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장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 조선시대, 향리직(鄕吏職)의 우두머리.
제도/관직
설치 시기
고려 전기
폐지 시기
조선 후기
소속
주(州)·부(府)·군(郡)·현(縣) 관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레고카지노(戶長)은 고려·조선시대 향리직(鄕吏職)의 우두머리이다. 부레고카지노(副戶長)과 더불어 레고카지노층을 형성한 향리직의 최고위직이다. 레고카지노에는 섭레고카지노·권지레고카지노·상레고카지노·수레고카지노·안일레고카지노·정조레고카지노 등이 있었는데, 상레고카지노은 읍사에서 인신(印信)을 가지고 공무를 집행하였다. 레고카지노가계(戶長家系)는 대체로 직이 세습되었고, 같은 신분 간에 통혼(通婚)이 이루어졌다. 고려에서 레고카지노층은 여러 방식으로 신분 상승을 도모할 수 있었으나, 조선시대에는 중인층으로 신분이 고정되어 신분 상승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자기 도태 현상이 초래되었다.

정의
고려 · 조선시대, 향리직(鄕吏職)의 우두머리.
임무와 직능 및 변천사항

레고카지노은바카라 꿀팁BD80;바카라과 더불어 레고카지노층을 형성, 해당 고을의 모든에볼루션 바카라 무료D5A5;에볼루션 바카라 무료B9AC;들이 수행하던 말단 실무 행정을 총괄하였다. 나말여초 지방바카라 오토프로그램D638;바카라 오토프로그램C871;들이 조직했던 지방 관반(官班) 최고위직인바카라 필승법B2F9;바카라 필승법B300;바카라 필승법B4F1;을, 983년(성종 2)주1개혁에 따라 레고카지노으로 개편하였다. 이때부터 지방에서 토호적(土豪的) 성격을 띠고 독자 세력을 유지하던 레고카지노 세력은 중앙의 집권화정책에 따라 독자성을 상실하고 지방 통치 체제에 흡수되었으나,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직접 모든 행정 공무를 집행하였다.

1018년(현종 9) 향리의주2가 마련되면서,바카라 사이트 · 바카라 방법BD80; · 카지노 잭팟AD70; ·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D604;의 경우는 1천정(丁) 이상에 레고카지노 8인, 5백정 이상은 7인, 3백정 이상은 5인, 1백정 이하는 4인이었고, 동서제방어사(東西諸防禦使) · 진장(鎭將) 지역의 경우는 1천정 이상에 레고카지노 6인, 1백정 이상은 4인, 1백정 이하는 2인이었다. 이러한 복수 레고카지노제는 지방의 특정 세력이나 개인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처로 파악된다.

또 같은 해에 향리의 공복제(公服制)가 마련되었는데, 레고카지노은 자삼(紫衫)에바카라사이트 추천D654;를 신고토토 신규가입꽁머니D640;을 잡게 하였다. 그리고 레고카지노을 임명할 때는 해당 지방관이 레고카지노을 추천,카지노 차무식C0C1;카지노 차무식C11C;카지노 차무식C131;에 보고해 승인,주3하도록 하였다. 이어 1051년(문종 5) 향리의 승진 규정이 마련되었는데, 레고카지노은 9단계의 서열 중에서 최고위직이었다.

한편, 레고카지노에는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C12D;에볼루션· 권지레고카지노(權知戶長) · 상레고카지노(上戶長) · 수레고카지노(首戶長) ·카지노 룰렛 사이트C548 · 주4등이 있어 그 임무를 분담하였다. 섭레고카지노은 권지레고카지노과 흡사해주5제반 지방 사무를 섭행했던 것으로만 파악된다. 상레고카지노은 고려 의종 이전에 중앙집권화정책이 강화되면서 다수의 레고카지노들을 포함한 향리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필요에서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레고카지노은 재지세력의 대표로서 기능하는 측면과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관직자로서 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었는데, 레고카지노의 행정적 기능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 읍사의주7을 관리하는 것이었다. 상레고카지노은 읍사(邑司)를 구성해 인신을 가지고 공무를 집행했고, 부정 행위가 있을 때는 레고카지노인(戶長印)을 받을 수가 없었으며, 일명 수레고카지노이라 하였다. 레고카지노 인신은 해당 고을에 명령을 발하는 권한을 말하며, 지방관이 없는 지역에서는주14을 대신하기도 하였다.

안일레고카지노은 나이 70세에 이르러 퇴역한 레고카지노인데, 998년(목종 1)에 안일레고카지노에게는바카라 토토C9C1;바카라 토토C804;의 절반을 주도록 하였다. 정조레고카지노은주8에 예궐숙배(詣闕肅拜)하는 직무에서 연원된 것으로 국가의 경조사 때에 군현을 대표해 상경숙배했으며, 상계리(上計吏)의 구실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레고카지노은 호구장적(戶口帳籍)의 관장 및 전조(田租) ·주9의 징수와 상납,주10을 동원하는 직무를 수행하였다. 이 외에 무적기반(武的基盤)을 배경으로 호족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궁과(弓科)로 시험해 주현일품군(州縣一品軍)의 별장에 임명되는 등 지방 군사 조직의 장교가 되어 주현군을 통솔하기도 하였다.

의의 및 평가

레고카지노가계(戶長家系)는 대체로 직이 세습되었고, 같은 신분 간에 혼인이 이루어졌다. 또한, 자손에게는 지방 교육의 기회와 더불어 과거의 응시 자격이 주어졌고, 이를 통한 중앙 관료 진출에 제약이 없었다. 고려 후기에 레고카지노층들은바카라 온라인BB34;바카라 온라인BC18;직 · 기술직 ·슬롯 꽁 머니C7A1;슬롯 꽁 머니ACFC;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CCA8;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C124;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C9C1; · 슬롯사이트 추천B3D9;슬롯사이트 추천C815;슬롯사이트 추천C9C1;등 비실직(非實職) 품관직에 나아가 점차 신분 상승을 꾀했으며, 조선시대 양반 계층을 구성하는 주요 세력층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토토 카지노ACBD;토토의 법전 체제에 따라 레고카지노층은주12으로 신분이 고정되어 신분 상승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자기 도태 현상을 낳았다. 단지 향리직의 수장(首長)으로서 조문기관(詔文記官) · 장교 등과 같이주13체제(三班體制)를 유지해 아전으로서 지방관의 제반 업무를 보좌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대전회통(大典會通)』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연조귀감(掾曹龜鑑)』

단행본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일조각, 1984)

논문

나각순, 『고려향리의 신분변화에 관한 연구』(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박경자, 『고려시대향리연구』(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윤경진, 「고려전기 레고카지노의 기능과 외관의 성격-지방행정체계상의 상관성을 중심으로-」(『국사관논총』 87, 국사편찬위원회, 1999)
이수건, 「조선조 향리의 일연구-레고카지노에 대하여-」(『문리대학보』 2, 영남대학교, 1974)
이혜옥, 「고려시대의 향역」(『이화사학연구』 17·18, 이화사학연구소, 1988)
이훈상, 「고려중기 향리제도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동아연구』 6,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1985)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문복(門僕)ㆍ주선(注膳)ㆍ대사(帶士)ㆍ전리(電吏)ㆍ소유(所由)ㆍ주의(注衣) 따위의 이속(吏屬)을 통틀어 이르던 말. 대대로 세습하는 신분 계층이다.우리말샘

주2

어떤 일이나 기관 따위에 참가하는 사람의 수효를 일정하게 정한 제도.우리말샘

주3

벼슬아치의 임명장을 발급하던 일.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수령을 대신하여 대궐에 만안을 드린 레고카지노에게 내리던 직첩(職牒).우리말샘

주5

주택, 공장, 작물 재배지 따위가 집단을 이루고 있는 일정 구역.우리말샘

주6

경계의 가장자리.우리말샘

주7

도장이나 관인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8

한 해의 처음. 또는 한 해의 첫 달.우리말샘

주9

나라에 바치던 물건과 세금을 통틀어 이르던 말. 넓게는 조세 일반을 의미하나 좁게는 전세(田稅)와 공물(貢物)을 이른다.우리말샘

주10

국가가 백성들의 노동력을 수취하던 제도. 주로 성곽이나 관아를 쌓아서 만들거나, 도로를 고치는 따위의 토목 공사에 노동력을 동원하던 것을 이른다.우리말샘

주11

혼인할 뜻을 전함.우리말샘

주12

조선 시대에, 양반과 평민의 중간에 있던 신분 계층.우리말샘

주13

문관, 음관, 무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14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認證)이 필요한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청인(廳印)과 직인(職印)이 있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