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원수(副元帥)
고려시대의 군사지휘관. # 내용
고려 전기에는 상설 관직이 아니었고, 유사시에 5군(五軍) 또는 3군(三軍)이 편성되면 원수와 함께 설치되어 5군이나 3군 전체를 지휘하는 사령부를 구성하였다. 그러다가 1374년(공민왕 23)탐라(耽羅)를 정벌할 때 양광·전라·경상도도통사(都統使) 최영(崔瑩)의 지휘 아래 양광도·경상도·전라도의 상원수(上元帥)와 부원수(副元帥)를 각각 1인씩 배속시키면서 원수직을 상설직으로 개편하였다.
이 때 상원수와 부원수는 도명(道名)을 관칭하며 해당 도에서 징발한 군사들을 지휘하였다. 조금 뒤에는 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