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선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함길도관찰사, 판한성부사, 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부, 慶夫
시호
양경, 良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68년(공민왕 17)
사망 연도
1438년(세종 20)
본관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주요 관직
좌랑|정랑|수령|호조참의|인수부윤|한성부윤|함길도관찰사|판한성부사|중추원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온라인 바카라 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함길도관찰사, 판한성부사, 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경부(慶夫). 할아버지는 우문관대제학(右文館大提學)바카라사이트C774;바카라사이트ACE1;이고, 아버지는슬롯 머신 프로그램C774;슬롯 머신 프로그램C0C9;이며, 어머니는 명위장군(明威將軍) 권중달(權仲達)의 딸이다.온라인 바카라 추천AD8C;온라인 바카라 추천ADFC;의 사위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82년(우왕 8) 15세 때바카라 방법BB38;바카라 방법ACFC;에 급제해 좌랑 · 정랑을 지냈으며, 외직으로 순창 · 배천 · 여흥의 수령을 역임하였다. 1392년(태조 1)슬롯 꽁 머니C815;슬롯 꽁 머니BABD;슬롯 꽁 머니C8FC;가 피살되자 일당으로 몰려 서인(庶人)으로 강등되고 귀양 갔다.

1396년 병조참의을 거쳐 1409년(태종 9) 좌우사간대부 재임 시 소를 올려,슬롯 사이트B300;슬롯 사이트AC04;은 논의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일을 논의할 수 있도록 건의해 시행되었다. 1411년 명나라의 진련(陳璉)에게 받은 아버지 이색의 비명 문제로 동래진으로 귀양갔다.

그 뒤 호조참의 ·메이저 바카라B300;메이저 바카라C5B8;을 지내다가 인수부윤(仁壽府尹)으로 승진하였다. 다시 외방으로 나가 강원도슬롯사이트 꽁머니AD00;슬롯사이트 꽁머니CC30;슬롯사이트 꽁머니C0AC;· 충청도관찰사로 있다가, 1417년 풍해도관찰사가 되었다. 그러나 구암사와의 노비속공 문제로 의금부에 하옥되었다.

1418(세종 즉위년)바카라 전략D55C;바카라 전략C131;바카라 전략BD80;윤으로 있다가 다시 인수부윤이 되었고, 1421년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가 되었다. 1423년 진전사(進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24년 다시무료 슬롯 사이트C9C4;무료 슬롯 사이트D558;무료 슬롯 사이트C0AC;의 부사로 북경에 다녀왔다. 그러나 진하사 도총제 권희달(權希達)의 문제로 직첩을 빼앗긴 뒤 외방에 부처되었다가 이듬 해 석방되었다.

1426년 함길도관찰사로 있다가 새 감사와 호부(虎符)를 인수인계 하는 일로 다시 파직되었다. 이듬 해 판한성부사를 거쳐 1428년 진하사로 북경에 다녀왔으며, 다시 이듬 해카지노 룰렛 확률C120;카지노 룰렛 확률C704;카지노 룰렛 확률C0AC;로 황주에 다녀왔다. 또한, 가례색도감토토 카지노C81C;토토 카지노C870;(嘉禮色都監提調)로서 전라도로 파견되어 세자빈을 뽑는 일을 관장하기도 하였다.

그 뒤 개성유후사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승진되었고, 1438년 중추원사가 되었다. 부친상을 당해 3년간 시묘살이를 해 효자로 일컬어졌으며, 뒤에 나라에서 효자비를 세우고 정문을 내렸다. 시호는 양경(良景)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호정집(浩亭集)』
『천해정속고(天海亭續稿)』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집필자
서병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온라인 바카라 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바카라 추천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온라인 바카라 추천]'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