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릉 ()

조선시카지노 슬롯 머신 하는 법;사
유적
조선 태조의 4카지노 슬롯 머신 하는 법;조인 추존왕 목조의 능.
이칭
이칭
덕안릉(德安陵)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목조|효공왕후
소재지
함경남도 신흥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덕릉(德陵)은 조선 태조의 4대조인 추존왕 목조의 능이다. 목조 덕릉과 효공왕후 안릉이 쌍릉으로 조영되어 있어서, 덕안릉(德安陵)이라고도 한다. 덕릉은 경흥부성 남쪽 안릉과 4리쯤 떨어져 있었으나 1410년 현재의 자리로 천릉하면서 쌍릉으로 조성하고 왕릉에 준해 석물을 갖추었다. 덕릉은 현재 함경남도 신흥군 가평면 능리에 있다.

정의
조선 태조의 4카지노 슬롯 머신 하는 법;조인 추존왕 목조의 능.
건립경위

바카라 전부BAA9;바카라 전부C870;는 조선카지노 꽁 머니D0DC;카지노 꽁 머니C870;의 4대조이며, 이름은 이안사(李安社, ?~1274)이고, 오동(斡東)바카라 성공 디시CC9C;바카라 성공 디시D638;를 지냈다. 1392년 태조가 즉위하자 목왕(穆王)으로 추존하고, 덕릉(德陵)으로 추봉하였다. 목조의 비는샌즈 카지노 사이트D6A8;샌즈 카지노 사이트ACF5;샌즈 카지노 사이트C655;샌즈 카지노 사이트D6C4;이고,슬롯 머신C775;슬롯 머신C870;이행리(李行里)가 아들이다.

덕릉은 처음에는 경흥부성(慶興府城) 남쪽에 있었으나 야인(野人)들의 침입을 걱정하여 1410년 현재 자리로 천릉하였다. 덕릉과카지노 꽁돈C548;카지노 꽁돈B989;을 천릉하면서 쌍릉과 합장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주자(朱子)의 ‘혈(穴)은 같이 하고 곽은 각각 쓴다는 설(設)’을 모방해 동원이영(同原異塋)으로 조영하였다. 그래서 덕릉은 서편, 안릉은 동편에 있다.

변천

1411년에는 덕릉과 안릉에 표석과 재실을 지었으며, 조선시대 내내 지속적인 관리를 하였다. 1901년에는슬롯사이트ACE0;슬롯사이트C885;주1표석을 세웠으며, 덕릉과 안릉뿐만 아니라슬롯 머신 일러스트C9C0;슬롯 머신 일러스트B989;, 바카라 시뮬레이션C219;바카라 시뮬레이션B989;, 토토 롤링C21C;토토 롤링B989;, 슬롯사이트 추천C815;슬롯사이트 추천B989;, 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D654;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B989;에도 표석을 건립하고, 1906년에주2을 건립하였다.

형태와 특징

덕릉과 안릉은 상중하계(上中下階)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계에는 한 곡장 안에 덕릉과 안릉의 봉분이 각각주3을 두르고 있고, 각 봉분 앞에주4이 있다. 각 봉분 주변에는주5, 주6이 각기 2쌍씩 배치되어 있다. 중계에는안전한 바카라 사이트C7A5;안전한 바카라 사이트BA85;안전한 바카라 사이트B4F1;, 주72쌍, 하계에는주82쌍과 마석 4쌍이 배치되어 있다.

덕릉과 안릉의주9은 능 아래 70보 거리에 있으며, 정자각 주변에 수라청(水刺廳)과주10가 있다.주11은 정자각 동쪽 170보, 비석은 정자각 동쪽 160보, 재실은 홍살문 동쪽 210보에 있다.

금석문

1906년 건립된 비각 안에는 덕릉과 안릉 표석 총 4기가 있다. 1410년에 건립된 덕릉 표석은 앞면에 ‘목왕덕릉(穆王德陵)’, 뒷면에 ‘영락팔년시월일립(永樂八年十月日立)’이라고 새겨져 있다. 1901년에 건립된 고종 어필 표석에는 앞면에 ‘대한목조대왕덕릉(大韓穆祖大王德陵)’이라는 전서(篆書)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주12가 있다.

의의 및 평가

덕릉은 조선 전기 추존왕릉의 제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병풍석에 인석(引石)과 난간석이 없는 것이나,주13이 설치되지 않은 점, 마석이 하계에 모여 있는 점 등 15세기 왕릉과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원전

『북로능전지(北路陵殿誌)』
『춘관통고(春官通考)』
주석
주1

임금이 손수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우리말샘

주2

비를 세우고 비바람 따위를 막기 위하여 그 위를 덮어 지은 집.우리말샘

주3

능(陵)을 보호하기 위하여 능의 위쪽 둘레에 병풍처럼 둘러 세운 긴 네모꼴의 넓적한 돌. 겉에 12신(神)이나 꽃무늬 따위를 새긴다.우리말샘

주4

넋이 나와 놀도록 한 돌이라는 뜻으로, 상석(床石)과 무덤 사이에 놓는 직사각형의 돌을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5

왕릉이나 무덤 앞에 세워 놓은, 돌로 만든 양 모양의 조각물.우리말샘

주6

왕릉이나 큰 무덤 주위에 돌로 만들어 세운 호랑이.우리말샘

주7

능(陵) 앞에 세우는 문관(文官)의 형상으로 깎아 만든 돌. 도포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나 금관을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을 하고 있다.우리말샘

주8

능(陵) 앞에 세우는 무관(武官) 형상으로 만든 돌. 능 앞 셋째 줄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하나씩 세운다.우리말샘

주9

왕릉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봉분 앞에 ‘丁’ 자 모양으로 지은 집.우리말샘

주10

제사를 마치고 헌관(獻官)과 집례(執禮)가 축문(祝文)과 폐백(幣帛)을 파묻는 것을 지켜보던 자리.우리말샘

주11

능(陵), 원(園), 묘(廟), 대궐, 관아(官衙) 따위의 정면에 세우는 붉은 칠을 한 문(門). 둥근기둥 두 개를 세우고 지붕 없이 붉은 살을 세워서 죽 박는다.우리말샘

주12

비석의 뒷면에 새긴 글.우리말샘

주13

무덤 앞의 양쪽에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 돌 받침 위에 여덟모 진 기둥을 세우고 맨 꼭대기에 둥근 대가리를 얹는다.우리말샘

집필자
김민규(동국카지노 슬롯 머신 하는 법; 강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