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엄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신라 말 고려 초, 구산선문의 하나인 수미산문을 세운 선승.
이칭
시호
진철(眞澈)
보월승공(寶月乘空)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870
사망 연도
936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토토사이트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엄(利嚴, 870~936)은 신라 말 고려 초 구산선토토사이트 하나인 수미산문을 세운 선승이다. 중국에서 유학하면서 운거 도응의 법맥을 이었고, 귀국 후에 경상남도 김해 지역의 호족인 소율희의 후원을 받았다. 이후 고려 태조의 귀의를 받아 황해남도 해주에 수미산문을 열었다.

목차
정의
신라 말 고려 초, 구산선문의 하나인 수미산문을 세운 선승.
개설

이엄(利嚴, 870~936)은 신라 말 고려 초 구산선토토사이트 하나인슬롯 머신 일러스트C218;슬롯 머신 일러스트BBF8;슬롯 머신 일러스트C0B0;슬롯 머신 일러스트BB38;을 세운 선승이다. 이엄은주1이며,주10는 진철(眞澈),주3는 보월승공(寶月乘空)이다. 경문왕 10년(870)에 태어났다. 그의 선조는 본래 신라의 왕족이었으나 신라 하대에 왕위 계승전을 겪으면서 웅천(熊川) 지역토토사이트 퇴거하였던 낙향 호족이다. 아버지 김장(金章)은 부성(富城, 현 서산)과 소태(蘇泰, 현 태안) 지역에 은거하였다.

이엄은 881년(헌강왕 7) 12세의 나이에 가야갑사(迦耶岬寺) 덕양(德良)의 문하로 출가토토사이트고, 그곳에서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AD50;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D559;을 수학하였다. 886년(정강왕 원년)에 도견율사(道堅律師)에게 구족계를 받았으며, 이후 계율을 엄격하게 지켰다. 896년(진성여왕 10)에 중국토토사이트 유학을 가 운거 도응(道膺)의 문하에서 수행을 하고주11를 받았다. 그후 여러 곳토토사이트카지노사이트 추천C120;카지노사이트 추천C9C0;카지노사이트 추천C2DD;을 찾아다니다가 911년(효공왕 15)에 신라로 돌아왔다. 그는 여러 곳을 다니다가 경상남도 김해 · 창원 지역의 호족인바카라 나락C18C;바카라 나락C728;바카라 나락D76C;주6를 받아 승광산(勝光山)에 머물렀다. 922년(태조 5)에는 충청북도 영동군 남쪽의 영각산(靈覺山)토토사이트 자리를 옮겼다. 다음해에 고려온라인카지노추천D0DC;온라인카지노추천C870;가 그를 개경의 사나내원(舍那內院)에 초청토토사이트다. 932년(태조 15)에 태조가 건립한 황해남도 해주(海州) 수미산 광조사(廣照寺)에 머물렀고, 936년(태조 19)에슬롯 사이트 슬롯사이트C785;슬롯 사이트 슬롯사이트C801;토토사이트다.

이엄이 개창한 수미산문은 고려 태조의 적극적인 후원과 함께 해주 지역의 대호족인 황보씨(皇甫氏) 세력 등토토사이트부터 후원을 받았다.

이엄의 선사상은 그가 직접 가르침을 받고 법맥을 계승한 운거 도응의 선토토사이트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던 것토토사이트 보인다. 운거 도응은 석두 희천(石頭希遷), 약산 유엄(藥山惟儼), 운암 담성(雲巖曇晟), 동산주9로 이어지는 법맥을 계승한 승려이다. 처음 이엄은 취미 무학(翠微無學)에게 3년 동안 가르침을 받았는데, 취미 무학은 석두 희천, 단하 천연(丹霞天然)의 법맥을 이은 선승이었기에 동산 양개와 마찬가지로 석두계의 선을 공유하였던 것토토사이트 보인다. 1500명이 넘는 운거 도응의 제자 중 도응의 법맥을 이었다고 이름을 남긴 사람은 31명에 불과하다. 그들 중 이엄,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D615;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BBF8;, 안전한 바카라 사이트C5EC;안전한 바카라 사이트C5C4;, 토토 사이트 디시ACBD;토토 사이트 디시C720;, 운주(雲住), 혜(慧) 등 신라와 고려의 선승이 6명이나 된다. 이 가운데 이엄은 수미산문을 세웠고, 여엄, 형미, 경유와 함께 사무외사(四無畏士)로 불렸다.

수미산토토사이트 선승들이 석두계 선을 수용했다는 점은 신라 말 이후에 선의 사상적 흐름이 변화한 것을 보여준다. 당대슬롯사이트 볼트 메이저C120;을 대표하는 마조도일(馬祖道一)은 '마음이 곧 부처(卽心是佛)'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수행에 의해 미혹한 마음을 부처의 마음토토사이트 전환할 것이 아니라 '일상의 있는 그대로의 마음이 도(平常心是道)'이며, '일상의 모든 행위가 불성이 드러난 것(作用卽性)'이라 보았다. 이와 같이 수행이 필요 없고, 있는 그대로의 일상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사고는 그것에 수반하는 실천의 형태로서 '현실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대로 이상적 상태로 간주하는 평상무사(平常無事)'의 사상을 도출하게 된다. 그런데 당의카지노 슬롯머신 규칙120;카지노 슬롯머신 규칙885;계에서 마조선이 표방한 이념이 절대화되거나슬롯AD50;슬롯C885;화되면서 수행을 경시하거나 수행을 부정하는 폐단이 늘어났다. 이로 인해 석두 계통의 선사들은바카라 필승법BC95;바카라 필승법C131;, 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BD88;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C131;등의 본래성과 모든 일상의 행위인 현실태(現實態)의 작용을 마음[心]의 아래에 무매개적토토사이트 등치한 마조선을 비판하였다. 석두계는 현실태와는 다른 차원의 본래성을 새롭게 지향한 것이다.

참고문헌

원전

최언위, 「해주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海州廣照寺眞澈大師寶月乘空塔碑)」(『조선금석총람』, 조선총독부, 1919)

단행본

김두진, 『고려전기 교종과 선종의 교섭사상사 연구』(일조각, 2006)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일조각, 2007)
조범환, 『나말여초 선종산문 개창 연구』(경인문화사, 2008)
추만호, 『나말여초 선종사상사 연구』(이론과 실천, 1992)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春秋社, 1930)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승려가 되는 사람에게 종문(宗門)에서 지어 주는 이름.우리말샘

주3

승려의 별호.우리말샘

주6

돌아가거나 돌아와 몸을 의지함.우리말샘

주9

중국 당나라 말기 조동종(曹洞宗)의 승려(807~869). 조동종의 ‘동(洞)’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토토사이트다고 한다.우리말샘

주10

제왕이나 재상, 유현(儒賢) 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우리말샘

주11

사승(師僧)이 제자의 득법(得法) 또는 설법을 증명하고 인가함.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토토사이트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토토사이트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