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무부 ()

목차
근대사
제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무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무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
내용

내무부의 조직은 1919년 11월 공포된 <대한민국임시관제>에 의해 비서국·지방국·경무국·농상공국 등 4개국으로 구성되었다.

지방국은 헌정 주비(憲政籌備)·국회의원선거 및 지방 자치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국적 및 인구 조사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징병과 징발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행정구역 변경 및 설폐(設廢)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진재 휼난(賑災恤難)·자선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을 맡아 보았다. 또한 공익 단체·재단의 인허(認許)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각 종교 및 제도와 건물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명소·고적 보존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토목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등도 맡았다.

경무국은 행정 경찰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고등 경찰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도서출판 및 저작권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위생 일체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등을 담당하였다. 특히 ≪백범일지 白凡逸志≫에 의하면, 1919년 8월김구(金九)가 초대 경무국장이 된 뒤에 경무국은 일제의 정탐을 방지하고, 독립운동자가 일제에 투항하는 것을 막는 사법 경찰의 기능까지 담당하는 등 그 힘이 막강하였다.

농상공국은 농업·어업·광산 및 개간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공업·도량형 및 의장물 특허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상업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사항 등을 관장하였다. 그 밖에도 내무부가 맡아서 국내에 실시한 지방행정 제도로서 연통제(聯通制)가 있었다.

연통제는 1919년 7월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령 제1호 <임시지방연통제>가 공포되면서 시작되었다. 각 도마다 감독부(監督府), 각 군에 총감부(總監府)를 두고, 각 도의 독판(督辨)은 내무총장에 예속되어 총장의 지휘 아래 법령·공문 전달, 독립시위운동 진행을 맡았다. 또한 군인·군속의 징집 및 군수품 운송, 구국금 모금 활동 등을 하였다. 일제의 방해 공작으로 1921년 조직이 파기되기 시작, 활동이 중단되었다.

내무부를 총괄하는 내무총장은 헌정주비위원·선거·지방 자치·경찰·위생·농상 공무·종교·자선에 바카라 드래곤 판다 모든 사무를 관장하였다. 역대 내무총장으로는 안창호(安昌浩)·이동녕(李東寧)·김구·이유필(李裕弼)·조완구(趙琬九)·차이석(車利錫)·조소앙(趙素昻)·홍진(洪震)·신익희(申翼熙) 등이 있었다.

참고문헌

『한국독립운동사자료』 2(국사편찬위원회, 1971)
「대한민국임시정부연구」(이연복, 경희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82)
집필자
이연복(서울교육대학,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