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唐)의 실차난타(實叉難陀)가 695~699년에 번역한 80권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줄여서『화엄경』)의 권제14에 해당한다. 한 면의 크기는 12.5×21.9㎝이고, 절첩본(折帖本)의 형태로 전체 20장의 종이를 각 장이 4면이 되도록 접었다. 판식은 상하단변(上下單邊)이고, 광고(匡高)는 23.4㎝이며, 24행 17자에 계선은 없다. 종이는 고려 시대의 닥종이를 사용하였다. 목판본이며 인쇄 상태로 보아 초쇄본에 가깝고, 인출 시기는 12세기 중후반으로 추정된다. 본문 전체에 걸쳐 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이 기입되어 있는데, 같은 구조의 문장이 반복되는 곳에서는 대체로 생략되었다.
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은 한문을 한국어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하게 토를 단 것으로, 꽁 머니 카지노 3 만자(口訣字)로 토를 단 자토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과 꽁 머니 카지노 3 만점(口訣點)으로 토를 단 점토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두 가지가 있다. 자토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에서는 한문의 어순을 한국어의 어순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로 토의 위치를 한자의 오른쪽 아래와 왼쪽 아래로 구분하고 역독점(逆讀點)이라는 부호를 사용한다.
『화엄경』권14는 자토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 자료로서 모두 57가지의 꽁 머니 카지노 3 만자가 총 6,995번 쓰였다. 특히 ‘造[지ᇫ]’, ‘印[ᄀᆞᆮ]’은 다른 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 자료에서는 볼 수 없으며, 이 책에서도 단 한 번만 쓰인 독특한 글자이다. 대체로 서툰 필체로 자형이 불분명하거나 잘못 적은 곳이 많고, 토의 위치가 잘못되거나 역독점을 찍지 않은 경우도 있어 읽을 때 주의해야 한다.
이 책에 기입된 꽁 머니 카지노 3 만은 원문의 한자를 한국어로 새겨 읽도록 어휘 형태를 표기하거나 조사나 어미와 같은 문법 형태를 주로 표기하였다. 예를 들어 ‘若得信樂心淸淨’(만약 신락을 얻어서 마음이 청정하면)이라는 구절에는 ‘若 信樂[을] 得[얻어곰] 心[ᄆᆞᅀᆞᆷ] 淸淨[ᄒᆞᄂᆞᆯᄃᆞᆫ]’으로 읽도록 토를 달았는데, ‘[을]’는 ‘-을’에 해당하는 조사를, ‘[어곰]’은 ‘-어서’에 해당하는 어미를, ‘[ㅁ]’은 명사 ‘ᄆᆞᅀᆞᆷ’의 종성을, ‘[ᄒᆞᄂᆞᆯᄃᆞᆫ]’는 어간 ‘ᄒᆞ-’와 ‘-면’에 해당하는 어미를 각각 표기한 것이다.
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은 토에 반영된 표기 양상과 언어적인 특징에 따라 크게 『화엄경』계통과『유가사지론』계통으로 나뉘는데, 이 책은 『화엄경소』권35와 함께 『화엄경』계통을 대표하는 자료로서 같은 계통의 각필꽁 머니 카지노 3 만(점토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해독에 중요한 근거가 된다.
이 책의 석독꽁 머니 카지노 3 만은 13세기 이전 고대 한국어의 어휘와 문법을 밝힐 수 있는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표기상의 오류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