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정의 난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사건
780년(혜공왕 16) 2월에 이찬 김지정이 일으킨 반란.
사건/사회운동
발생 시기
780년(혜공왕 16) 2월
종결 시기
780년(혜공왕 16) 4월
관련 국가
통일신라
관련 인물
혜공왕|김지정|김양상|김경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지정(金志貞)의 난(亂)은 780년(슬롯사이트 업 16) 2월에 이찬 김지정이 일으킨 반란이다. 궁궐을 포위하였다가 같은 해 4월 상대등 김양상과 이찬 김경신의 군대에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와중에 슬롯사이트 업과 왕비가 살해되었다. 진압을 주도한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하면서 중대가 끝나고 하대가 시작된다.

목차
정의
780년(혜공왕 16) 2월에 이찬 김지정이 일으킨 반란.
내용

카지노 양상수0BC;국카지노 양상수0AC;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780년(슬롯사이트 업 16) 2월에토스 카지노C774;토스 카지노CC2C;김지정이 반란을 일으켜, 무리를 모아서 궁궐을 포위하여 범하였다고 한다. 그 원인으로 왕이 어려서 즉위하였는데 장성하자 음악과 여색에 빠져 돌아다니며 노는 데 절도가 없고 기강이 문란해지니,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나 인심이 등을 돌렸음을 들었다.

4월에무료 슬롯 사이트C0C1;무료 슬롯 사이트B300;무료 슬롯 사이트B4F1;김양상(金良相)과 이찬사설 카지노C6D0;사설 카지노C131;사설 카지노C655;이 군대를 일으켜 김지정 등을 죽였으나, 왕과 후비(后妃)는 난 중에 살해되었다고 기록하였다.

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C0BC;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AD6D;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C720;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C0AC;』 「경덕왕 · 충담사 · 표훈대덕조」에는 나라에 큰 난리가 일어나자혜공모바일 바카라655;바카라 꽁머니 사이트C120;바카라 꽁머니 사이트B355;바카라 꽁머니 사이트C655;과 김양상(金良相)에게 살해된 것으로 나온다.

슬롯사이트 업 대는 768년(슬롯사이트 업 4) 7월바카라 사이트 디시C77C;바카라 사이트 디시AE38;바카라 사이트 디시CC2C; 무료 슬롯사이트B300;무료 슬롯사이트ACF5;사설 카지노C544;사설 카지노CC2C; 2025년 슬롯사이트B300;2025년 슬롯사이트B834;형제의 반란과96토토 롤링AC01;토토 롤링AC04;토토 롤링C758; 토토 롤링B09C;, 770년(슬롯사이트 업 6)바카라사이트B300;바카라사이트C544;바카라사이트CC2C;김융(金融)의 반란, 775년(슬롯사이트 업 11) 6월카지노 룰렛AE40;카지노 룰렛C740;카지노 룰렛AC70;의 반란 등 고위층들의 반란이 연이어 발생한 혼란기였다.

김지정의 난은 슬롯사이트 업 대 반란의 마지막 결정타로서, 슬롯사이트 업과 왕비의 살해로 귀결되었다. 이후 김지정의 난 진압을 주도하였던 상대등 김양상이 선덕왕(宣德王)으로 즉위하면서 『삼국사기(三國史記)』의 시대 구분상 중대(中代)가 끝나고 하대(下代)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게 된다. 김지정의 가계(家系)나 구체적 인적 사항 및 반란 이외의 행적은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일조각, 1974)

논문

이상훈, 「신라 하대 왕위계승전과 사병의 확대」(『신라사학보』 48, 신라사학회, 2020)
전덕재, 「신라 惠恭王의 弑害와 歷史的 評價에 대한 考察」(『新羅文化祭學術發表論文集』 39, 2018)
이문기, 「신라 슬롯사이트 업대 오묘제 개혁의 정치적 의미」(『백산학보』 52, 백산학회, 199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사이트 업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사이트 업]'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