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삼각주 ( )

자연지리
지명
낙동강의 하류에 토사가 집중적으로 쌓여 만들어진 충적지형.
지명/자연지명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사하구 및 경상남도 김해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낙동강 바카라 녹이기는 낙동강의 하류에 토사가 집중적으로 쌓여 만들어진 충적지형이다. 부산광역시 강서구‧사하구와 경상남도 김해시에 걸쳐 있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바카라 녹이기이다. 양산천과 합류한 후 남쪽으로 흐르다가 서낙동강과 갈라지는 지점을 낙동강 바카라 녹이기의 시작으로 보며, 진우도에서 다대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섬까지를 끝으로 본다. 하부 바카라 녹이기 일대는 1987년 낙동강 하구언(河口堰) 건설 이후 새로운 용도로 토지이용이 이루어져 명지주거단지 그리고 신호공단과 녹산국가공단이 들어서는 등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정의
낙동강의 하류에 토사가 집중적으로 쌓여 만들어진 충적지형.
명칭 유래

바카라 녹이기는 하천이 바다나 호수처럼 정체된주1으로 유입할 때, 하천의 유속이 급감하여 운반하던 토사를 하구와 그 주변에 쌓아 만들어 놓은 퇴적지형이다. 하천의 하구에우리카지노추천C0BC;우리카지노추천AC01;우리카지노추천C8FC;가 발달하기 위해서는 하천이 운반하는 모래의 양과 하구역에서 작용하는베트먄 토토C870;베트먄 토토C11D;주2의 힘에 따라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서해와 남해로 유입하는 우리나라의 하천은 대부분 조석의 작용이 강해 하구에 바카라 녹이기가 잘 발달하지 않는다. 하지만 토사의 유출량이 많고 조석의 작용이 약한에블루션 바카라B099;에블루션 바카라B3D9;에블루션 바카라AC15;에는 바카라 녹이기가 발달해 있다. 낙동강 바카라 녹이기는 일련의주3로 둘러싸인 다수의주4와 바카라 녹이기 전면에 새롭게 쌓이고 있는 다수의주5으로 이루어졌다.

자연 환경

하중도는 하천에 의해 운반된 토사가 쌓여 만들어진 것으로 유로의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고구마 형태의 타원형을 띤다. 대저도, 명지도, 명호도, 신호도, 일웅도, 맥도,꽁 머니 카지노 3 만C744;꽁 머니 카지노 3 만C219;꽁 머니 카지노 3 만B3C4;등이 바카라 녹이기의 대표적인 하중이다. 이러한 하중도 전면에는 파랑의 영향을 받아 유로의 방향과 직각으로 길게 늘어진주6가 발달되어 있는데, 이 지역에서는 ‘등’이라고 부른다.

변천 및 현황

낙동강 바카라 녹이기는 1934년 대저수문과 낙동강주7이 축조된 뒤 개발되었고, 그 이전에는 극히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오랫동안 저습지인 갈대밭으로 남아 있었다. 하부 바카라 녹이기 일대는 1987년 낙동강 하구언(河口堰) 건설 이후 새로운 용도로 토지 이용이 이루어져 명지주거단지 그리고 신호공단과 녹산국가공단이 들어섰고,슬롯 꽁 머니AC00;슬롯 꽁 머니B355;슬롯 꽁 머니B3C4;와 용원 · 안골 · 웅동만 · 와성만 일대에 부산 신항만이 개발되는 등 큰 변화가 일어났다.

참고문헌

단행본

권혁재, 『지형학 제4판』 (법문사, 1980)
지광훈, 장동호, 박노욱, 『위성에서 본 한국의 지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

논문

권혁재, 「낙동강 바카라 녹이기의 지형연구」 (『지리학』 제8권, 1973)
김성환,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바카라 녹이기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4, 2005)
반용부, 「낙동강 바카라 녹이기의 지형경관 변화」 (『신라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3, 1997)
양재혁, 조국래, 「바카라 녹이기 하구 만입지의 지형발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6, 2011)
오건환, 「낙동강 바카라 녹이기의 형성과정」 (『부산지리』 1, 1992)
주석
주1

수면의 일정한 구역.우리말샘

주2

잔물결과 큰 물결.우리말샘

주3

하천의 본류가 두 갈래로 갈라진 유로를 분류(分流)라고 하는데, 서바카라 녹이기, 평강천, 맥도강 등이 바카라 녹이기의 분류이다.

주4

하천의 중간에 유속이 느려지거나 흐르는 방향이 바뀌면서 퇴적물이 쌓여 형성되는 섬. 주로 큰 강의 하구에 나타난다.우리말샘

주5

진우도, 대마등, 백합등, 장자도, 신지도 등은 나무와 풀들이 자라면서 고정되었으나, 도요등, 새등, 갈매기등, 다대등 등은 모래톱이 성장하면서 새롭게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주6

사막에서 모래가 회오리바람에 말려 올라가 기둥처럼 되는 현상.우리말샘

주7

물가에 흙이나 돌, 콘크리트 따위로 쌓은 둑. 홍수나 해일에 물이 넘어 들어오지 못하게 하거나 물을 막아 고이게 한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