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릉 ()

고려시토토 메이저 사이트;사
유적
고려 제26토토 메이저 사이트; 충선왕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1325년(충숙왕 12)
관련 국가
고려
관련 인물
충선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덕릉(德陵)은 고려 제26대 충선왕의 능이다. 1325년 충선왕의 사후 개성부 서쪽으로 12리에 안장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정확한 위치는 확인되고 있지 않다. 다만 1377년 공민왕비 노국대장공주의 정릉 재실을 조영할 때 덕릉의 나무를 베어 조성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의 현정릉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의
고려 제26토토 메이저 사이트; 충선왕의 능.
건립경위

토토 신규가입꽁머니CDA9;토토 신규가입꽁머니C120;토토 신규가입꽁머니C655;(忠宣王, 12751325, 재위 1298, 13081313) 왕장(王璋)은 고려 제25대카지노 꽁돈CDA9;카지노 꽁돈B82C;카지노 꽁돈C655;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원나라 세조의 딸인카지노 필립C81C;카지노 필립AD6D;카지노 필립B300;카지노 필립C7A5;카지노 필립ACF5;카지노 필립C8FC;이며, 비는 원나라 진왕의 딸인슬롯 머신 사이트ACC4;슬롯이다.

1298년 아버지인 충렬왕의 선위로 왕위에 즉위하였으나 곧 실각하였다. 1308년 충렬왕의 사후에 복위하였다가, 재위 5년만인 1313년 아들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CDA9;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C219;모바일 슬롯 머신 게임C655;에게 전위하였다. 1325년(충숙왕 12) 5월 신유 50세로 승하하여, 그해 11월 갑인일에 덕릉(德陵)에 안장되었다.

변천

충선왕의주1은 그의 사후 56개월 존속되어 1330년(충혜왕 즉위) 6월 정미에주2에 부묘되었다. 1371년(공민왕 20) 12월 기해일에에볼루션 바카라 무료ACF5;에볼루션 바카라 무료BBFC;에볼루션 바카라 무료C655;꽁 머니 카지노C81C;꽁 머니 카지노B989;꽁 머니 카지노C11C;를 관할하는주3에게 법도에 맞게 하도록 하면서 제릉전직(諸陵殿直)을 새로 선발하도록 하였다. 공민왕은 이듬해 1372년(공민왕 21) 11월에 덕릉에 제사를 올리기도 하였다.

1366년(공민왕 4) 5월 계사일에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B178;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AD6D;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B300;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C7A5;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ACF5;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C8FC;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C815;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B989;공사를 하면서 충선왕 덕릉에 있던 나무를 베어 정릉의 재실을 짓는 데 사용하였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그 위치는 공민왕의 현정릉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주4』에 의하면 개성부 서방 12리에 충선왕의 덕릉이 자리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형태와 특징

덕릉은 1325년 충선왕의 사후 개성부의 서방 12리에 안장하였다고 기록되어 있고, 덕릉의 나무를 베어 노국대장공주의 정릉 재실을 만들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현재의 현정릉 인근에 있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정확한 위치가 밝혀지지 않아, 왕릉의 규모나 형태 및 특징에 대해 밝히기가 어렵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단행본

장경희, 『고려왕릉(증보판)』(예맥, 2013)
장경희, 『고려왕릉』(예맥, 2008)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한국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평화문제연구소, 2005)

논문

홍영의, 「조선시대 고려왕릉의 현황과 보존 관리 실태」(『한국중세고고학』 제5호, 2019)
윤기엽, 「고려 혼전의 설치와 기능」(『한국사상사학』 제45집, 2013)
임영애, 「개성 공민왕릉 석인상 연구」(『강좌미술사』 17, 2001)

인터넷 자료

이북오도청(https://ibuk5do.go.kr/)
주석
주1

임금이나 왕비의 국장(國葬) 뒤 삼 년 동안 신위(神位)를 모시던 전각.우리말샘

주2

종묘의 정전(正殿).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사당으로, 초에는 목조, 익조, 탁조, 환조 등 태조의 사대조(四代祖) 신위를 모셨으나 그 후에는 당시 재위하던 왕의 사대조(四代祖)와 조선 시대 역대 왕 가운데 공덕이 있는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19칸으로, 단일 건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다. 우리나라 국보로, 국보 정식 명칭은 ‘종묘 정전’이다.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제사를 주관하고 왕의 묘호와 시호를 제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문종 때에, 관제의 축소 개편으로 격하되어 ‘태상부’로 고쳤다. ⇒규범 표기는 ‘태상시’이다.우리말샘

주4

조선 성종의 명(命)에 따라 노사신 등이 편찬한 우리나라의 지리서. ≪대명일통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각 도(道)의 지리ㆍ풍속과 그 밖의 사항을 기록하였다. 특히 누정(樓亭), 불우(佛宇), 고적(古跡), 제영(題詠) 따위의 조(條)에는 역대 명가(名家)의 시와 기문도 풍부하게 실려 있다. 55권 25책의 활자본.우리말샘

집필자
장경희(한서토토 메이저 사이트;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