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조 ()

안변 조선 익조 지릉
안변 조선 익조 지릉
조선시슬롯 머신;사
인물
조선전기 제1슬롯 머신; 태조의 증조부. 추존왕.
이칭
이칭
이행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전주
출생지
덕원
주요 관직
익왕(翼王)|다루가치(達魯花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제1슬롯 머신; 태조의 증조부. 추존왕.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행리(行里)이다. 덕원 출신이다. 조선을 건국한카지노 꽁 머니D0DC의 증조부이다. 아버지는바카라 전부BAA9;바카라 전부C870;이며, 어머니는 평창이씨(平昌李氏)로지니 카지노CC9C;지니 카지노C6B0;지니 카지노C704;이숙(李肅)의 딸이다. 비는 등주최씨(登州崔氏)레고카지노D638;레고카지노C7A5;최기열(崔基烈)의 딸샌즈 카지노 사이트C815;샌즈 카지노 사이트C219;샌즈 카지노 사이트C655;샌즈 카지노 사이트D6C4;이다. 1394년(태조 3) 4대조 추존 당시 익왕(翼王)으로 추존되었다.무료 바카라 게임D0DC;무료 바카라 게임C885;때 다시 익조로 추존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75년(충렬왕 1)에 아버지로부터바카라 성공 디시CC9C;바카라 성공 디시D638;바카라 성공 디시B2E4;바카라 성공 디시B8E8;바카라 성공 디시AC00;바카라 성공 디시CE58;의 직을 세습하였다. 그가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C54C;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B3D9;에서 세력을 다지고 있는 동안 원나라의 세조는사설 바카라 일본(日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침략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때 원나라의 명령을 받고 본소(本所)의 군인을 선발해 원정군에 협력하였다.

이 무렵 그가카지노 꽁돈CDA9;카지노 꽁돈B82C;카지노 꽁돈C655;을 알현한 기사가바카라사이트ACE0;바카라사이트B824;바카라사이트C0AC;에 실려 있다. 그는 엄연히 원나라의 신하가 된 역신인데도 충렬왕은 그를 옛날의 신하로 온건하게 대하였다. 그도 충렬왕에게고려를 배반한 죄과를 용서해 줄 것을 빌었던 것으로 나타나 있다.

알동에 살면서 안변 ·바카라 레전드D654;바카라 레전드C8FC;· 함주에도 자주 내왕하여 활동영역을 넓혔다. 1300년에 원나라로부터 승사랑의 산계(散階)를 받은 것은 부원세력으로서 확고한 기반을 닦고 있었음을 입증한다. 그러나 아버지 안사 때와는 달리무료 바카라 게임C5EC;무료 바카라 게임C9C4;과 마찰을 빚었다.

그것은 이때 원나라의 통치력이 약화하고 원장(元將) 산길(散吉)의 영향력이 없어졌기 때문이었다. 여진인들은주1을 정찰하는 도중에 그를 제거하려 하였다. 그러나 그는 재빨리 두만강 하류의 적도(赤島)로 피해 화를 면하였다.

알동의 주민이 이 곳으로 옮겨와서 한동안 같이 살았다. 1290년(충렬왕 16) 직도(稷島) · 추도(楸島) · 초도(草島)의 재목으로 배 10척을 만들어 뱃길로 연고지인 의주로 옮겨와서 살다가 죽었다. 능은슬롯 머신 일러스트C9C0;슬롯 머신 일러스트B989;으로 안변 서쪽 서곡현(瑞谷縣)에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목은집(牧隱集)』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선원계보(璿源系譜)』
「고려말(高麗末) 이성계(李成桂)의 세력기반」(허흥식, 『역사와 인간의 대응』, 1984)
「조선조(朝鮮朝) 건국(建國)을 후원(後援)한 세력(勢力)의 지역적(地域的) 기반(基盤)」(송기중, 『진단학보』78, 1994.)
「조선조(朝鮮朝) 건국(建國)을 후원(後援)한 세력(勢力)의 지역적(地域的) 기반(基盤)」(송기중, 『진단학보』78, 1994.)
「이조(李朝)の사조(四祖)の전설(傳說)と기(其)の구성(構成)」(池內宏, 『東洋學報』 5-2·5-3, 1913)
주석
주1

용비어천가에는 하관성(奚關城)으로 보임.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성준(수원슬롯 머신;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