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과학(관상감) (())

과학기술
제도
조선시대, 과학관서인 관상감(觀象監)의 세 가지 분과(천문학, 지리학, 명과학) 중 택일(擇日), 택시(擇時) 업무를 담당한 분과.
제도/관직
설치 시기
조선 초기
폐지 시기
1909년(융희 3)
소속
관상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명온라인카지노추천은 조선시대 온라인카지노추천관서인 관상감(觀象監)의 세 가지 분과(천문학, 지리학, 명온라인카지노추천) 중 택일(擇日), 택시(擇時) 업무를 담당한 분과이다. 명온라인카지노추천의 관원은 다른 관상감의 관원들과 마찬가지로 음양과(陰陽科) 과거를 통해 선발되었는데, 명온라인카지노추천에 배정된 선발인원은 식년시와 증광시의 초시에서는 4명, 복시(최종시험)에서는 2명, 대증광시의 초시에서는 8명, 복시에서는 4명이었다. 1791년(정조 15) 신해절목(辛亥節目)에 반영된 개혁초치로 명온라인카지노추천 분과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이 강화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과학관서인 관상감(觀象監)의 세 가지 분과(천문학, 지리학, 명과학) 중 택일(擇日), 택시(擇時) 업무를 담당한 분과.
설치 목적

조선시대 온라인카지노추천관서인토토사이트AD00;토토사이트C0C1;토토사이트AC10;의 세 가지 분과(천문학(天文學), 지리학(地理學), 명온라인카지노추천(命課學)) 중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D0DD;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C77C;, 택시(擇時)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임무와 직능

관상감의 명온라인카지노추천 분과는 왕실과 조정의 각종 행사와 의례(儀禮)가 치러질 길한 날짜와 시각을 계산하는 택일과 택시 업무를 담당하였다. 특히 국왕의 장례와 왕릉을 조성하는 산릉(山陵) 작업, 일식이 일어나면 행하는 구식례(救食禮) 등을 포함하는 각종 왕실의 행사가 치러질 길한 날짜와 시각을 정하여 택일단자(擇日單子)로 작성하여 미리 보고해야 했다. 또한 왕실과 조정에서 진행하는 각종 행사와 의례의 과정에주3을 파견하여 정확한 시각을 알리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특히 국장, 즉 국왕의 장례의 경우에는 주시관을 파견하여 장례의 과정온라인카지노추천 요구되는 각종 시각들, 특히 재궁(梓宮, 국왕의 관)이주4시각을 알리는 업무를 수행해야 했다.

명온라인카지노추천 분과의 관원은 관상감의 다른 분과와 마찬가지로 대개주9카지노사이트C74C;카지노사이트C591;카지노사이트ACFC; 카지노 로얄 과거(科擧)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를 통해서 양성되고 선발되었다. 완천은 추천을 통해 어린 학생을 생도(生徒)로서 선발하여 관료 후보군으로 양성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관상감 명온라인카지노추천에는 10명의 생도가 정원으로 배정되었다. 이어서 관상감 명온라인카지노추천 분과의 관원은 음양과 과거를 통해서 정식으로 선발되었는데, 명온라인카지노추천에 배정된 선발 인원은바카라 드래곤C2DD;바카라 드래곤B144;바카라 드래곤C2DC;슬롯 무료 사이트C99D;슬롯 무료 사이트AD11;슬롯 무료 사이트C2DC;카지노 꽁 머니CD08;카지노 꽁 머니C2DC;온라인카지노추천 4명,바카라 꽁머니BCF5;바카라 꽁머니C2DC;(覆試, 최종시험)온라인카지노추천 2명,토토 바카라B300;토토 바카라C99D;토토 바카라AD11;토토 바카라C2DC;의 초시에서는 8명, 복시에서는 4명이었다. 명온라인카지노추천 분과에는 명온라인카지노추천토토사이트D6C8;토토사이트B3C4;와 체아교수(遞兒敎授)의 자리가 각각 1자리씩 배정되기도 하였는데, 그 정확한 인원은 시대별로 상이하였다.

변천사항

한편 1791년(정조 15) 신해절목(辛亥節目)이 만들어지면서 명온라인카지노추천 분과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이 강화되어 음양과 과거에서 배정된 인원도 상당수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서운관지(書雲觀志)』
『삼력청완문(三曆廳完文)』
『삼력청헌(三曆廳憲)』

단행본

이면우, 박권수 외, 『국역 서운관지』(소명출판, 2006)

논문

박권수, 「조선 후기 관상감 산원직(散員職)의 설치와 확대: 삼력관(三曆官)을 중심으로」(『한국온라인카지노추천사학회지』 41권 3호, 한국온라인카지노추천사학회, 2019)
박권수, 「조선 후기 관상감(觀象監) 입속자(入屬者) 연구」(『한국사연구』187, 한국사연구회, 2019)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예조에 속하여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기후 관측, 각루(刻漏) 따위를 맡아보던 관아. 세종 7년(1425)에 서운관을 고친 것으로 고종 32년(1895)에 관상소로 고쳤다.우리말샘

주2

어떤 일을 치르거나 길을 떠나거나 할 때 운수가 좋은 날을 가려서 고름. 또는 그날.우리말샘

주3

시간을 아뢰는 일을 맡아보던 임시직 벼슬아치.우리말샘

주4

직위가 낮은 벼슬아치.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관상감에서 천문학ㆍ지리학ㆍ명온라인카지노추천을 공부한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던 잡과. 다른 잡과와 마찬가지로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시행하였고 초시(初試)와 복시(覆試)가 있었다.우리말샘

주6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관리를 뽑을 때 실시하던 시험. 중국온라인카지노추천 수나라 때에 시작하였고, 우리나라온라인카지노추천 고려 광종 9년(958)에 처음 실시하여 조선 시대에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문과, 무과, 잡과 따위가 있었다.우리말샘

주7

식년마다 보이던 식년과의 시험.우리말샘

주8

조선 시대에,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던 임시 과거 시험. 태종 1년(1401)에 처음 실시하였으며 생진과의 초시와 복시, 문과의 초시ㆍ복시ㆍ전시 5단계로 나누었다.우리말샘

주9

추천이 끝남.우리말샘

집필자
박권수(충북대학교 교양교육본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