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제도
을미사변 이후, 김홍집 내각이 태양력 사용을 채택하면서 제정한 연호.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1895카지노 토토; 11월 15일
시행 시기
1896카지노 토토;
폐지 시기
1897카지노 토토; 8월 14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건양은 을미사변 이후, 김홍집 내각이 태양력 카지노 토토을 채택하면서 제정한 연호이다. 1896년 1월 1일부터 1897년 8월 14일 ‘광무(光武)’ 연호가 새로 제정되기까지 카지노 토토되었다. 김홍집 내각이 1895년 9월 9일, 태양력 카지노 토토을 채택하고, 음력 1895년(개국 504년) 11월 17일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1896년(개국 505년) 1월 1일로 삼는다는 조칙을 내렸다. 또한 11월 15일에는 ‘건양(建陽)’이라는 연호를 올려 재가를 받았다. 태양력 카지노 토토을 계기로 종래 카지노 토토하던 중국의 연호 대신 독자적인 연호를 제정한 것이다.

목차
정의
을미사변 이후, 김홍집 내각이 태양력 사용을 채택하면서 제정한 연호.
내용

중국과 사대 관계를 유지하던 조선은 독자적인온라인 슬롯C5F0;온라인 슬롯D638;가 아닌 중국의 연호를 카지노 토토해야 하였다. 그러다 개항 이후 서구 열강과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면서 청나라의 연호인 '광서(光緖)'와 함께 '슬롯 꽁 머니AC1C;슬롯 꽁 머니AD6D;슬롯 꽁 머니AE30;슬롯 꽁 머니B144;'을 카지노 토토하기 시작하였다.

슬롯 꽁 머니AC11;슬롯 꽁 머니C624;슬롯 꽁 머니AC1C;슬롯 꽁 머니D601;때 개화파는 1894년 6월 28일,바카라 프로AD70;바카라 프로AD6D;바카라 프로AE30;바카라 프로BB34;바카라 프로CC98;의 첫 번째 의안으로 국내외 공사(公私) 문서에 개국기년을 카지노 토토하기로 결정하였다. 개국기년의 카지노 토토을 공식화한 것은 청나라의주3을 부정하고 오랫동안 이어온 중국에 대한 사대종속관계를 청산하고자 하는 상징적 조처였다.

개국기년은 조선 건국의 해인 1392년(태조 1)을 개국기원 1년으로 하여 1894년(고종 31)을 개국 503년으로 삼은 것이다. 이후바카라 카지노CCAD;바카라 카지노C77C;바카라 카지노C804;바카라 카지노C7C1;에서 승리한 일본도 청과 조선의 관계 단절을 요구하였는데, 이 또한 조선이 독자적인 연호를 제정하는 데 배경이 되었다.

슬롯사이트C744;슬롯사이트BBF8;슬롯사이트C0AC;슬롯사이트BCC0;이후 수립된바카라 토토AE40;바카라 토토D64D;바카라 토토C9D1;내각은 1895년 9월 9일에 공식적으로무료 바카라 게임D0DC;무료 바카라 게임C591;무료 바카라 게임B825;카지노 토토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음력 1895년(개국 504년) 11월 17일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1896년(개국 505년) 1월 1일로 삼는다는 조칙을 내렸다.

또한 11월 15일에는 태양력 카지노 토토과 함께주1의 원칙에 따라 연호를 제정한다는 조칙이 내려졌고, 내각에서 ‘건양(建陽)’이라는 연호를 올려주2를 받았다. 태양력 카지노 토토을 계기로 종래 카지노 토토하던 중국의 연호 대신 조선이 정한 독자적인 연호를 카지노 토토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바카라 에볼루션B300;바카라 에볼루션D55C;바카라 에볼루션C81C;바카라 에볼루션AD6D;선포를 앞두고 1897년 8월 14일, ‘우리 카지노AD11;우리 카지노BB34;’라는 새 연호가 제정되면서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종실록(高宗實錄)』
『구한국관보(舊韓國官報)』
『군국기무처의안(軍國機務處議案)』
『조칙(詔勅)』

단행본

이광린, 『한국사강좌Ⅴ-근대편』(일조각, 1981)
주석
주1

한 임금의 재위 동안에 하나의 연호만을 카지노 토토함.우리말샘

주2

왕이 직접 안건에 어새(御璽)를 찍고 결재하여 허가하던 일.바로가기

주3

한 나라가 국내법의 범위 안에서 다른 나라의 내정이나 외교를 지배하는 특수한 권력.우리말샘

집필자
서영희(한국산업기술대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