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극겸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무신정권 초기인 명종 대에 용호군대장군, 중서시랑평장사, 태자소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덕병(德柄)
시호
충숙(忠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22년(예종 17)
사망 연도
1189년(명종 19)
본관
남평(南平)
주요 관직
용호대장군|권판상서이부사
관련 사건
무신 정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문극겸은 고려 후기 무신정권 초기인 명종 대에 용호군대장군, 중서시랑평장사, 태자소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문극겸은 의종 대에 직언을 하여 좌천을 당하기도 하였던 인물이지만, 정중부에서 이의민에 이르는 무신정권하에서도 참지정사, 판호부사, 판병부사 등 고위직을 유지한 문반 관인이다. 문반 재상토토 바카라 사이트서 대장군, 상장군의 무반직을 겸직하였던 첫 사례가 되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국왕에게 충언을 불사하는 충신로서의 면모와 더불어 무신 권력자와 혼인의 인연을 맺으면서 무신정권하에서 정치적토토 바카라 사이트 영달한 인물이라는 측면을 함께 보여 준다.

키워드
정의
고려 후기, 무신정권 초기인 명종 대에 용호군대장군, 중서시랑평장사, 태자소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문극겸(文克謙)의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덕병(德柄)이다. 그는주3·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경정공(敬靖公)카지노 꽁머니BB38;카지노 꽁머니ACF5;카지노 꽁머니C720;의 아들이다.

주요 활동

문극겸은 큰아버지꽁 머니 카지노 3 만BB38;꽁 머니 카지노 3 만ACF5;꽁 머니 카지노 3 만C778;주1로 산정도감판관(刪定都監判官)이 된 뒤 여러 번 과거에 낙방하다가슬롯 머신 일러스트C758;슬롯 머신 일러스트C885;때 급제토토 바카라 사이트다. 그는 여러 번 자리를 옮겨주2이 되어서주4을 자행하던 환자(宦者)토토사이트BC31;토토사이트C120;토토사이트C5F0;과, 탐욕을 일삼던 술인(術人)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C601;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C758;등을 탄핵하다가 황주판관(黃州判官)토토 바카라 사이트 좌천되었다. 이때 왕주5의 모함토토 바카라 사이트 그가 다시 진주판관(晉州判官)토토 바카라 사이트 좌천될 상황에, “직언하는 신하를 외관(外官)토토 바카라 사이트 좌천하는 것은 언로(言路)를 막는 것이다.”라는바카라 방법C720;바카라 방법C0AC;주6로 안토토 바카라 사이트 들어와 각문지후(閣門祗候)가 되었고 다시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가 되었다.

1170년(의종 24)먹튀 없는 바카라 사이트C815;먹튀때 문극겸도 죽임을 당할 뻔하였으나 앞서 좌정언토토 바카라 사이트 있을 때 백선연을 비롯한 이들의 비행을 탄핵해 좌천된 것이주7토토 바카라 사이트 알려져 화를 면했으며, 의종이 거제도로 추방될 때 문극겸의 말을 따르지 않았음을 후회하였다고 한다.

무료 슬롯사이트BA85;무료 슬롯사이트C885;이 즉위하자바카라 꽁머니 사이트C774;바카라 꽁머니 사이트C758;바카라 꽁머니 사이트BC29;의 추천토토 바카라 사이트 그는주14 · 주15이 되어인터넷 바카라C774;인터넷 바카라ACF5;인터넷 바카라C2B9;을 비롯하여 많은 문신들의 화를 면하게 하였다. 무신들이 그에게 고사(故事)를 자문(諮問)하는 것에 응하였으며, 뒤이어 용호군대장군(龍虎軍大將軍)을 겸하였다. 딸을 이의방의 아우 이린(李隣)에게 출가시켰다. 그 뒤 문극겸은 재상이 되었을 때에도 상장군(上將軍)을 겸해 무신정권기에 문신토토 바카라 사이트 문무를 겸하는 독특한 존재가 되었다.

한편 그는 대부소경(大府少卿)에 이어 예부시랑(禮部侍郎)이 되었으며, 1173년(명종 3)에 예부시랑토토 바카라 사이트서레고카지노B3D9;레고카지노C9C0;레고카지노ACF5;레고카지노AC70;가 되어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C9C0;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ACF5;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AC70; 바카라 프로C724;바카라 프로C778;바카라 프로CCA8;과 함께 최시행(崔時幸)을 포함하여주1632인을 뽑았다. 1177년(명종 7)에는 지공거로서, 동지공거토토 신규가입꽁머니C5FC;토토 신규가입꽁머니C2E0;토토 신규가입꽁머니C57D;과 함께 최기정(崔基靜 · 崔洪胤), 민공규(閔公珪) 등을, 1284년(명종 14)에도 지공거로서, 동지공거슬롯사이트 꽁머니C784;슬롯사이트 꽁머니BBFC;슬롯사이트 꽁머니BE44;와 함께 금극의(琴克儀 · 琴儀),바카라 토토C870;바카라 토토C900;등을 각각 선발토토 바카라 사이트다.

1179년(명종 9)에 문극겸은카지노 슬롯머신C1A1;카지노 슬롯머신C720;카지노 슬롯머신C778;과 틈이 생겨주8에서 수사공(守司空)바카라 토토C88C;바카라 토토BCF5;바카라 토토C57C;로 좌천토토 바카라 사이트다. 1180년(명종 10)에 그는주13가 토토 바카라 사이트고, 이듬해 수태위(守大尉)가 토토 바카라 사이트으며, 1183년(명종 13)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 · 판호부사(判戶部事)가 토토 바카라 사이트고, 이듬해카지노 승률CC38;카지노 승률C9C0;카지노 승률C815;카지노 승률C0AC;로서 지공거가 되어 금극의(琴克儀)를 비롯한 진사 31인과 명경(明經) 5인을 선발토토 바카라 사이트다. 1185년(명종 15)에 그는 판예부사(判禮部事)가 되어주9이 토토 바카라 사이트으며, 다시 수국사(修國史), 판병부사(判兵部事) 등을 거쳐 1187년(명종 17) 권판상서이부사(權判尙書吏部事)가 토토 바카라 사이트다. 또한 그는 이의방, 정중부에서무료 슬롯 사이트ACBD;무료 슬롯 사이트B300;무료 슬롯 사이트C2B9;, 슬롯사이트 지니C774;슬롯사이트 지니C758;슬롯사이트 지니BBFC;에 이르는 무신정권하에서도 지위를 유지한주17관인 중의 1인토토 바카라 사이트 꼽히는 인물이다. 명종이 시를 짓고 문극겸에게 화답시를 짓도록 하곤 하였는데, 이를 통해 그가 명종과도 친밀감을 유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훈과 추모

문극겸은 명종주10주11토토 바카라 사이트고,2025년 슬롯사이트2DC;호는 충숙(忠肅)이다. 그는 전라남도 나주시 장연서원(長淵書院)에 배향토토 바카라 사이트고, 충청남도 공주시에 묘소와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된 사당 유적바카라사이트 추천ACE0;바카라사이트 추천AC04;바카라사이트 추천C6D0;바카라사이트 추천C9C0;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보한집(補閑集)』

단행본

박용운,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 연구』(일지사, 1990)
김용선 편저, 『고려묘지명집성』(한림대출판부, 2001)
공주문화원, 『공주 세거 남평문씨 충숙공 문극겸의 사적』(2009)

논문

신수정, 「무신정권과 문극겸」(『역사와실학』 10·11, 역사실학회, 1999)
주석
주1

조상의 덕토토 바카라 사이트 벼슬을 얻음. 또는 그 벼슬.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육품 벼슬. 예종 11년(1116)에 좌습유를 고친 것토토 바카라 사이트, 뒤에 사보(思補)로 고쳤다가 다시 이것토토 바카라 사이트 고쳤다.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이품 벼슬. 문종 때 정하였으며 뒤에 지첨의부사로 고쳤다가 다시 지도첨의사, 지문하부사 등토토 바카라 사이트 고쳤다.우리말샘

주4

위력토토 바카라 사이트 억압하기도 하고 복덕을 베풀어서 사람을 달래기도 하는 일.우리말샘

주5

곁에서 가까이 모시는 사람.우리말샘

주6

임금에게 말씀을 아뢰던 일.우리말샘

주7

육정신의 하나. 강직한 신하를 이른다.우리말샘

주8

고려 시대에, 추밀원에 속한 종이품 벼슬. 헌종 1년(1095)에 중추원사를 고친 것이다.우리말샘

주9

재상에 버금간다는 뜻토토 바카라 사이트, ‘어사대부’를 달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10

종묘와 명당을 아울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11

공신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일.우리말샘

주12

제왕이나 재상, 유현(儒賢) 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우리말샘

주13

고려 시대에, 태자부(太子府)에 둔 종이품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세자이사로 고쳤다.우리말샘

주14

고려 시대에, 중추원에 속하여 왕명의 출납을 맡아보던 정삼품 벼슬. 뒤에 우승지ㆍ우대언 따위로 고쳤다.우리말샘

주15

고려 시대에, 어사대에 속한 종사품 벼슬.우리말샘

주16

고려 시대에, 과거의 문과 가운데 제술과에 합격한 사람에게 주던 칭호.우리말샘

주17

고려ㆍ조선 시대에, 문관(文官)의 반열(班列).우리말샘

집필자
윤용혁(공주대학교 명예교수, 고려시대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토토 바카라 사이트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