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기 ()

목차
관련 정보
속기사
속기사
문자
개념
사람의 음성언어를 특정부호를 사용하여 기록한 후 이를 다시 문자화하는 기록행위. 빨리적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사람의 음성언어를 특정부호를 사용하여 기록한 후 이를 다시 문자화하는 기록행위. 빨리적기.
내용

일반문자(한글 알파벳 등)로는 사람의 말하는 것을 모두 다 기록할 수 없다. 음성언어를 따라잡기에는 문자를 구성하는 획선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이에 음성언어를 빠짐없이 기록할 수 있는 부호문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언어속도는 대체로 1분간에 250∼350음자 정도이다. 이러한 언어속도를 따라잡으려면 적어도 1분당 320음자 이상을 기록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능력을 가지고 업 카지노에 종사하는 사람을 전문직업업 카지노사라 한다.

전문직업업 카지노사가 되려면 우선 여러 가지 업 카지노법식 중에서 한 가지를 택하여 그 이론을 완전히 숙지하고 1년 이상의 속도훈련을 거쳐야 한다.

업 카지노는 그 방식에 따라 수필업 카지노(手筆速記)와 기계업 카지노(機械速記 : 타자업 카지노, 녹음업 카지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러한 업 카지노방식에 의해 업 카지노하는 기술을 업 카지노술, 업 카지노술에 의해 업 카지노부호화 해 놓은 상태를 업 카지노록, 업 카지노부호를 문자언어화하는 것을 번문(飜文) 또는 반문(反文), 업 카지노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을 업 카지노사, 업 카지노사를 양성하는 것을 업 카지노교육, 업 카지노와 관련된 이상의 모든 부문을 그 발전과정을 살피고 현재의 업 카지노이론을 언어현실에 비추어 비교분석하고 업 카지노문자를 개량해 나감으로써 보다 나은 미래의 가능성을 찾기 위해 연구하는 것을 넓은 의미에서 업 카지노학이라 한다.

누구나 업 카지노를 배워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는 있으나 전문직업업 카지노사가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구비해야 한다.

발음이 좀 불분명하거나, 처음 듣는 내용이나 어휘일지라도 그 뜻을 유추하여 정확히 이해하고 새겨들을 수 있는 고도의 청취능력, 언어속도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업 카지노부호화할 수 있는 운필능력(運筆能力) 그리고 음성언어의 뜻이 훼손되지 아니하도록 문자언어화할 수 있는 수문능력(修文能力)이 그것이다.

우리말 업 카지노이론이 연구 발표되기 시작한 것은 1909년 하와이 교포신문인 ≪신한민보≫에 발표된 박여일(朴如日)의 <조선어업 카지노법>부터이다. 그 후 김두봉(金枓奉)이 중국 상해에서 <날적말적기>(1923)를, 방익환(方翼煥)·이원상(李源祥)이 ≪시대일보≫에 <조선어업 카지노술>(1925)을, 김한터가 월간 ≪조선≫에 <우리말 업 카지노법>(1927)을, 엄정우( 嚴正友)가 월간 ≪동광 東光≫에 <조선업 카지노법>(1927)을 발표하엿다.

이어서 김용호(金勇虎)가 동래고보(東萊高普) 교지에 <조선업 카지노법>(1934)을, 강준원(姜駿遠)이 ≪동아일보≫에 ≪조선어업 카지노술강해 朝鮮語速記術講解≫(1935)를 속속 발표하였다.

하지만 대부분 언어속도를 따라잡기에는 미흡한 것들이었고, 강준원의 <조선어업 카지노술>에 이르러서야 어느 정도 언어속도를 따라잡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는 일제치하로서 우리말 업 카지노술의 지속적인 연구 보급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우리말 업 카지노술이 실용화되기 시작한 것은 해방이 되고 나서였다. 1946년 12월 남조선과도입법강원(南朝鮮過渡立法議院) 예비회의부터 당시 일본어 업 카지노를 하던 6명의 업 카지노사에 의해 업 카지노록이 작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힘입어 수많은 업 카지노법식이 새로이 연구 발표되고, 업 카지노술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48년 5월 31일 개원된 제헌국회부터 우리 나라는 우리말 업 카지노법에 의해 국회회의록을 작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제헌국회 제1차회의부터 업 카지노법식에 의한 회의록을 남기고 있는 나라는 일본과 우리 나라뿐으로 이는 세계에 자랑할만한 일이라 하겠다.

해방 이후에 연구 발표된 업 카지노법식으로는 장기태(張基泰)의 일파식(1946년, 서울신문 발표), 박인태(朴寅泰)의 중앙식(1947), 김천한(金天漢)의 고려식(1948), 이동근(李東根)의 동방식(1948), 김세종(金世鍾)의 세종식(1950), 남상천(南相天)의 남천식(1956) 등이 있다.

이렇게 수많은 업 카지노법식이 거의 동시적으로 발표되면서 각 법식의 창안자들은 업 카지노사 양성기관을 설립하거나 순회강연회를 개최하는 등 경쟁적으로 자신의 업 카지노법식 보급에 앞장서게 된다. 그리하여 조선업 카지노전문학관, 고려업 카지노학관, 해방업 카지노학원 등이 설립되고 조선업 카지노문화협회가 발족되어 활동하였다.

그러나 6·25로 인해 민간에서의 업 카지노사 양성이 어렵게 되자 국회에서는 국회회의록을 작성할 수 있는 업 카지노사를 자체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1951년 대한업 카지노고등기술학교를 설립·운영하게 된다.

전쟁이 끝날 무렵부터 민간 양성기관이 다시 설립되어 업 카지노사 양성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업 카지노사 수요의 부진으로 인한 경영난으로 고려업 카지노학원과 동방업 카지노학원만이 남고 대부분 문을 닫게 되었다. 그나마 유일한 관립 양성기관이던 대한업 카지노고등기술학교마저 1961년 5·16으로 인해 폐교되었다.

그러나 민간 양성기관에서 배출되는 업 카지노사만으로는 국회업 카지노사를 충원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다시 도래하게 되고, 이에 국회에서는 1968년 관립양성기관인 국회업 카지노사양성소를 설립하게 되었다.

국회업 카지노사양성소에서는 설립되면서 바로 새로운 업 카지노법식의 창안작업에 착수하여 1년간의 연구 끝에 1969년 의회업 카지노법식을 창안 발표하고, 동 양성소의 정식 교수법식으로 채택하여 1996년까지 가르쳤다.

동 양성소는 1997년 수필업 카지노를 폐지하고 기계업 카지노를 도입하여 교육하였으나 기대만큼의 실적을 보지 못하고, 현재는 운영을 중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한편으로 업 카지노록의 신속발간을 목적으로 1970년대부터 연구되기 시작한 기계업 카지노(일명 컴퓨터업 카지노)는 1990년초부터 일부 실용화가 가능하게 되어 업 카지노 능력자를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지방자치제 실시를 앞두고 1980년대 중반 이후 한때는 서울과 지방에 각종 업 카지노학원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 업 카지노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기도 하였으나, 각 지방의회 업 카지노사의 충원이 끝나면서 그러한 학원들은 모두 문을 닫은 상태이다.

1998년 현재 활동하고 있는 직업전문업 카지노사는 전국적으로 약 1,000명 정도에 이르고 있으며, 국회에서 쓰이고 있는 업 카지노법식은 의회식·동방식·고려식(이상 수필업 카지노)과 카스(기계업 카지노)등이 있다.

이 밖에도 업 카지노학술의 체계적인 연구 및 보급 등의 필요성에 의하여 뜻 있는 업 카지노인들이 모여 1955년에는 대한업 카지노학술협회를 창설하였으며, 후에 이를 대한업 카지노협회로 개칭하여 활동하여 오다가 1969년 문화공보부(현재의 문화관광부)장관으로부터 인가를 받아 사단법인 대한업 카지노협회로 재출범,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협회에서 1970년부터 주관·실시해 오던 업 카지노사자격검정시험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거하여 1984년부터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관하여 실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업 카지노개관』(국회사무처의사국업 카지노과, 1969)
『업 카지노총람』(대한업 카지노협회, 1972)
『고려법식업 카지노학』(김천한·금성한, 시대문학사, 1988)
『교육세계대백과사전』(교육사, 1989)
『업 카지노학』(국회의정연수원, 199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