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 ()

조선시슬롯 머신;사
인물
조선 후기 역모죄로 사사된 왕족 · 종실.
이칭
군호
복창군(福昌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1년(인조 19)
사망 연도
1680년(숙종 6)
본관
전주(全州)
관련 사건
3복의 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정은 조선 후기 역모죄로 사사된 왕족·종실이다.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아들로, 복창군에 봉해져 동생 복선군, 복평군과 함께 ‘3복’이라 불렸다. 왕실 및 외교 관련 업무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평소 행실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정치적으로는 남인과 깊게 연결되어 숙종의 왕권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결국 ‘홍수의 변’으로 정치적 갈등의 한복판에 섰으며, 경신환국 당시 역모죄로 사사당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역모죄로 사사된 왕족 · 종실.
주요 활동

복창군(福昌君)에 봉하여졌다. 형 복녕군(福寧君)이 비교적 일찍 세상을 떠나 두 동생인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과 함께 ‘3복’이라 불렸다.온라인 바카라D6A8;온라인 바카라C885;과 현종의 두터운 은혜를 입어 궁중에 자유로이 드나들었다. 1663년(현종 4)바카라 게임C0AC;바카라 게임C639;바카라 게임C6D0; 토토 카지노C81C;토토 카지노C870;에 임명되고, 1668년 9월무료 슬롯 사이트C9C4;무료 슬롯 사이트D558;무료 슬롯 사이트C0AC;바카라 규칙C0AC;바카라 규칙C740;바카라 규칙C0AC; 바카라C815;바카라C0AC;로 중국 청나라에 다녀오는 등 종친으로서 왕실 및 외교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그러나 행실에 문제가 있어 계속하여 신하들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1665년에는정품 슬롯사이트B0B4;정품 슬롯사이트C218;정품 슬롯사이트C0AC;에 바치는 용천(龍川)의 포(布)와 곡물을 멋대로 빼앗았다는 죄목으로, 1668년에는 경기 지방에 사냥을 나가 백성들에게 폐를 끼쳤다는 죄목으로주1를 받았다. 기생을 끼고 궁중에 출입한다는 말이 돌아주2 바카라 아라C1A1;바카라 아라C2DC;바카라 아라C5F4;카지노리거CC28;카지노리거C790;를 올리며 이를 거론하기도 하였다.

1673년 두 동생들과 함께 『황명통기(皇明通紀)』‧『십육조광기(十六朝廣記)』‧『양조종신록(兩朝從信錄)』 등의 중국 역사서에카지노사이트 추천C778;카지노사이트 추천C870;카지노사이트 추천BC18;카지노사이트 추천C815;주3’으로 기록된 사실을 발견하고, 청이 『명사(明史)』를주4할 때에 이러한 사실을 바로잡아야 한다며주5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를 논의하던 중 대비무료 슬롯 사이트C778;무료 슬롯 사이트C120;무료 슬롯 사이트C655;무료 슬롯 사이트D6C4;에 이어 현종까지 승하하면서 변무는 이뤄지지 못하였다.

토토 가상계좌 디시C219;토토 가상계좌 디시C885;이 왕위에 오른 뒤에도 사은사 겸무료 바카라 게임B3D9;무료 바카라 게임C9C0;무료 바카라 게임C0AC;로 청에 다녀오는 등 이전부터의 외교 업무를 계속하였다. 그러나 숙종이 아직 어리고주6가 없는 상황에서 복창군을 비롯한 인평대군의 아들들은 왕권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인식될 수 있었고, 특히 ‘3복’이바카라 대박 디시B0A8;바카라 대박 디시C778;들과 깊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숙종의 어머니인우리카지노추천BA85;우리카지노추천C131;우리카지노추천C655;우리카지노추천D6C4;는 이들의 정치적 세력화를 우려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복창군이주7에서 돌아온 직후인 1675년 3월 명성왕후의 아버지카지노사이트추천AE40;카지노사이트추천C6B0;카지노사이트추천BA85;이 소를 올려 복창군과 복평군이 궁궐에 출입하며 궁녀와 간통하였다고 고발하며, 이른바 ‘슬롯 사이트 슬롯사이트D64D;슬롯’을 일으켰다. 이후 이들의 처벌을 두고 남인과에볼루션 바카라 무료C11C;에볼루션 바카라 무료C778;의 갈등이 계속되었다. 결국, 명성왕후의 증언으로 간통은 사실로 인정되어 유배형에 처해졌다.

몇 달 후 석방되어 1677년(숙종 3)에는카지노 잭팟C9C4;카지노 잭팟C8FC;카지노 잭팟C0AC;로 중국 청나라에 파견되는 등 외교적 역할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복창군의 존재가 왕권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은 여전히 변하지 않았고,주8정국 속에서 붕당 간의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언제든지 다시 유사한 사건이 벌어질 수 있었다.

결국, 1680년(숙종 6)바카라 에볼루션ACBD;바카라 에볼루션C2E0;바카라 에볼루션D658;바카라 에볼루션AD6D;으로 남인이 축출되고 서인 정권이 들어서면서,메이저사이트D5C8;메이저사이트C801;의 서자카지노 사이트D5C8;카지노 사이트ACAC;이 복선군을 옹립하려 하였다는 정원로(鄭元老)의주9으로 인해 이른바 ‘3복의 옥’이 일어나주10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논문

윤정, 「肅宗代明史辨誣의 정치사적 의미- 三藩의 반란에 대한 조선 정부의 대응」(『역사와실학』 70, 역사실학회, 2019)
한지희, 「숙종 초 ‘紅袖의 變’과 明聖王后 金氏의 정치적 역할」(『한국사학보』 31, 고려사학회, 2008)
주석
주1

벼슬아치의 죄과(罪過)를 추문(推問)하여 고찰함.

주2

조선 시대에 둔, 중추부의 으뜸 벼슬. 종일품 벼슬이며 관찰사나 병마절도사를 겸하기도 하였다.우리말샘

주3

임금의 자리를 빼앗으려고 반역함.우리말샘

주4

책이나 글을 지음.우리말샘

주5

사리를 따져서 억울함을 밝힘.우리말샘

주6

대(代)를 잇는 자식.우리말샘

주7

사신이 중국의 베이징에 가던 일. 또는 그 일행.우리말샘

주8

시국 또는 판국이 바뀜.우리말샘

주9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 따위를 알림.우리말샘

주10

죽일 죄인을 대우하여 임금이 독약을 내려 스스로 죽게 하던 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