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육나한도 ()

여수 흥국사 십육나한도
여수 흥국사 십육나한도
회화
개념
석가모니의 제자 중 16명의 나한을 그린 그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석가모니의 제자 중 16명의 나한을 그린 그림.
내용 및 특징

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는 석가모니의 제자 중 16명의 나한을 그린 그림이다. 이들은 석가모니가바카라사이트C5F4;바카라사이트BC18;한 뒤바카라 전부BBF8;바카라 전부B975;바카라 전부BD88;이 나타나기까지 열반에 들지 않고 이 세상에 있으면서 불법을 수호하도록 부처에게 위임받은 제자들이다. 부처의 수많은 제자들 중 ‘16명’으로 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을 구성하게 된 경위는 아직 명확히 알 수 없다.

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 신앙은 당나라주1이 『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를 번역한 7세기 이후 크게 발달하여 당말 오대, 송대에 이르기까지 유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말세신앙(末世信仰)과 함께 8세기 후반부터 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에 대한 신앙이 성행하여 많은 작품이 제작되었다. 그 중조선후기바카라 시뮬레이션B098;바카라 시뮬레이션D55C;바카라 시뮬레이션B3C4;의 대부분이 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이다.

조선 후기 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는 대체로 나한을 모시는 전각인파라오 슬롯C751;파라오 슬롯C9C4;파라오 슬롯C804;이나한게임 바카라B098;한게임 바카라D55C;한게임 바카라C804;에 봉안되었으며, 사찰 내 카지노사이트 추천전이 없는 경우는토토 신규가입꽁머니B300;토토 신규가입꽁머니C6C5;토토 신규가입꽁머니C804;이나 미타전,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CE60;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C131;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AC01;이나메이저카지노사이트C0BC;메이저카지노사이트C131;메이저카지노사이트AC01;등에 봉안되기도 하였다. 보통 내부 중앙의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홀수의 카지노사이트 추천는 향우측, 짝수의 카지노사이트 추천는 향좌측에 봉안된다.

그림의 형식은 1폭에 카지노사이트 추천을 1명씩 그리기도 하고 2명 또는 3명, 4명, 8명의 카지노사이트 추천을 1폭에 그리기도 하는 등 다양하다. 카지노사이트 추천은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C5FC;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C8FC;를 비롯하여 각종 꽃 · 지팡이 · 그릇 · 동물 · 경전 ·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AE08;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AC15;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C800;· 과일 등을 들거나, 등을 긁기도 하고 경전을 읽고 참선(參禪)하는 등 자유로운 모습으로 표현된다.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D765;무료(1723년)는 가장 이른 작품으로 18세기 호남 지방의 대표적인 화승인카지노 파칭코C758;카지노 파칭코ACB8;과 제자들이 그려 응진당에 봉안하였던 것이다. 중앙의슬롯 꽁 머니C601;슬롯 꽁 머니C0B0;슬롯 꽁 머니D68C;슬롯 꽁 머니C0C1;슬롯 꽁 머니B3C4;를 중심으로 좌우 3폭씩 총 6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토토 카지노C1A1;토토 카지노AD11;토토(1725)를 비롯한 18, 19세기 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에 그대로 계승되었다.

19세기 후반 서울 · 경기 지역에서는꽁 머니 카지노C218;꽁 머니 카지노B77D;꽁 머니 카지노C0B0; 꽁 머니 카지노D765;꽁 머니 카지노AD6D;꽁 머니 카지노C0AC;「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1892년)와한게임 바카라C11C;한게임 바카라C6B8(1895년)처럼 화면을 3∼4등분하여 한 면에 한 카지노사이트 추천씩 그린 형식과바카라 꿀팁CC9C;바카라 꿀팁BCF4;바카라 꿀팁C0B0; 바카라 꿀팁BD88;바카라 꿀팁C554;바카라 꿀팁C0AC;「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1897년),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C11C(1907년)처럼 화면의 중앙에 석가삼존을 그리고 그 주위를 3당 16칸으로 구획하여 십육카지노사이트 추천을 그린 형식이 유행하였다.

참고문헌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10)
「한국의 카지노사이트 추천 연구」(신광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주석
주1

중국 당나라의 승려(602~664). 속성은 진(陳). 중국 법상종 및 구사종의 시조로, 태종의 명에 따라 대반야경(大般若經) 등 많은 불전을 번역하였다. 저서에 견문기 ≪대당 서역기≫ 12권이 전한다.우리말샘

집필자
박은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