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류수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지명
삼국시대, 고구려가 건국하고 도읍을 정하는 과정에서 중심에 위치한 강(江).
지명/고지명
지역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지린성(吉林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비류수는 삼국시대에 고구려가 건국하고 도읍을 정하는 과정온라인 슬롯 중심에 위치한 강(江)이다. 오늘날 중국 랴오닝성과 길림성에 걸쳐 흐르는 훈장[渾江]에 비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비류수 상류에 위치한 송양의 비류국, 고구려 5부 중 하나인 비류부 등과 관련하여 볼 때 고구려 초기 역사 전개 과정온라인 슬롯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가 건국하고 도읍을 정하는 과정에서 중심에 위치한 강(江).
위치

중국의 랴오닝성[遼寧省]과 지린성[吉林省]에 걸쳐 흐르는 훈장[渾江]에 비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그 지류인 푸얼강[富爾江]으로 보기도 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고구려본기에 서기전 37년에 주몽이 고구려를 건국하고 도읍을 정하는 과정온라인 슬롯 등장하며, 21년(대무신왕 4)에 부여를 정벌할 때 고구려군의 이동 경로 중에도 포함되어 있다.

그렇지만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삼국의 이름만 있고 그 위치가 상세하지 않은 곳[삼국유명미상지분(三國有名未詳地分)]’의 명단 중에 기재되어 있어, 『삼국사기』 편찬 당시 찬자는 비류수의 정확한 위치를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삼국지』 동이전 고구려조온라인 슬롯는슬롯 머신 일러스트C0B0;슬롯 머신 일러스트C0C1;슬롯 머신 일러스트C655;와의 왕위 계승 전쟁온라인 슬롯 패배한 발기(拔奇) 세력이 돌아와 거주한 곳으로 나오며, 관구검전온라인 슬롯는주1의 침공과 관련하여 고구려군의 진군 경로온라인 슬롯 등장한다.

의의 및 평가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B3D9;메이저 바카라 사이트BA85;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131;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655;이 고구려를 건국하는 과정온라인 슬롯 도읍으로 정한주3유역은 비류수에 속해 있는 특정 구간에 대한 지명으로 이해된다. 아울러 비류수의 상류에 자리잡고 있던무료 바카라 게임BE44;무료 바카라 게임B958;무료 바카라 게임AD6D;의 존재까지 감안하여 본다면, 비류수는 고구려 초기 역사 전개 과정온라인 슬롯 매우 중요한 지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지역과 관련된 고고학적 발굴 성과 역시 비류수 및 그 지류의주2에 펼쳐진 평지를 따라 정치 집단이 형성되며 점차 국가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지(三國志)』

단행본

여호규, 『온라인 슬롯성 I』-압록강 중상류편(국방군사연구소, 1998)

논문

권순홍, 「온라인 슬롯 도성 연구」(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이준성, 「온라인 슬롯의 형성과 정치체제 변동」(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기경량, 「온라인 슬롯 왕도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노태돈, 「온라인 슬롯초기 천도에 관한 약간의 논의」(『한국고대사연구』 68, 한국고대사학회, 2012)
주석
주1

‘위’를 달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2

강이나 하천 따위의 양쪽 기슭.우리말샘

주3

북부여온라인 슬롯 남하한 주몽이 처음 나라를 세운 곳. 중국 랴오닝성(遼寧省)온라인 슬롯 시작하여 남쪽으로 흘러 압록강에 합류하는 퉁자강(佟佳江)으로 추정된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