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피리 (무료 슬롯 머신)

목차
관련 정보
당피리
당피리
국악
물품
관악기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관악기의 하나.
내용

무료 슬롯 머신는 1076년(문종 30) 당악기인 방향(方響)과 함께 사용되었으며, 그 뒤 1114년(예종 9) 송나라의 신악(新樂)이 들어올 때도 무료 슬롯 머신가 여러 당악기와 함께 수입되었다. 관(管)은 오래되고 누런 대나무로 만들며, 혀(舌)는 해죽(海竹)의 껍질을 벗겨 만들어서 관에 겹서를 끼워 분다.

『고려사』악지(樂志)에 의하면 당무료 슬롯 머신(唐觱篥)는 지공(指孔)이 9개이고,『세종실록』권132의 그림에도 9개인데, 그 중 2개는 뒤에 있다. 그러나 『악학궤범』에 의하면 상(上, 즉 仲呂)과 구(句, 즉 蕤賓)의 음은 모두 한 구멍에서 낼 수 있기 때문에 9구멍을 8구멍으로 고쳤다. 그 뒤로 오늘날까지 당무료 슬롯 머신의 구멍은 향무료 슬롯 머신와 같이 8개이다.

음역은 황종(黃)에서 청남려(湳)까지 약 1옥타브 반 이상이다. 관대가 크고 혀가 크므로 부는 데 조금 힘이 들지만 음색은 폭넓고 활달하다. 당무료 슬롯 머신로 연주하는 음악은 「보허자(步虛子)」·「낙양춘(洛陽春)」·「보태평(保太平)」·「정대업(定大業)」·「여민락만(與民樂慢)」·「본령(本令)」·「해령(解令)」등이 있다.

참고문헌

『국역 악학궤범』Ⅱ(민족문화추진회, 1980)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재관리국, 197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용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무료 슬롯 머신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무료 슬롯 머신]'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