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연·용두암 (·)

용연
용연
자연지리
지명
국가유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동에 소재하는 한천 하구의 소(沼)와 기암.
이칭
이칭
취병담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바카라 대박 디시·용두암(龍淵·龍頭岩)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지구과학기념물/지질지형
지정기관
바카라 대박 디시특별자치도
종목
바카라 대박 디시특별자치도 시도기념물(2001년 03월 07일 지정)
소재지
바카라 대박 디시 바카라 대박 디시시 용담1동 2581-4번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동에 소재하는 한천 하구의 소(沼)와 기암.
내용

2001년 3월 7일에바카라 토토C81C;바카라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유로 길이 16㎞의 한천은 하류에서도 유수가 보이지 않는 건천이다.토토 사이트 바카라북쪽 산록을 흘러내리는 한천에는 하방침식으로 협곡구간이 많이 출현하는데, 하구에도 높이 15m의 협곡구간이 발달한다.

하상의 용천수와 섞인 해수가 하구의 협곡을 채워 물이 흐르는 계곡 경관을 만들기 때문에 하구를 취병담(翠屛潭), 바카라 대박 디시(龍淵) 또는 용소(龍沼)와 같이 소를 뜻하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용두암(龍頭岩)은 용암수로(lava channel)의 벽면이 파랑의 침식작용으로 제거되면서 용머리처럼 만들어진 암괴지형으로서, 두껍게 흐른 아아(aa) 용암류로 만들어져 높이가 10m에 이른다. 용두암 주변에도 파식으로 제거되어 단편만 남은 용암벽 지형들이 바다 쪽으로 뻗어 있다.

명칭 유래

바카라 대박 디시은올림푸스 슬롯사이트81C;올림푸스 슬롯사이트8FC;도에 7년슬롯 꽁 머니AC00;슬롯 꽁 머니BB44;이 들었을 때 고대정이라는가상 바카라C2EC;가상 바카라BC29;(바카라 대박 디시의 무당)이바카라 게임C9DA;으로카지노 꽁돈C6A9;을 만들어 바카라 대박 디시에 꼬리를 담그고기슬롯사이트 지니6B0;슬롯사이트 지니81C;를 드리자꽁 머니 카지노 3 만BE44;가 내렸다는카지노 찰리C804;카지노 찰리C124;에서 비를 몰고 오는 용이 사는 못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용두암에도 용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하늘로 올라가기 위하여 한라산 산신령의 옥구슬을 훔쳐 달아나던 용이 산신령의 화살에 맞아 바닷가에 떨어져 죽었는데, 몸은 바닷물에 잠기고 머리만 하늘로 향한 채 굳어졌다는 전설에서 유래된 명칭이다.

현황

바카라 대박 디시은 영주십이경의 하나인 바카라 대박 디시야범(龍淵夜泛)의 장소로서, 조선 후기부터 이곳에서슬롯 꽁 머니BC43;슬롯 꽁 머니B180;슬롯 꽁 머니C774;를 비롯하여 시회와 주연 등이 열렸다. 제주시는 2002년부터 바카라 대박 디시야범을 음악회로 재현한 문화축제인 바카라 대박 디시선상음악회를 매년 음력 7월 14일경에 개최하고 있다.

바카라 대박 디시은 제주 시내에 위치하는데다 바카라 대박 디시 양안의 동한두기와 서한두기를 잇는 구름다리가 바카라 대박 디시 위에 가설되어 평소에도 탐방객들이 많이 찾는 제주의 명소이다. 올레 17코스가 바카라 대박 디시 구름다리를 지나고 있다.

바카라 대박 디시에서 서쪽으로 200m 떨어진 해안에 소재하는 용두암은 제주 관광의 상징적인 장소이다. 그러나 용두암 배후에 원경으로 보이는 탑동매립지의 건물들로 인하여 경관미가 예전만큼은 못하다.

조선 후기의 그림 중에 제주시 용담동 해안을 바다 쪽에서 부감시(俯瞰視)로 그린 『탐라십경도(耽羅十景圖)』가 있는데, 이 중 취병담 장면은 바카라 대박 디시과 용두암을 주경관으로 다루고 있다. 그림 중앙 왼쪽에 바카라 대박 디시계곡이 등장하고, 그 오른쪽으로 바카라 대박 디시과 비슷한 크기로 표현한 두 개의 용두암을 배치하고 있는데, 당시부터 이 일대가 명소였음을 잘 알려준다.

참고문헌

『바카라 대박 디시도 지질여행』(한국지질자원연구원·바카라 대박 디시발전연구원, 2006)
「탐라십경도에 표현된 바카라 대박 디시도의 지형경관」(김태호, 『한국지형학회지』21, 2014)
바카라 대박 디시 놀멍쉬멍(www.jejutour.go.kr)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김태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