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화진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지명
고려 전기, 성종 때 설치한 강동육주(江東六州)에 속한 성보(城堡).
지명/고지명
제정 시기
995년(성종 14)
폐지 시기
고려 말기
지역
평안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흥화진은 인터넷 바카라 전기 성종 때 설치한 강동육주(江東六州)에 속한 성보(城堡)이다. 인터넷 바카라 초인 995년(성종 14)에 쌓았으며 뒤에 영주(靈州)로 고쳤다. 인터넷 바카라의 최전방 진(鎭)으로 영덕진(寧德鎭) 설치 이전까지 외교 창구로 기능하였다.

목차
정의
고려 전기, 성종 때 설치한 강동육주(江東六州)에 속한 성보(城堡).
위치

흥화진(興化鎭)은 지금의 평안도 의주 지역에 있었던바카라 규칙C9C4;이다.

형성 및 변천

993년(성종 12) 거란과의 1차 전쟁 때 인터넷 바카라는카지노 룰렛 확률C11C;카지노 룰렛 확률D76C;를 보내주1과 강화 협상을 벌였다. 그 결과 인터넷 바카라는 송과의 관계를 끊고 거란에 사대하는 대신, 압록강 동쪽의 영유권을 인정받았다.

이에 인터넷 바카라는 연안 경로를 따라 곽주(郭州), 통주(通州), 철주(鐵州), 용주(龍州)를, 내륙 경로를 따라 귀주(龜州)와 흥화진을 쌓았는데, 이들이2025년 슬롯사이트AC15;2025년 슬롯사이트B3D9;2025년 슬롯사이트C721;2025년 슬롯사이트C8FC;이다. 이 중 압록강 건널목에 가장 근접한 흥화진이 거란과의 외교 창구가 되었다.

1010년(현종 즉위년) 거란은 성종(聖宗)이 직접 인터넷 바카라를 침공하였는데, 흥화진이 가장 먼저 공격을 받았으나 도순검사(都巡檢使)카지노 사이트C591;카지노 사이트ADDC;가 성을 지켜내었다. 개경까지 진주한 거란 성종은 인터넷 바카라 국왕의 친조(親朝)를 약속받고 철군하였다. 그러나 인터넷 바카라가 친조를 이행하지 않자 거란은 강동육주의 반환을 요구하며 여러 차례 변경을 침공하였다. 양국의 전쟁은 1018년(현종 9)주3의 침공이 실패한 것을 끝으로 종료되고 국교가 복구되었고, 흥화진은 1030년(현종 21) 영주(靈州)로 승격하였다.

이후 인터넷 바카라는 압록강 어귀에서 동해안에 이르는 국경 지역에 추가로 주진(州鎭)을 설치하고 이들을 연결하는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CC9C;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B9AC;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C7A5;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C131;을 쌓아 국경을주4. 이후 거란과의 외교 창구는 거란에 가장 가까운 영덕진(寧德鎭)이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인터넷 바카라사(高麗史)』
『인터넷 바카라사절요(高麗史節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논문

송용덕, 「인터넷 바카라전기 국경지역의 주진성편제」(『한국사론』 51,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5)
신안식, 「인터넷 바카라초기의 영토의식과 국경 분쟁」(『군사』 105,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7)
윤경진, 「인터넷 바카라 현종말-문종초 북계 주진 설치와 장성 축조」(『군사』 79,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1)
윤무병, 「인터넷 바카라북계지리고(상·하)」(『역사학보』 4·5, 역사학회, 1953)
주석
주1

거란의 장군(?~?). 인터넷 바카라 성종 12년(993)에 80만 대군을 이끌고 인터넷 바카라에 침입하였으나, 서희와의 담판에서 굴복하여 강동 육주를 인터넷 바카라에 넘겨주고 물러났다.우리말샘

주2

임금이 친히 황제에게 가서 문안함.

주3

거란의 장군(?~?). 인터넷 바카라 현종 1년(1010)에 인터넷 바카라를 침공하여 개성을 점령하였고, 현종 9년에 10만 대군을 이끌고 다시 침입했으나 귀주에서 강감찬에게 대패하였다.우리말샘

주4

경계 따위를 명확히 구별하여 정하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