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인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1품 종친의 부인에게 내린 작호.
이칭
이칭
한국대부인(韓國大夫人), 택주(宅主)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1396년(태조 5)
시행 시기
조선시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군슬롯사이트(郡夫人)은 조선시대에 1품 종친의 슬롯사이트에게 내린 작호이다. 조선이 건국되고 1품 종친의 슬롯사이트은 옹주 혹은 택주로 불리거나 한국대슬롯사이트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성종 대 『경국대전』에 정1품과 종1품의 종친인 군의 슬롯사이트에게 군슬롯사이트의 작호를 내리도록 규정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1품 종친의 부인에게 내린 작호.
제정 목적

조선시대에볼루션 바카라 무료C885;에볼루션 바카라 무료CE5C;주1주2는 남편의 품계에 따라주3을 받았다. 군슬롯사이트은 중국 당나라부터 존재하였던 슬롯사이트의주4였다. 이후 여러 차례 지칭하는 대상이 변경되었는데, 조선은 성종 대에 『경국대전』에서 정1품과 종1품에 해당하는 종친의 적처에게 내리는 작호로 규정하였다.

1품 종친은 정1품의카지노 룰렛D604;카지노 룰렛B85D;카지노 룰렛B300;카지노 룰렛BD80;, 카지노 룰렛 사이트D765;카지노 룰렛 사이트B85D;카지노 룰렛 사이트B300;카지노 룰렛 사이트BD80;와 종1품의바카라 체험C18C;바카라 체험B355;바카라 체험B300;바카라 체험BD80;, 슬롯 꽁 머니AC00;슬롯 꽁 머니B355;슬롯 꽁 머니B300;슬롯 꽁 머니BD80;에 봉작된 인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정1품 군은 국왕의주5인 왕자군이 해당되며, 종1품 군은 적왕손(嫡王孫), 즉바카라사이트B300;바카라사이트AD70;주8가 해당된다.

군슬롯사이트은 이들의 적처에게 봉작하는 작호이다. 종친을 예우하면서 그의 슬롯사이트까지 우대하기 위하여 작호를 규정한 것이다. 다만 남편이 죄를 범하여주6이 회수되면 자연히 슬롯사이트의 봉작 역시 회수되었다.

변천사항

군슬롯사이트은 중국 당나라의무료 슬롯 머신C678;무료 슬롯 머신BA85;무료 슬롯 머신BD80;제도에서 기인하였다. 당나라는 문무 관원 3품 이상의 모친과 슬롯사이트을 지칭할 때 군슬롯사이트이라 하였다. 조선은 1396년(태조 5)에 종친이 아닌 1품 관리의주7슬롯사이트을 군슬롯사이트이라 하였다. 1417년(태종 17)에는바카라B0B4;바카라BA85;바카라BD80;무료 슬롯 머신C678;무료 슬롯 머신BA85;무료 슬롯 머신BD80;의 봉작을 규정하였는데 이때 정1품과 종1품 관원의 슬롯사이트을 군슬롯사이트에서 정숙슬롯사이트(貞淑夫人)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한편, 종친의 슬롯사이트을 부르는 명칭은 본래 고려시대부터 있었는데 공양왕 때 대군과 군의 슬롯사이트을 옹주(翁主)라고 하였다. 이 명칭은 그대로 조선 건국 이후에도 이어졌다. 이후 대군의 처를 옹주, 군의 처를 택주(宅主)라고 구분하면서 대군과 군의 처 호칭에 변화가 생겼다.

1417년에 내명부와 외명부의 명칭을 변경하면서 군의 슬롯사이트은 종1품의 아무개 한국대슬롯사이트(韓國大夫人)으로 불렀다. 이어 1430년(세종 12)에 대소명부(大小命婦)의 봉작을 다시 한 번 규정하였는데 이때 정1품과 종1품의 정실 슬롯사이트에게는 아무개 군슬롯사이트(郡夫人)이라 부르게 하여서 종친뿐 아니라 1품 관리의 슬롯사이트도 다시 군슬롯사이트으로 부르게 되었다. 1437년(세종 19)에는 종친의 봉작을 다시 지정하면서 봉작에 군읍의 이름을 사용하도록 개정하였다.

성종 대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규정에서야 군슬롯사이트이 법제적으로 명확히 규정되었다. 이때 군슬롯사이트은 정1품과 종1품 종친의 슬롯사이트으로 한정되었다. 대군의 슬롯사이트은슬롯사이트 볼트BD80, 문무관 1품의 슬롯사이트은슬롯사이트 보스C815;슬롯사이트으로 구분되었다. 종친으로 정1품과 종1품에 오르게 되면 그 슬롯사이트까지 영예를 입었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세종실록(世宗實錄)』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주석
주1

문관과 무관을 아울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2

정식으로 예를 갖추어 맞은 아내.우리말샘

주3

제후(諸侯)로 봉하고 관작(官爵)을 줌.우리말샘

주4

관작의 칭호.우리말샘

주5

맏아들 이외의 모든 아들.바로가기

주6

조정에서 내리는 벼슬아치의 임명장.우리말샘

주7

‘본처’를 달리 이르는 말. 원래 본처가 주로 거처하는 공간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다.우리말샘

주8

1919년 이전에 첩제도가 인정되던 가족 제도에서 정실이 낳은 맏아들을 이르던 말. 적장자 제도는 조상의 제사를 승계하는 사람을 선정하는 데 필요하였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