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은 Crepidiastrum sonchifolium (Maxim.) Pak & Kawano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 · 『제물보(㐧物譜)』 · 『물명고(物名攷)』 · 『명물기략(名物紀略)』에서는 ‘고채(苦菜)’라 하였다. 『명물기략』에는 “고채는 고도(苦荼)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고독바기가 되었다. 고들빼기의 대궁을 자르면 흰 즙이 나오는데, 이것을 사마귀에 떨어뜨리면 저절로 떨어진다. 이 흰 즙이 젖과 비슷하여 젖나물이라고 한다.”고 명칭의 유래를 밝히고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산기슭 · 들 · 밭두둑 · 길가에 자생한다. 키는 80㎝ 정도이며, 줄기는 적자색을 띤다.
뿌리부근에서 나는 잎은 털이 없고 타원형이며, 길이 2.5∼5㎝, 너비 14∼17㎜ 정도이고, 잎의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져 있으며 잎자루는 없고, 잎의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청색이다.
줄기에 나는 잎은 난형이고, 길이가 2.3∼6㎝ 정도이며, 밑이 넓어져서 줄기를 감싼다. 잎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가을에 피며, 화관(花冠)은 황색이고 끝이 갈라지며, 통부(筒部)는 길이가 1.5∼2㎜ 정도이다. 열매는 검고 수과(瘦果: 모양이 작고 익어도 터지지 않으며 한 개의 씨를 갖는 열매)이며 편평한 원추형이다.
식용할 때는 4월경에 어린잎을 채취하여 데친 다음, 무쳐서 나물로 먹기도 하며 김치를 담가 먹기도 한다. 특히, 전라도지방의고들빼기김카지노 룰렛 확률E58;가 유명하다. 물에 2, 3일 동안 담가서 쓴맛을 우려낸 다음 이용한다.
어린잎 100g에는 단백질 1.8g, 지질 0.5g, 탄수화물 4g, 섬유질 1.2g, 칼슘 120㎎, 철 3㎎, 카로틴 1.7㎎, 비타민 B1 0.03㎎, 비타민 B2 0. 18㎎,비타민 C 12㎎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고들빼기의 채취량은 감소하는 데 반하여 수요량은 더욱 증가하고 있어 요즈음은 인공재배를 많이 하고 있다.
고들빼기속(屬)에 속하는 이고들빼기 · 까치고들빼기 · 지리고들빼기 등도 고들빼기로 통칭되며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