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연혁도 ()

오복연혁도 / 천자제후정통방기복도
오복연혁도 / 천자제후정통방기복도
가족
문헌
조선시대, 문신이자 학자인 정구(鄭逑)가 역대 상복 제도의 연혁을 살펴 편찬한 예법에 관한 책.
문헌/고서
편찬 시기
1617년
간행 시기
1629년
저자
정구
권책수
1책
권수제
오복연혁도
판본
목판본
표제
오복연혁도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는 조선시대 문신이자 학자인 정구(鄭逑)가 역대 상복 제도의 연혁을 살펴 편찬한 예법에 관한 책이다. 35개의 바카라 보너스 기준 가운데 32개는 『의례경전통해』의 「의례상복바카라 보너스 기준」에 수록된 것을 기반으로 수정·보완한 것이고, 13개는 새롭게 작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의례경전통해』로 대표되는 옛 예법의 원형과 정신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시대에 알맞은 예제(禮制)를 정립해야 한다는 문제 의식이 구체화된 저술이다.

정의
조선시대, 문신이자 학자인 정구(鄭逑)가 역대 상복 제도의 연혁을 살펴 편찬한 예법에 관한 책.
서지사항

1책의 목판본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이 책은슬롯사이트 볼트 추천C815;슬롯사이트 볼트 추천AD6C;가 1617년(광해군 9) 가을 수년간 앓아 오던주1를 치료하기 위해 봉산의 온천에 갔던 여가에 주자(朱子)의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에 실려 있는 「의례상복바카라 보너스 기준(儀禮喪服圖式) · 오복도(五服圖)」를 기반으로 역대무료 슬롯 사이트C0C1;무료 슬롯 사이트BCF5;제도의 연혁을 살펴 재구성한 것이다. 담양도호부사인 문인슬롯 꽁 머니C774;슬롯 꽁 머니C724;슬롯 꽁 머니C6B0;에 의해 사후인 1629년(인조 7)에 초간되고 1664년(현종 5)에 전라감사해외 바카라 사이트C815;해외 바카라 사이트B9CC;해외 바카라 사이트D654;와 용담현령인토토사이트추천D64D;토토사이트추천C11D;에 의해 중간된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의례상복바카라 보너스 기준 · 오복도」의 18개 바카라 보너스 기준 전체와 바카라 보너스 기준 없이 설명만 있던 1개를 바카라 보너스 기준화하고 「의례상복바카라 보너스 기준 · 오복식(五服式)」에 수록되어 있던 1개의 바카라 보너스 기준을 옮겨 개정과 보완을 거쳐 재수록했다. 또한카지노 꽁머니AC00에만 있는 「삼부팔모복도(三父八母服圖)」에서 삼부(三父)에 해당하는주5관련 내용과주6에 해당하는 내용을 「계부복도(繼父服圖)」와 「십모복도(十母服圖)」로 분리 · 개정하여 재수록했다. 여기에 13개의 바카라 보너스 기준을 새롭게 작성하여 총 35개의 복제 관련 바카라 보너스 기준을 수록하였다. 35개의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은 첫째, ‘군신 관련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둘째, ‘본종 관련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셋째, ‘위인후자(爲人後者) · 출가녀(出嫁女) 관련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넷째, ‘모당(母黨) [^7]·주8 · 주9관련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과 다섯째, 기타에 해당하는 ‘첩(妾) · 계부십모(繼父十母) · 상복(殤服) · 동자복(童子服) · 사우복(師友服) 등의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도에서 제7도까지는 군신 관련 바카라 보너스 기준이다. 이에는 ① 천자와 제후가 정통(正統)의 친족과 방계의 친족의주10에 대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② 군주가 신하를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③ 신하가 군주를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④ 군주가 복을 하는 대상에 대해 신하도 따라서 복을 할 때의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⑤ 제후의 첩자인 공자(公子)와 관련된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⑥ 군현의 관리가 수령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⑦ 대부가 자기의 친족에 대한 복을 낮추거나 낮추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이 포함된다. 본종 관련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은 제8도 내가 본종의 친족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이다.

위인후자(爲人後者) · 출가녀(出嫁女) 관련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은 제9도에서 제15도까지 7개이다. ① 다른 사람의 후사가 된 사람이 자기의 본종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② 본종의 친족들이 다른 사람의 후사가 된 사람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③ 다른 사람의 후사가 된 사람의 처가 남편의 본종에 대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④ 시집간 딸이 자신의 본종에 대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⑤ 내가 시집간 고모 · 자매 · 딸 · 손녀를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⑥ 고모 · 자매 · 딸 및 내형제와 외형제가 서로 되갚아주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⑦ 남자와 여자가 대종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이다.

모당(母黨) · 부당(夫黨) · 처당(妻黨) 관련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은 제16도에서 제21도까지 6개이다. ① 내가 어머니의 친족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② 어머니의 친족이 나를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③ 처가 남편의 친족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④ 처가 남편의 외가 친족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⑤ 내가 처의 친족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⑥ 처의 친족이 나를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이다.

기타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에는 첩과 관련된 ① 첩이 남편의 친족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② 첩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③ 첩의 자식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④ 서자로서 다른 사람의 후사가 된 사람이 자신의주2을 위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⑤ 계부에 대한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⑥주3에 대한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⑦ 성인이 되기 전에 죽은 친족에 대한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⑧ 성인이 되지 않은 동자가 친족에 대해 하는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⑨ 스승과 친우에 대한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⑩ 상복을 하는 때를 놓치고 뒤늦게 할 때의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⑪ 복이 없는 대상에 대해 곡위를 마련하여 곡할 때의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⑫ 조문을 할 때의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⑬ 상복을 결정하는 원칙에 대한 바카라 보너스 기준, ⑭주4을 할 때의 복제 바카라 보너스 기준 등 14개의 바카라 보너스 기준이 포함된다.

의의 및 평가

16세기 후반부터 본격화되는 민간 의례 연구는 조선시대의 풍속을 반영하여 『가례』를 현지화하는 동시에, 옛 예법의 정신에 따라 『가례』를 보완하는 공통된 양상으로 진행된다. 후자의 양상은 『의례경전통해』의 수입과 간행, 그리고 확산을 통해 각성된 문제 의식에 기반한 것이다. 그 점에서 정구의 『오복연혁도』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조선 최초의 저술이다. 『오복연혁도』에 복제(服制)라는 단일한 주제로 35개의 바카라 보너스 기준을 수록한 것과 군주에 대한 신하의 복제는 물론 신하에 대한 군주의 복제까지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바카라 보너스 기준화한 것은 『의례경전통해』의 문제의식을 계승한 것으로, 중국은 물론 조선에서도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일이다. 『오복연혁도』는 『의례경전통해』의 바카라 보너스 기준들을 원본 그대로 준수한 것이 아닌 개정과 보완이라는 가공 작업을 거쳐 재수록함으로써 『의례경전통해』를 성찰적으로 계승한다. 이처럼 이 책은 『가례』의 숭배라는 제한된 시각을 벗어나, 『의례경전통해』로 표상되는 옛 예법의 원형과 정신에 대한 해석의 긴 역사를 기반으로 예제를 정립해야 한다는 정구의 문제 의식이 구체화된 저술이다.

참고문헌

원전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

단행본

남재주, 『조선후기 영남예학 연구』(도서출판3, 2019)

논문

장동우, 「한강(寒岡)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의 예학사(禮學史)的 위상(位相)」(『퇴계학과 유교문화』 58,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주석
주1

비증(痹症)의 하나. 팔다리와 몸이 쑤시고 무거우며 마비가 오는데 그 부위가 일정하지 않고 수시로 이동한다.우리말샘

주2

서자(庶子)의 친어머니.우리말샘

주3

열 가지의 어머니. 친모(親母), 출모(出母), 가모(嫁母), 서모(庶母), 적모(嫡母), 계모(繼母), 자모(慈母), 양모(養母), 유모(乳母), 제모(諸母)를 이른다.우리말샘

주4

다시 장사 지냄.우리말샘

주5

어머니가 재혼함으로써 생긴 아버지.우리말샘

주6

친어머니 이외에 복제(服制)의 구별이 있는 여덟 어머니. 적모(嫡母), 계모(繼母), 양모(養母), 자모(慈母), 가모(嫁母), 출모(出母), 서모(庶母), 유모(乳母)를 이른다.우리말샘

주7

어머니 쪽의 일가.우리말샘

주8

남편과 동성동본인 겨레붙이.우리말샘

주9

아내의 친족.우리말샘

주10

일 년 동안 입는 상복.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