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재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목판에 글을 새겨 간행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서적을 출판한다는 의미.
이칭
이칭
상재(上榟), 침재(鋟梓), 기궐(剞劂), 등재(登梓)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상재(上梓)는 가래나무[梓]에 문자를 올려 새겼다는 뜻으로 출판을 뜻하는 단어이다. 가래나무는 목판본 간행에 좋은 재료이기에 예로부터 목판본의 판목으로 사용되었다. 상재는 판목 위에 글자를 올려 판각한다는 슬롯로 결국 출판을 가리킨다. 좁은 슬롯로는 목판본의 간행을 슬롯하며, 더 좁게는 서책 간행 과정에서 목판에 글자를 새기는 판각 과정을 슬롯한다. 반면, 넓은 슬롯로는 목판본부터 활자본 및 현대 출판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서적을 출판한다는 슬롯를 갖는다.

키워드
목차
정의
목판에 글을 새겨 간행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서적을 출판한다는 의미.
내용

상재(上梓)의 ‘재(梓)’는바카라 대출 디시AC00;바카라 대출 디시B798;바카라 대출 디시B098;바카라 대출 디시BB34;를 슬롯한다. 그러나 『강희자전(康熙字典)』에서는 ‘속위침문서어판왈재(俗謂鋟文書於板曰梓)’라 하여 나무판과 같은 판목에 글씨나 문양을 새기는 것을 ‘재(梓)’라 하였다. 가래나무는 목판본 간행에 적합한 재료이기에 예로부터 목판본의 판목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상재는 판목 위에 글자를 올려 판각한다는 뜻으로 출판을 슬롯한다.

넓은 슬롯로는 책판으로 인쇄하는 목판본뿐만 아니라 금속활자를 포함한 활자본 등 다양한 형태의 서적을 출판한다는 슬롯로 사용되었다. 반면 좁은 슬롯로는 목판본 간행을 슬롯하며, 이보다 더 협의적 슬롯로는 서책의 간행 과정에서 완성된 원고의 내용을 목판에 판각하는 마지막 과정을 슬롯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의 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윤행임(尹行任) 등 각신들에게파라오 슬롯C774;파라오 슬롯B355;파라오 슬롯BB34;가 편집한 원고의 오류를 교정하게 하고, 교정된 원고를 규장각에 보내 다시 대조하고 교정하게 하였다. 교정이 끝난 원고는 선사(繕寫) 후 상재(上梓)하였다. 이는 깨끗하게 필사한 원고를 판목에 붙여 판각하였다는 슬롯이다. 이 기록으로 볼 때, 판각용 원고(등재본)를 목판에 붙여 글자를 새기는 과정을 상재로 본 것이다.

상재와 유사한 용어로는 등재(登梓), 침재(鋟梓), 기궐(剞劂) 등이 있다. 침재의 ‘침(鋟)’자는 조각칼로 무엇인가를 새기는 행위를 뜻하며, 가래나무 등의 판목에 문자를 새긴다는 슬롯에서 상재와 동일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고려 말의슬롯 머신 프로그램C774;슬롯 머신 프로그램C0C9;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BBFC;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C0AC;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D3C9;의 『급암시집(及菴詩集)』에 발문[跋]을 써준 일이 있었다. 당시 민사평의 문인인 이이(李頤)가 경상도 안찰사로 가면서 1370년에 스승의 시집을 간행할 수 있었는데, 이색이 시문집을 간행하는 일을 ‘침재지공(鋟梓之功)’이라 표현한 것을 보면 이른 시기부터 ‘침재’가 서적을 간행하는 뜻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밖에 ‘기궐’의 ‘기(剞)’와 ‘궐(剞)’은 나무 또는 돌 등에 글자를 새기는 조각칼을 슬롯하는 것으로 두 글자가 합쳐져 출판한다는 슬롯를 갖는다. 더불어주1는 글자를 새기는 사람, 즉 판각 기술자를 슬롯하는 말로 쓰였다.

참고문헌

원전

『강희자전(康熙字典)』
『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
『급암시집(及菴詩集)』

단행본

천혜봉, 『한국서지학』(민음사, 2006)
서지학개론 편찬위원회, 『서지학개론』(한울아카데미, 2018)
주석
주1

인쇄할 목적으로 나무 판에 글자를 전문적으로 새기는 사람.우리말샘

집필자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