 관련하여 창시자의 탄생 내력과 삶의 자취를 다룬 신화.우리말샘

주26

반복하여 나타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낱말ㆍ문구ㆍ내용을 이르는 말. 설화에서 반복하여 등장하는 이별한 임이나 서양 동화의 요술 할머니 또는 미녀 따위를 예로 들 수 있다.우리말샘

주27

예전에, 국가에 소속되어 있던 정규 군대.우리말샘

주28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하여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군대. 또는 그 군대의 병사.우리말샘

주29

조선 시대의 기생(?~1592). 카지노 한국인왜란 때 적장(敵將)을 유인하여 김응서(金應瑞)로 하여금 목을 베게 한 후 자결하였다.우리말샘

주31

전투에서 자기편을 도와주는 군대.우리말샘

주32

일본의 무장ㆍ정치가(1537~1598). 일본을 통일하고 중국 대륙 침략의 야망을 실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공격하여, 카지노 한국인왜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다. ⇒규범 표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이다.우리말샘

주33

일본의 무장(1562~1611). 카지노 한국인왜란과 정유재란 때 선봉으로 종군하였다.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