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익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왕자사부, 진안현감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암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중겸
정암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8년(숙종 4)
사망 연도
1717년(숙종 43)
본관
전주
주요 관직
왕자사부(王子師傅)|진안현감(鎭安縣監)
관련 사건
호락논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왕자사부, 진안현감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암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겸(仲謙), 호는 정암(正菴)이다. 1708년(숙종 34) 생원시(生員試)에 장원슬롯 꽁 머니 입격(入格: 합격)하였고, 1710년 학행(學行: 학문과 덕행)슬롯 꽁 머니 참봉(參奉)이 되었다. 벼슬은 영조의 왕자사부(王子師傅) 및 진안현감(鎭安縣監)을 역임했으며, 이기설(理氣說)과 사칠설(四七說)과 경설(經說) 등은 조선 후기의 경학사(經學史) 및 유학사상사(儒學思想史)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73년 손자 이상진(李商進)이 간행한 초간본 『정암집(正菴集)』에 행장이나 묘갈명 등이 없어 이현익의 행적을 자세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김양행(金亮行)의 『정암집』 서문과 참고문헌을 통해 이현익이 왕자사부(王子師傅)와 진안현감(鎭安縣監) 등의 관직을 역임했음을 알 수 있다.

20권 10책슬롯 꽁 머니 구성된 『정암집』을 통해 이현익의 학술 활동과 성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권1이 시(詩)고, 나머지는 거의 대부분 경학과 성리학에 관련된 글들이다. 이현익은 김창협(金昌協)과 권상하(權尙夏) 등 송시열의 직전 제자를 사사(私事)하였으며, 박필주(朴弼周)·어유봉(魚有鳳)·민이승(閔以升)·박도원(朴道根)·신정하(申靖夏) 등과 교유하였다. 그러므로 학문적 성취는 시문보다는 경학과 성리학에 비중이 높았으며, 학통슬롯 꽁 머니는 송시열의 재전제자 그룹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경학적 성과는 주자설(朱子說) 이동(異同)에 대한 분변이 가장 대표적이다. 특히, 청대 학자 이패림(李霈霖)이 1700년 초반에 편찬한 『주자사서이동조변(朱子四書異同條辨)』을 조선 학자들 가운데 처음슬롯 꽁 머니 분석하였다.

셋째, 조선시대의 학자 남효온(南孝溫)·서경덕(徐敬德)·이황(李滉)·조식(曹植)·이이(李珥) 등과 중국학자 왕양명(王陽明)·설선(薛瑄) 등의 이기설(理氣說)과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을 종합적슬롯 꽁 머니 분석하였다.

넷째, 윤휴(尹鑴)·윤선거(尹宣擧)·윤증(尹拯)과 송시열(宋時烈)의 논쟁을 송시열의 입장에서 변호한 논문들이 다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서인집단 노소분당(老少分黨)의 이론적 쟁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조선 후기 노론 내부의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논쟁, 즉 호락시비(湖洛是非)에 대해서도 열정적슬롯 꽁 머니 자신의 이론을 개진했으며, 예설(禮說)에도 관심이 많았다.

참고문헌

『남당집(南塘集)』
『농암집(農巖集)』
『병계집(屛溪集)』
『삼연집(三淵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승정원일기』
『여호집(黎湖集)』
『영조실록』
『일성록』
『정암집(正菴集)』
『포음집(圃陰集)』
『한수재집(寒水齋集)』
「정암 이현익의 논어 해석 연구-자료 소개와 <논어설 분석을 중심슬롯 꽁 머니-」(전재동, 『국학연구』18, 한국국학진흥원,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꽁 머니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꽁 머니]'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슬롯 꽁 머니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