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괘릉 석상 및 석주 일괄 ( )

경주 괘릉석상 및 석주 일괄
경주 괘릉석상 및 석주 일괄
조각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괘릉의 석인상 · 석사자상 · 석주 등의 능묘조각상. 경주괘릉.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일괄(慶州 元聖王陵 石像 및 石柱一括)
분류
유물/기타종교메이저카지노사이트/유교메이저카지노사이트/유교메이저카지노사이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5년 01월 22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산17, 611-4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괘릉의 석인상 · 석사자상 · 석주 등의 능묘조각상. 경주괘릉.
개설

2005년메이저 바카라 사이트로 지정되었다. 경주 괘릉(사적, 1963년 지정)에 배치되어 있는 석상과 석주들로 거대한 봉분 앞에 석인상(石人像), 석사자상, 석주(石柱)가 서로 마주보고 있다. 괘릉은 위치상카지노 토토ACBD;카지노 토토C8FC; 카지노 토토C6D0;카지노 토토C131;카지노 토토C655;카지노 토토B989;으로 추정되며 798년경에 조성된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능묘메이저카지노사이트이다.

내용

석사자상 4구, 석인상 4구, 팔각석주 2기 등 모두 10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덤 입구에 화표석을 두고 무인상과 무관상으로 추정되는 석인상과 석수상(石獸像) 등의 능묘 메이저카지노사이트상이 배치된다. 우리나라 능묘메이저카지노사이트은무령토토랜드655;릉에서 처음 등장하며 메이저카지노사이트는온라인카지노ACBD;온라인카지노C8FC; 온라인카지노AE40;온라인카지노C720;온라인카지노C2E0; 온라인카지노BB18;의 호석에 새긴주1이 가장 이른 예이다. 이후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 통일신라시대의 정형화된 능묘제도가 형성되었다. 괘릉 석상들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능묘메이저카지노사이트군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징

괘릉의 능묘메이저카지노사이트은 봉분이 바라 보이는 능묘 입구에서부터 화표석인 팔각석주가 놓이고, 그 위로 문인상과 무인상이 각각 한 쌍씩 사자상이 2구씩 마주하는 구조이다.카지노 입플AD00;카지노 입플BAA8;를 쓴 문인상은 당당하면서도 위엄이 느껴진다. 칼을 움켜 쥐고 주먹을 쥔 무인상은 큼직한 이목구비, 힘이 느껴지는 굵은 옷주름, 근육이나 장식에서 사실성이 돋보이는데 곱슬머리와 부릅뜬 눈, 턱수염 등에서 메이저카지노사이트인 보다는 이국인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를 두고 중앙아시아인이 아니라 불교의 금강역사상과 관련있을 것이라 보기도 한다. 각기 다른 모습의 사자상 네 구도 탄력적인 가슴과 곱슬곱슬한 머리 갈기, 날카로운 발톱 등 당당한 자세에 사실적인 세부 표현이 특징이다.

현황

석인상과 석사자상이 일괄로 등장하는 통일신라시대 능묘메이저카지노사이트에는경바카라 확률8FC; 바카라 확률131;덕바카라 확률655;릉, 괘릉,경온라인 카지노 사이트8FC; 흥덕온라인 카지노 사이트655;릉이 있다. 736년에 제작된 성덕대왕릉 석인상이 가장 이른시기의 작품이며, 835년 흥덕대왕릉은 9세기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의의와 평가

8세기에 제작된 경주 괘릉 석상 및 석주는 정교하고 사실적인 세부 묘사가 특징인 대표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왕릉 메이저카지노사이트들이다. 특히 중앙아시아인 혹은 불교의 금강역사상과 같은 풍모를 한 석인상은 통일신라 왕릉메이저카지노사이트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며, 당당하면서도 자유분방한 사자상도 동물메이저카지노사이트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통일신라시대 메이저카지노사이트사와 능묘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임영애, 「신라하대 왕릉 메이저카지노사이트의 완성, 원성왕릉 메이저카지노사이트의 제작시기 재검토– 왕릉 조영과 왕릉 메이저카지노사이트의 시기 불일치 문제-」(『불교미술사학』 14, 2012)
권강미, 「통일메이저카지노사이트 사자상의 수용과 전개」(『신라의 사자』, 국립경주박물관, 2006)
임영애, 「‘서역인’인가 ‘서역인 이미지’인가 -통일메이저카지노사이트미술 속의 서역인식-」(『미술사학연구』 236, 2002)
권영필, 「경주괘릉인물상 재고」(『미술자료』50, 국립중앙박물관, 1992)
주석
주1

십이지를 상징하며 각각 방향과 시간을 맡아 지키고 보호하는 열두 가지 동물의 상(像). 대개 같은 모양의 관복을 입고 머리만 동물 모양을 하고 있는데, 능이나 묘의 둘레돌에 메이저카지노사이트되거나 관이 들어 있는 방의 내부에 벽화로 그려져 분묘를 지키는 수호신의 역할을 한다.우리말샘

집필자
정은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메이저카지노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메이저카지노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