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본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저자가 처음으로 작성했던 원고에 해당하는 글이나 책.
이칭
이칭
초고본(草稿本), 초고(草稿), 초안(草案), 원고본(原稿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草本)은 저자가 글이나 문서를 작성할 때 처음으로 작성했던 원고, 문서, 책, 지도, 그림 등이다. 2단계 이상의 과정을 거쳐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이 2단계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초슬롯사이트 소닉 추천(初草本)-중슬롯사이트 소닉 추천(重草本), 3단계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초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중슬롯사이트 소닉 추천(中草本)-정슬롯사이트 소닉 추천(正草本)의 용어가 사용되었다. 원고나 문서의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 제작 이외에도 초상화, 지도 등 그림 제작 과정에서도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 제작이 이루어졌다.

키워드
목차
정의
저자가 처음으로 작성했던 원고에 해당하는 글이나 책.
내용

저자가 원고나 문서를 작성할 때 가장 처음으로 쓴 것을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草本)이라 한다. 완성되지 않은 원고나 문서이며, 정식으로 공개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은 미완성의 원고본이지만, 누군가의 편집이나 내용의 추가 · 삭제 등이 진행되기 이전인 원형 그대로의 상태이므로, 문헌학적으로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특히, 책의 저자나 문서 작성자의주1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저자 또는 작성자의 생각과 의도가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가치가 있다. 문서의 경우에는 완성된 원본을 만들기 이전에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을 작성하였고,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에는 문구를 수정하거나 고친 흔적이 있는 경우가 많다. 원고나 문서의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인 경우에는 초고본(草稿本), 초고(草稿), 초안(草案), 원고본(原稿本) 등으로도 불린다.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은 단계에 따라 용어가 달리 사용되었다.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을 2단계로 구분하여 작성한 경우에는 가장 먼저 초를 잡은 원고를 초슬롯사이트 소닉 추천(初草本)이라 하고, 초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을 수정한 경우 중슬롯사이트 소닉 추천(重草本)이라 하였다.바카라 롤링C870;바카라 롤링C120;바카라 롤링C655;바카라 롤링C870;바카라 롤링C2E4;바카라 롤링B85D;주2과정에서는 3단계로 구분하여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을 작성하였다.레고카지노CD98;레고카지노CD94;레고카지노AD00;무료 슬롯 사이트C2DC;무료 슬롯 사이트C815;무료 슬롯 사이트AE30;등 각종 자료에서 중요한 사실을 뽑아 초슬롯사이트 소닉 추천(初草本)을 작성하고, 초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의 내용을 추가 · 삭제 · 수정하여 중슬롯사이트 소닉 추천(中草本)을 작성하였으며, 중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의 잘못된 부분을 재수정하여 정슬롯사이트 소닉 추천(正草本)을 만들었다. 즉 2단계인 경우에는 초슬롯사이트 소닉 추천과 중슬롯사이트 소닉 추천(重草本)이라 하였고, 3단계인 경우에는 초슬롯사이트 소닉 추천, 중슬롯사이트 소닉 추천(中草本), 정슬롯사이트 소닉 추천 등의 용어가 사용되었다.

초상화 등의 그림을 그릴 때에도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을 만드는 과정을 거쳤다. 초상화, 불화, 지도 등 작품의 틀을 구상하면서 처음 그리는 그림을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이라고 하였다. 초상화의 경우, 초상화 제작의 시작 단계에 인물을 묘사하는 밑그림을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이라 하고, 지도의 경우에도 지도 제작의 시작 단계에서 그린 미완성의 상태를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이라 하였다.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이 제작되고 수정과 보완을 거쳐 초상화와 지도 등의 그림이 완성되면 이를 정본(正本)이라 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천혜봉, 『한국서지학』(민음사, 2006)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열린박물관, 2007)
박성호 외, 『한국고문서입문』 1(국사편찬위원회, 2020)

논문

이수미, 「조선후기 초상화 슬롯사이트 소닉 추천의 유형과 그 표현기법」(『미술사학』 24,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0)
주석
주1

글씨의 모양이나 솜씨.우리말샘

주2

고쳐서 바로잡거나 다시 만듦.우리말샘

집필자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