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팔번뇌 ()

목차
불교
개념
번뇌를 108가지로 분류한 불교교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번뇌를 108가지로 분류한 불교교리.
내용

그러나 불교의 교리 발달과 함께 백팔카지노 가입머니의 산출법이 뚜렷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 백팔카지노 가입머니의 산출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두 가지 설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첫째는 눈·귀·코·혀·피부·뜻의 육근(六根)과 이 육근의 대상이 되는 색깔·소리·냄새·맛·감각·법(法)의 육진(六塵)이 서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갖가지 카지노 가입머니에 대한 산출법이다.

육근이 육진을 접촉할 때 각각 좋고[好], 나쁘고[惡], 좋지도 싫지도 않은[平等] 세 가지 인식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곧 3×6=18의 십팔카지노 가입머니가 된다. 또, 이 호·오·평등에 의거하여 즐겁고 기쁜 마음이 생기거나[樂受], 괴롭고 언짢은 마음이 생기거나[苦受],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상태[捨受]가 생기기도 한다.

이 고·낙·사수의 삼수(三受)를 육근과 육진 관계에서 생겨나는 육식(六識)에 곱하면 역시 십팔카지노 가입머니가 성립된다. 이와 같은 36종의 카지노 가입머니에 전생·금생·내생의 3세를 곱하면 108이 되어 백팔카지노 가입머니의 실수를 얻게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풀이이다.

두번째의 산출법은 보다 깊은 교리적인 해설이 요구된다. 이 산출법은 어떻게 수행을 해서 카지노 가입머니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것인가 하는 수행 실천의 문제를 잘 풀이해 주고 있다. 이것은 사고의 영역에 속하는 카지노 가입머니요, 실천의 영역에 속하는 카지노 가입머니를 근거로 하는 산출법이다.

곧, 견혹(見惑)인 88사(使) 카지노 가입머니와 수혹(修惑)인 10혹(惑) 카지노 가입머니에는 십전(十纏)의 카지노 가입머니를 더하여 얻는 백팔카지노 가입머니설이다. 견혹이란 사고·지식·인식 작용에 바탕을 둔 카지노 가입머니를 뜻한다.

여기서의 견(見)은 지혜로 얻은 지식 내용을 뜻하며, 혹은 카지노 가입머니의 다른 이름으로서 지혜로 제거할 수 있는 카지노 가입머니, 올바른 지혜를 가로막는 카지노 가입머니란 뜻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다시 말하면, 지금 가지고 있는 소견이 잘못된 것인 줄만 깨달으면 곧 없어지는 카지노 가입머니이며, 보기만 바로 보면 곧 해탈된다는 뜻을 가진 카지노 가입머니이므로 ‘견도소단혹(見道所斷惑)’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사혹은 정서적·의지적·충동적 카지노 가입머니로서, 그 카지노 가입머니의 성질이나 내용을 알았다고 해서 곧 바뀌어지지 않는 카지노 가입머니이다. 돈이나 명예나 이성에 대한 탐욕이 바람직하지 못한 줄도 알고 있고, 시기·질투가 나쁜 줄 알면서도 아는 것과는 달리 그러한 심리작용이나 습관이 일시에 제거되지 않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표면상으로는 견혹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반면, 사혹은 정신의 이면에 깊은 뿌리를 내리고 내재하여 인간의 생을 이끌어가는 카지노 가입머니로서 좀처럼 끊어지지 않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거울의 때를 닦고 칼을 숫돌에 갈듯이 점차로 끊어야 한다는 뜻에서 사혹을 ‘수도소단혹(修道所斷惑)’이라고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이 견혹의 88가지에 사혹의 10가지를 합해 98가지가 되고, 여기에 탐심과 진심(瞋心)과 치심(癡心)의 근본 카지노 가입머니에서 일어나는 10가지 부수적인 카지노 가입머니를 더하여 백팔카지노 가입머니가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백팔카지노 가입머니」(성진, 『불교사상』 5, 1984)
집필자
이기영(전 동국대학교, 불교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