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군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전기, 태종 때 창설한 화기 전문 부대와 성종 때 조직한 국왕 호위 부대의 명칭.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 태종 대 | 조선 성종 대
폐지 시기
1410년(태종 10) | 조선 성종 대
주관 부서
군기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카지노 한국인은 조선 전기, 태종 때 창설한 화기 전문 부대와 성종 때 조직한 국왕 호위 부대의 명칭이다. 태종 때 등장한 카지노 한국인은 군기감 소속으로 양인으로 구성되었다. 노역에 동원되면서 전문성이 떨어지자 총통위가 창설되어 카지노 한국인의 기능을 대신하게 되었고, 지방군 강화책에 따라 정병으로 전환되면서 카지노 한국인은 소멸하였다. 성종 때 국왕 호위를 강화하고자 군기감 카지노 한국인과 동일한 명칭의 카지노 한국인을 국왕 호위 부대로 창설하였다. 성종 때 카지노 한국인은 상설 부대는 아니었고 국왕이 거둥할 때마다 기병과 보병을 차출하여 호위 부대 역할을 수행하게 하였다.

정의
조선 전기, 태종 때 창설한 화기 전문 부대와 성종 때 조직한 국왕 호위 부대의 명칭.
내용

화기 전문 부대 카지노 한국인

태종 때 등장한주1전문 부대였다. 고려 말에 화기 발명에 힘입어 1378년(우왕 4)에 화통방사군(火㷁放射軍)이라는 화기 전문 부대가 출현하였다. 이 부대는 조선에 들어와토토 카지노ACF5;토토 카지노B178;토토 카지노BE44;로 구성된주2으로 개칭되었다. 화통군은 각종 노역에 동원되다가 1410년(태종 10)에 소멸하였는데, 대신 등장한 것이토토 계좌AD70;토토 계좌AE30;토토 계좌C2DC;소속의 카지노 한국인이었다.

카지노 한국인은 화통군과 달리사설 카지노C591;사설 카지노C778;중에서 선발하였다. 본래부터 카지노 한국인역(別軍役)에 동원된 1,000명 정원의 원속(元屬) 카지노 한국인과 다른 병종에서 옮겨온 이속(移屬) 카지노 한국인으로 구성되었다.마카오 카지노 슬롯 머신BD09;마카오 카지노 슬롯 머신C871;을 지급받고주3후에는 군관(軍官)으로 임용되는 등 국가로부터 일정한 대우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역시 각종 노역에 동원되면서 전문성이 떨어지게 되자, 1445년(세종 27)카지노사이트CD1D;카지노사이트D1B5;카지노사이트C704;라는 별도의 화기 전문 부대가 출현하였다. 문종 대 이후 지방군 강화책으로 카지노 한국인은주4이 폐지되어 정군(正軍) · 정병(正兵)으로 전환되면서 소멸하였다.

국왕 호위 부대 카지노 한국인

1489년(성종 20)에 임금이주5할 때 국왕 호위를 강화할 목적으로 만든 부대였다.주6이라 불리는 당상관 2명이 이들을 통솔하였다. 카지노 한국인은 상설 조직이 아니어서 국왕이 거둥할 때마다 기병 100명과 보병 100명을 차출하여 구성하였다.

국왕이 거둥할 때 영카지노 한국인장 2명이 각각 반씩 거느리고카지노 슬롯머신 게임C5B4;카지노 슬롯머신 게임AC00;가까이에 위치한카지노 사이트CCAD;카지노 사이트B85C;카지노 사이트B300;바깥에서 호위하였다. 성종 사후 관련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성종 때만 존재한 국왕 호위부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성종실록(成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논문

김웅호, 「조선초기 중앙군 운용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김일환, 「조선초기 군기감의 무기제조연구」(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주석
주1

화약의 힘으로 탄알을 쏘는 병기.우리말샘

주2

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에, 화통으로 무장한 기술 병종(兵種).우리말샘

주3

벼슬아치가 임기가 차서 다른 벼슬자리로 옮김. 또는 그 벼슬아치.우리말샘

주4

지방의 군사를 뽑아서 차례로 서울의 군영으로 보내던 일.우리말샘

주5

임금의 나들이.우리말샘

주6

조선 성종(成宗) 때 임금의 시위(侍衞)를 맡은 카지노 한국인(別軍)을 거느리던 장수. 정3품 당상관으로 임명하였다바로가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