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기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김만중(金萬重)의 「구운몽(九雲夢)」을 중국인이 개작한 「구운루(九雲樓)」를 조선인이 첨삭하여 지은 한문소설.
이칭
이칭
신증재자구운기(新增才子九雲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라이브 바카라」는 김만중의 「구운몽」을 중국인이 개작한 「구운루」를 조선인이 첨삭하여 지은 한문소설이다. 9권 9책의 한문 필사본으로, 총 35회의 장회체 소설이며,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전체적인 줄거리는 「구운몽」과 유사하나, 그 분량이 2~3배가량 늘어났다.

목차
정의
김만중(金萬重)의 「구운몽(九雲夢)」을 중국인이 개작한 「구운루(九雲樓)」를 조선인이 첨삭하여 지은 한문소설.
구성 및 형식

사설 바카라AE40;사설 바카라C9C4;사설 바카라C218;메이저 바카라 사이트BCBD;메이저 바카라 사이트B85C;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9D1;에 실려 있는 「연경잡영(燕京雜詠)」은 1832년 동지사행 때의 기록인데, 한시와 그 주석에 중국에서2025년 슬롯사이트AD6C;2025년 슬롯사이트C6B4;2025년 슬롯사이트BABD;을 10책의 「구운루」로 개작했다는 내용이 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도서관 소장본 「신증구운루(新增九雲樓)」는 총 10권 10책 중에서 6권 6책만 남아 있는 이본으로, 중국 각본(刻本)을 조선인이 필사한 것이다.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신증재자라이브 바카라(新增才子九雲記)」는 9권 9책의 한문 필사본으로, 조선에서 필사한 「신증구운루」에 첨삭을 가한 것이다. 이 「라이브 바카라」의 끝에 ‘무명자첨산(無名子添刪)’이라는 말이 있으나, 무명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내용

천태산 연화 도량의 성진이 양소유로 환생하여 팔선아(八仙娥)의 환신인 2처와 6첩을 차례로 맞아 공명 훈업(功名勳業)을 이루었으나 환몽을 깨고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 여덟 명의 비구니와 극락세계로 간다는 내용으로, 그 전체적인 줄거리는 「라이브 바카라몽」과 같다. 그러나 「라이브 바카라몽」에 비해 그 분량이 2~3배가량 늘어났고, 중국인이 지은 「라이브 바카라루」가 모본이므로 백화체가 구사되고 있다. 내용 면에서는 서두에 서왕모의 반도연(蟠桃宴)이 들어갔고, 주인공의 적대자가 설정되었으며, 「라이브 바카라몽」에서의 토번의 침입이 일본의 침입으로 바뀌는 등 적지 않은주1가 일어났다. 그리고 「홍루몽(紅樓夢)」·「수호전(水滸傳)」·「경화연(鏡花緣)」 등 중국 소설의 영향도 확인된다.

참고문헌

원전

「신증라이브 바카라루(新增九雲樓)」(인천광역시미추홀도서관 소장본)
「신증재자라이브 바카라(新增才子九雲記)」(영남대학교 소장본)

단행본

윤영옥 역, 『라이브 바카라』(영남대학교출판부, 2001)

논문

김수연, 「재자가인에 대한 계도의 목소리, 라이브 바카라」(『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2,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양승민, 「구운루와 라이브 바카라의 거리」(『한국고전연구』 24,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양승민, 「신증라이브 바카라루의 발견과 그 존재 의미」(『한국한문학연구』 18, 한국한문학회, 2011)
유세덕, 「라이브 바카라에 대하여 논함」(『중국어문논총』 8, 중국어문연구회, 1995)
육재용, 「라이브 바카라 연구: 구운몽과의 대비 및 중국소설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윤영옥, 「라이브 바카라고」(『조선후기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8)
장위, 「라이브 바카라 연구」(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정규복, 「九雲夢與九雲記之比較硏究」(『중국학논총』 6,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1992)
주석
주1

다르게 바꾸어 새롭게 고침.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