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권토토 바카라 사이트;7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화암사 판본을 저본으로 1477년(성종 8) 번각한 목판본 불경 인출 잔본의 하나.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 제248호.
이칭
약칭
법화경(法華經)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477년(성종 8)
저자
구마라집(鳩摩羅什)
권책수
4권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구인사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묘법연화경 권4~7(妙法蓮華經 卷四~七)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4년 10월 22일 지정)
소재지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132-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4~7은 화암사 판본을 저본토토 바카라 사이트 1477년(성종 8) 번각한 목판본 불경 인출 잔본의 하나이다. 이 불경은 구마라집이 406년에 한역한 7권본 『묘법연화경』과 12세기 계환의 주석을 한데 엮어 4권 1책토토 바카라 사이트 펴낸 경전이다. 1443년(세종 25)에 나온 전라도 완주 화암사 간행본을 저본토토 바카라 사이트 하여, 1477년(성종 8)에 다시 번각하여 찍은 것이다. 충청북도 단양군 구인사 도서로, 2004년 10월 22일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 제248호로 지정되었다.

정의
화암사 판본을 저본으로 1477년(성종 8) 번각한 목판본 불경 인출 잔본의 하나.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 제248호.
저자 및 편자

산스크리트어주1로 된 대승불교 경전인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를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4)이 406년에 7권본 『묘법연화경』토토 바카라 사이트 한역(漢譯)하였는데, 이 책은 그러한 7권본 『묘법연화경』에 중국 송대(宋代) 계환(戒環)의 주석서인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를 함께 엮어 펴낸 것이다.

서지사항

1443년(세종 25)의 완주해시 게임 바카라BD88;해시 게임 바카라BA85;해시 게임 바카라C0B0; 해시 게임 바카라D654;해시 게임 바카라C554;해시 게임 바카라C0AC;간행본을 저본토토 바카라 사이트 하여 1477년(성종 8)에 4권 1책토토 바카라 사이트 다시 찍어 낸 목판본이다. 크기는 세로 26.7㎝, 가로 16.5㎝이며, 본문은 10행 20자로 되어 있다.주2는 ‘법(法)’ 자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권7 말미의바카라 보너스 기준AC04;바카라 보너스 기준AE30;에 “성화 13년 정유 2월 숭록대부 판중추원사 창녕 성달생이 삼가 발문을 쓰다.[成化十三年丁酉二月日崇祿大夫判中樞院事昌寧成達生謹跋]”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화 13년은 1477년(성종 8)이다. 여기에 언급된 성달생(成達生, 1376~1444)은 조선 전기 중군총제(中軍摠制), 평안도도관찰사(平安道都觀察使),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한 무신인데, 이때는 그가 이미 사망한 뒤이다.

화암사 판본의 발문이 이 구인사 도서와 내용 및 필체가 동일하지만, 작성 일자만 “정통(正統) 8년(1443)”토토 바카라 사이트 다르므로 구인사 도서는 화암사본을 그대로 옮겨 쓰고서 번각한 연도만 변경한 것토토 바카라 사이트 추정된다. 이어바카라 사이트D6A8;바카라 사이트B839;바카라 사이트B300;바카라 사이트AD70;, 무료 슬롯 사이트C6D4;무료 슬롯 사이트C0B0;무료 슬롯 사이트B300;무료 슬롯 사이트AD70;, 정경부인 윤씨와 서평군(西平君) 한계희(韓繼喜), 참판 한계선(韓繼善) 등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는 것토토 바카라 사이트 보아 이들이 간행을 주도했던 것토토 바카라 사이트 보인다.

구성과 내용

권4의 품들은주3의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던 이들에게도 부처가 되리라는 예언, 곧주4를 주는 내용과 이 경전을 받아 지니고 독송(讀誦)하는 공덕(功德)을 강조하는 내용토토 바카라 사이트 되어 있다.

권5는 이 경전을 말법시대에 전하는 방법과 부처의주5, 곧 부처가 아득한 옛날에 이미 성불하여 영원히 중생을 교화하고 있다는 진실을 전하고 있다.

권6은 이 경전을 널리 펼 것을 강조하면서, 특히 세상의 멸시를 감내하는 상불경보살(常不輕菩薩)의 덕을 찬탄하고 있으며, 여러 공양 중 자기의 몸을 불사르는주6이 최고임을 설하고 있다.

권7은 부처를 공양하여 얻은에볼루션 바카라C0BC;에볼루션 바카라B9E4;와 신통력토토 바카라 사이트 중생을 제도하는주7의 공덕을 설하고(제24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 역시 중생을 무량한 방편토토 바카라 사이트 제도하는 관세음보살의 자비심을 찬탄하며(제25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이 경전을 설하는 법사를 보호하는바카라 꽁머니 사이트B2E4;바카라 꽁머니 사이트B77C;바카라 꽁머니 사이트B2C8;의 힘을 노래하고(제26 「다라니품(陀羅尼品)」), 다시 한번 이 경전을 수지, 독송하는 공덕을 강조하여 끝맺는 부분(제28 「보현보살권발품(普賢菩薩勸發品)」)토토 바카라 사이트 구성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조선 전기에 유통된 『묘법연화경』은 활자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성달생의 서체로 되어 있고, 구인사 도서는 그 서체로 작성된 30여 년 전의 판본을 번각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조선 전기의 성달생 서체의 유행과 번각의 양상을 알려 주는 자료 중 하나로 평가된다. 2004년 10월 22일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 제248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권4~7(충청북도 단양군 구인사 도서)

단행본

강민식 외, 『충청북도 문화재대관』 2(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7)
이지관,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보련각, 1973)

논문

강순애, 「성달생서체계의 묘법연화경 계환해의 판본에 관한 연구」(『가산학보』 6, 1999)

신문 · 잡지

「조선조 《법화경》 공덕경 성격 강했다」(『법보신문』, 2004. 8. 10)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http://kabc.dongguk.edu)
주석
주1

인도ㆍ유럽 어족 가운데 인도ㆍ이란 어파에 속한 인도ㆍ아리아어 계통토토 바카라 사이트 고대 인도의 표준 문장어. 전 인도의 고급 문장어로 오늘날까지 지속되는데, 불경이나 고대 인도 문학은 이것토토 바카라 사이트 기록되었다.우리말샘

주2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우리말샘

주3

모든 중생이 부처와 함께 성불한다는 석가모니의 교법. 일체(一切) 것이 모두 부처가 된다는 법문이다.우리말샘

주4

부처로부터 내생에 부처가 되리라고 하는 예언을 받음.우리말샘

주5

오랜 옛날에 실제로 이루었다는 뜻토토 바카라 사이트, 부처는 오랜 옛날에 이미 성불하였다는 사상.우리말샘

주6

자기 몸을 태워 부처 앞에 바침. 또는 그런 일.우리말샘

주7

법화경의 묘음보살품에 나오는 보살. 서른여덟 가지로 현신하여 모든 중생을 구제하려는 본서(本誓)를 설법하였다. 지혜가 많아서 한량없는 삼매를 얻었다.우리말샘

집필자
고승학(금강대학교 불교인문학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토토 바카라 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토토 바카라 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토토 바카라 사이트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