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잠과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1767년(영조 43), 영조의 친경례(親耕禮)와 정순왕후의 친잠례(親蠶禮)를 기념하여 시행한 과거 시험.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1767년(영조 43)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경잠과는 1767년(영조 43), 영조의 친경례(親耕禮)와 정순왕후의 친잠례(親蠶禮)를 기념카지노사이트 시행한 과거 시험이다. 경잠과는 1767년에 단 한 번 실시되었다. 1767년 3월 11일에 시행카지노사이트 문과에서는 김문순(金文淳) 등 3명, 무과에서는 강복린(姜福麟) 등 264명을 뽑았다.

목차
정의
1767년(영조 43), 영조의 친경례(親耕禮)와 정순왕후의 친잠례(親蠶禮)를 기념하여 시행한 과거 시험.
내용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601;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870;대에는 기존에 있던 제도 가운데 한동안 시행하지 않은 국가 의례를 복구카지노사이트 시행하는 일이 잦았다. 그중 하나가 1767년(영조 43년)에 실시한카지노 슬롯머신 게임CE5C;카지노 슬롯머신 게임ACBD;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E5C;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7A0;이다. 친경은 왕이 몸소 농사를 짓는 모범을 보이는 국가 의례이며, 친잠은 왕비가 직접 누에치기의 모범을 보이는 국가 의례이다.

영조가주1에서 친경례를 거행하는 한편샌즈 카지노 사이트C815;샌즈 카지노 사이트C21C;샌즈 카지노 사이트C655;샌즈 카지노 사이트D6C4;는 경복궁에서 친잠례를 거행카지노사이트 친잠례를 복구하였다. 영조는 이전에도 친경례를 행한 적이 있지만 왕비가 친잠례를 거행한 것은 1620년(광해군 12년) 이후 처음이었다.

1767년 2월 26일에 친경례를 거행하고, 3월 10일에 친잠례를 거행한 뒤에 두 행사를 함께 기념카지노사이트 3월 11일에토토 롤링 디시C815;토토 롤링 디시C2DC;문무과를 시행하였다. 영조는 특별히 이 시험에 ‘경잠과(耕蠶科)’라는 이름을 붙였다.

친경과 친잠 행사가 끝난 뒤 왕이 참석한 가운데 행차에 참여한 유생과 병사들을 상대로 시험을 시행하였다. 문과는무료 슬롯 사이트ACBD;무료 슬롯 사이트D76C;무료 슬롯 사이트AD81;숭정문에서 시행카지노사이트메이저 바카라AE40;메이저 바카라BB38;메이저 바카라C21C;등 3명을 뽑았고, 무과는 경희궁 건명문과토토 커뮤니티BAA8;토토 커뮤니티D654;토토 커뮤니티AD00;에서 나누어 시행카지노사이트 강복린(姜福麟) 등 264명을 뽑았다. 3월 15일에 경희궁주2에서 합격증서인꽁 머니 카지노D64D;꽁 머니 카지노D328;카지노 주사위 게임C5B4;카지노 주사위 게임C0AC;카지노 주사위 게임D654;등을 나누어 주는 방방례(放榜禮)를 거행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무과총요(武科總要)』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영조실록(英祖實錄)』

인터넷 자료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주석
주1

고려ㆍ조선 시대에, 신농씨(神農氏)와 후직씨(后稷氏)에게 풍년이 들기를 빌던 제단. 서울 동대문 밖에 있었다.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경희궁 안에 있던 정전(正殿). 임금이 신하로부터 조하(朝賀)를 받던 곳이다. 1926년 지금의 동국대학교 자리로 옮겼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카지노사이트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