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 ()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구름과 장미』, 『타령조 기타』, 『거울 속의 천사』 등을 저술한 문인.
이칭
이칭
대여(大餘)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2년 11월 25일
사망 연도
2004년 11월 29일
출생지
경상남도 통영
관련 사건
일제강점기 불경죄로 세다가야 경찰서 유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춘수는 해방 이후 『구름과 장미』, 『타령조 기타』, 『거울 속의 천사』 등을 저술한 문인이다. 1946년 시화집 『날개』에 「애가」를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타령조 기타』(1969)는 언어 실험 기간을 거쳐 ‘무의미시’로 넘어가는 전조를 보인다. 이 시집은 장타령 가락을 끌어들여 현대문명을 비판했으며, 내용보다 형식에 치우친 경향이 나타난다. 시론집 『의미와 무의미』(1976)는 ‘무의미시’에 대해 새로운 견해와 해설, 시 단평 등을 담고 있다. 그는 언어와 대상 간의 관계를 고민하고 그 해답을 얻기 위해 고투한 시인이다.

키워드
정의
해방 이후 『구름과 장미』, 『타령조 기타』, 『거울 속의 천사』 등을 저술한 문인.
개설

아명은 대여(大餘). 경상남도 통영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1935년통볼트 카지노601;볼트 카지노D08;등학교를 졸업하고경성공립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중고교)에 입학. 1939년 경기공립중학교 5학년 때 자퇴하고 1940년 일본대학 예술학원 창작과에 입학. 1942년 일본의 가와사키 시 부두메이저카지노사이트 일본 천황과 총독 정치를 비방하여 불경죄로 세다가야 경찰서에 유치되었다가 서울로 송치되었다.

1945년카지노 블랙잭D1B5;카지노 블랙잭C601;카지노 블랙잭C2DC;메이저카지노사이트카지노 엘에이C720;카지노 엘에이CE58;카지노 엘에이D658; · 슬롯 꽁 머니C724;슬롯 꽁 머니C774;슬롯 꽁 머니C0C1; · 바카라 꽁머니 사이트AE40;바카라 꽁머니 사이트C0C1;바카라 꽁머니 사이트C625;등과 통영문화협회 결성, 예술운동을 펼치고 시작활동을 본격화하였다. 1946년 통영중학교 교사로 부임 1948년까지 근무하였다. 1949년카지노 슬롯 머신 하는 법9C8;산고카지노 슬롯 머신 하는 법4F1;학교교사로 전임하여 1951년까지 근무하였다.

1959년에볼루션 바카라의 교수자격심사규정에 따라 국어국메이저카지노사이트과 교수 자격을 인정받았으며, 12월에 제7회 자유아세아메이저카지노사이트상을토토 대박C870;토토 대박BCD1;토토 대박D654;와 함께 수상하였다. 1960년 마산의해인대학(현 경남대학교)에 조교수로 취임, 1961년에볼루션 바카라 사이트국어국메이저카지노사이트과 전임강사로 자리를 옮겨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진 양성뿐만 아니라 많은 시인을 배출, 문단에서는 순수시 이론과 이 계열의 작품으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1966년 경상남도문화상 수상. 1979년우리카지노추천국어국메이저카지노사이트과 교수로 옮긴 뒤 1981년까지 문리과대학 및 문과대학 학장을 역임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이 되어 문공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그 해대한민국카지노 꽁돈608;카지노 꽁돈220;카지노 꽁돈6D0;회원으로 선임되었다. 1986년 방송심의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하여 1988년까지 위원장직을 맡았고, 그 해 한국시인협회 회장에 선임되어 1988년까지 회장직을 수행하였다. 1991년해외 바카라 사이트D55C;해외이사로 선임되어 1993년까지 이사직을 맡았다.

1997년 제5회 대산메이저카지노사이트상 수상. 1998년 제12회 인촌상을 수상하였다. 1999년 부인 명숙경 사망 후 외손녀 두 명과 경기도 성남시 분당에서 여생을 보냈다. 2004년 제19회 소월시메이저카지노사이트상 특별상 수상. 그 해 8월 4일 식사 도중 기도폐색으로 입원 11월 29일 오전 9시경 분당 서울대병원에서 사망하였다. 유족으로 영희, 영애, 용목, 용욱, 용삼 등 3남 2녀가 있고, 장례는 시인장으로 치러졌으며, 유해는 경기도 성남시 광주고원묘지에 묻혔다.

통온라인 슬롯601;고등학교교사로 재직하면서 1946년 8월 광복1주년 기념 시화집 『날개』에 「애가」를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첫 시집 『구름과 장미』(행문사, 1948)를 통영메이저카지노사이트 자비로 출간하였다. 서문에 유치환은 “우리 민족이 얼마나 의로운 민족이기에 이와 같은 시인을 낳게 했느냐”는 등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후 『늪』(문예사, 1950), 『기(旗)』(문예사, 1951)를 차례로 출간하였고, 네 번째 시집 『인인(隣人)』(문예사, 1953)은 연작시로 편성된 것으로 김춘수 자신이 손수 제본하여 출간했다. 다섯 번째 시집 『꽃의 소묘』(백지사, 1959) 출간 후 같은 해 11월 『부다페스트메이저카지노사이트의 소녀의 죽음』(춘조사, 1959)을 출간하였다.

특히 시집 『타령조 기타(打令調 其他)』(문화출판사, 1969)는 언어 실험 기간을 거쳐 ‘무의미시’로 넘어가는 전조를 보인다.주1의 가락을 끌어들이면서 현대문명 비판에 기울었으며, 내용보다 형식에 치우친 경향을 보인다. 이후 시집 『남천(南天)』(근역서재, 1977), 해외 기행시를 주축으로 한 시집 『라틴 점묘(點描) 기타』(탑출판사, 1988), 연작 장시 『 처용단장』(미학사, 1991) 등메이저카지노사이트 일련의 무의미시를 펼친다.

산문시집 『서서 잠자는 숲』(민음사, 1993)은 30여 년 간 시도했던 ‘무의미시’의 종착점에서 그 간의 방법론적인 긴장을 풀고 자유롭게 시상을 전개하였다. 이후 시집 『호(壺)』(일터와 사랑,1995), 『들림, 도스트예프스키』(민음사, 1997), 『의자와 계단』(메이저카지노사이트세계사, 1999), 『거울 속의 천사』(민음사, 2001), 『쉰한 편의 비가』(현대메이저카지노사이트사, 2002)를 출간했다.

시 창작뿐만 아니라 시론연구를 병행하여 이론서 『한국근대시형태론』(해동문화사, 1958), 『시론』(송원출판사, 1972), 『의미와 무의미』(메이저카지노사이트과 지성사, 1976), 『시의 표정(表情)』(메이저카지노사이트과 지성사, 1979), 『시의 위상(位相)』(둥지, 1991)을 출간하였다. 특히 시론집 『의미와 무의미』는 ‘무의미시’에 대해 새로운 견해와 해설, 시 단평 등을 담고 있다.

그 외 수상집 『빛속의 그늘』(예문관, 1976)을 비롯하여 『오지 않는 저녁』(근역서재, 1979), 『시인이 되어 나귀를 타고』(문장사, 1980)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 『꽃과 여우』(민음사, 1997)를 남겼다.

의의와 평가

김춘수는 언어와 대상 간의 관계를 고민하고 그 해답을 얻기 위해 고투했던 시인이자 시이론가였다. 그가 제시한 ‘무의미시’는 우리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시메이저카지노사이트사에 깊게 각인돼 있다. 특히 존재의 탐구, 대상의 즉물적 제시, 현실의 실감을 허무의지로 승화시켰던 점에서 당대는 물론 한국 메이저카지노사이트 미래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전후문제시인연구·6』(김학동 외, 예림기획, 2007)
『20세기 한국시인론』(오세영, 월인, 2005)
『한국 현대시 작품 연구』(김현자, 민음사, 1988)
『서정과 인식』(박철희, 이우출판사, 1982)
『김춘수 연구』(김춘수연구간행위원회 편, 학문사, 1982)
『현대시총서』(오규원, 형설출판사, 1982)
『한국현대시작품론』(김용직·박철희, 문장사, 1981)
『시인을 찾아서』(김현, 민음사, 1975)
『현대시학』(이승훈, 현대시학사, 1974)
주석
주1

구전 민요의 하나. 동냥하는 사람이 장이나 길거리로 돌아다니면서 구걸을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우리말샘

집필자
이민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