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일 ()

건재선생유집
건재선생유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군사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수원부사, 장례원판결사 등을 역임한 관리 · 의병장.
이칭
사중(士重)
건재(健齋)
시호
문열(文烈)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37년(중종 32)
사망 연도
1593년(선조 26)
본관
언양(彦陽)
주요 관직
수원부사
관련 사건
금령전투|양화도전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천일은 조선시대 수원부사를 역임한 문신이자 의병장이다. 1537년(중종 32)에 태어나 1593년(1593)에 사망했다. 1573년 학행으로 발탁되어 군기시주부, 용안현감, 임실현감 등을 역임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나주무료 슬롯사이트 의병을 일으켰으며, 수원의 독성산성을 거점으로 군사활동을 전개하였다. 1593년 강화협상에 반대하며 행주산성 전투 등에 참가하였다. 서울무료 슬롯사이트 철수한 왜군이 진주성을 공격할 때 관군과 합세하여 항전하다가 순사하였다. 나주의 정렬사, 진주의 창렬사, 순창의 화산서원, 태인의 남고서원, 임실의 학정서원에 제향되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군사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수원부사, 장례원판결사 등을 역임한 관리 · 의병장.
개설
생애 및 활동사항

1573년(선조 6) 학행(學行)으로 발탁되어 처음 군기시주부(軍器寺主簿)가 된 뒤 용안현감(龍安縣監)과바카라 오토프로그램AC15;바카라 오토프로그램C6D0;바카라 오토프로그램D2B9;바카라 오토프로그램BCC4;바카라 오토프로그램C790;바카라 오토프로그램CE58;바카라 오토프로그램B3C4; · 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ACBD;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C0C1;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B3C4;정품 슬롯사이트B3C4;정품 슬롯사이트C0AC;를 역임무료 슬롯사이트.서닉 카지노C9C0;서닉 카지노D3C9;때에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18C;를 올려 시폐를 적극 논란하다가 좌천되어 임실현감이 되었다. 그 뒤 담양부사 · 한성부서윤 · 수원부사를 역임무료 슬롯사이트.

1592년바카라 꽁 머니C784;바카라 꽁 머니C9C4;바카라 꽁 머니C65C;바카라 꽁 머니B780;이 일어나 적의 대군이 북상해 서울이 함락되고바카라 따거C120;바카라 따거C870;이 서행(西幸)했다는 소식에 접하자바카라 보너스 기준ACE0;바카라 보너스 기준ACBD;바카라 보너스 기준BA85; · 온라인 카지노 사이트BC15;온라인 카지노 사이트AD11;온라인 카지노 사이트C625; · 슬롯사이트 볼트CD5C;슬롯사이트 볼트ACBD;슬롯사이트 볼트D68C;등에게 글을 보내 창의기병(倡義起兵)할 것을 제의하는 한편,바카라 시뮬레이션B2F4;바카라 시뮬레이션C591;바카라 시뮬레이션AD70;무료 슬롯사이트 고경명 등과도 협의하였다.

그 뒤 나주무료 슬롯사이트무료 슬롯사이트C1A1;무료 슬롯사이트C81C;무료 슬롯사이트BBFC; · 카지노 민회장C591;카지노 민회장C0B0;카지노 민회장C219;· 박환(朴懽) 등과 함께 의병의 기치를 들고 의병 300명을 모아 북쪽으로 출병무료 슬롯사이트.

한편,토토 가상계좌 반환ACF5;토토 가상계좌 반환C8FC;토토 가상계좌 반환C2DC;무료 슬롯사이트카지노 게임 종류C870;카지노 게임 종류D5CC;과 호서 지방 무료 슬롯사이트에 관해 협의하고는 곧무료 슬롯사이트C218;무료 슬롯사이트C6D0;무료 슬롯사이트C2DC;에 도착하였다. 북상할 때 수원의 연도무료 슬롯사이트 스스로 의병에 참가한 자와 또 호서 방면무료 슬롯사이트 모집한 숫자가 크게 늘어나자 군세는 사기를 떨쳤다.

수원의 독성산성(禿城山城)을 거점으로 본격적인 군사 활동을 전개, 유격전으로 개가를 올렸다. 특히, 금령전투(金嶺戰鬪)무료 슬롯사이트는 일시에 적 15명을 참살하고 많은 전리품을 노획하는 대전과를 올렸다.

8월 전라병사에스피드 바카라 사이트CD5C;스피드 바카라 사이트C6D0;의 관군과 함께카지노 룰렛AC15;카지노 룰렛D654;카지노 룰렛B3C4;로 진을 옮겼다. 이 무렵 조정으로부터 창의사(倡義使)라는 군호(軍號)를 받고 장례원판결사(掌禮院判決事)에 임명되었다.

강화도에 진을 옮긴 뒤 강화부사 · 전라병사와 협력해 연안에 방책(防柵)을 쌓고 병선을 수리해 전투 태세를 재정비무료 슬롯사이트. 강화도는 당시 조정의 명령을 호남 · 호서에 전달할 수 있는 전략상의 요충지였다.

9월에는 통천(通川) · 양천(陽川) 지구의슬롯사이트 보스C758;슬롯사이트 보스BCD1;까지 지휘했고 매일같이 강화 연안의 적군을 공격했으며, 양천 · 김포 등지의 왜군을 패주시켰다.

한편, 전라병사 · 경기수사 · 충청병사, 추무료 슬롯사이트장(秋義兵將)바카라 프로그램C6B0;바카라 프로그램C131;바카라 프로그램C804;등의 관군 및 의병과 합세해 양화도전투(楊花渡戰鬪)무료 슬롯사이트 대승을 거두었다. 또한, 일본군의 원릉(圓陵) 도굴 행위도 막아 이를 봉위하기도 하였다.

다음 해인 1593년 정월 명나라 군대가평바카라 두바이591;바카라 두바이2DC;을 수복,개카지노 사이트131;카지노 사이트2DC;으로 진격할 때 이들의 작전을 도왔으며, 명 · 일간에 강화가 제기되자 반대 운동을 전개무료 슬롯사이트. 서울이 수복되어 굶주리는 자가 속출하자 배로 쌀 1,000석을 공급해 구휼무료 슬롯사이트.

전투무료 슬롯사이트도 경기수사 · 충청수사와 함께 선유봉(仙遊峯) 및 사현전투(沙峴戰鬪)무료 슬롯사이트 다수의 적을 참살, 생포하고 2월에는카지노 찰리AD8C;카지노 찰리C728;바카라 시뮬레이션D589;바카라 시뮬레이션C8FC;바카라 시뮬레이션B300;바카라 시뮬레이션CCA9;에 강화도로부터 출진해 참가하였다. 이들 의병은 강화도를 중심으로 장기간의 전투무료 슬롯사이트 400여 명의 적을 참살하는 전공을 세웠다.

1593년 4월 왜군이 서울무료 슬롯사이트 철수하자 이를 추격,바카라 토토를 거쳐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D568;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C548;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AD70;에 이르렀다. 이 때 명 · 일강화가 추진 중인데도 불구하고 남하한 적군의 주력은바카라 룰BC00;바카라 룰C591;바카라 룰C2DC;부근에 집결, 동래 · 김해 등지의 군사와 합세해파라오 슬롯C9C4;파라오 슬롯C8FC;파라오 슬롯C804;파라오 슬롯D22C;의 패배를 설욕하기 위한우리 카지노C9C4;우리 카지노C8FC;우리 카지노C131;공격을 서두르고 있었다.

이에 6월 14일 300명의 무료 슬롯사이트을 이끌고 입성하자 여기에 다시 관군과 무료 슬롯사이트이 모여들었다. 합세한 관군 · 무료 슬롯사이트의 주장인 도절제(都節制)가 되어 항전 태세를 갖추었다.

10만에 가까운 적의 대군이 6월 21일부터 29일까지 대공세를 감행하자 아군은 중과부적임에도 분전했으나 끝내 함락되고 말았다. 이에 아들 김상건(金象乾)과 함께카지노 주사위 게임D09;카지노 주사위 게임11D;루무료 슬롯사이트바카라 시스템배팅B0A8;바카라 시스템배팅AC15;에 몸을 던져 순사무료 슬롯사이트.

상훈과 추모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난중잡록(亂中雜錄)』
『수은집(睡隱集)』
『계곡집(谿谷集)』
『건재집(健齋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징비록(懲毖錄)』
『임진전란사』 중(이경석, 임진전란사간행회, 신현실사, 1974)
『임란무료 슬롯사이트장 김천일연구』(조원래, 학문사, 1982)
「임진왜란과 호남무료 슬롯사이트」(송정현, 『역사학연구』 Ⅳ, 전남대학교사학과, 1972)
「김천일의 무료 슬롯사이트활동과 그 성격」(조원래, 『사학연구』 31, 1980)
「全羅道義兵について」(貫井正之, 『朝鮮歷史論集』 上, 1979)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김석희(부산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