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불화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
부여 무량사 미륵불괘불탱
회화
개념
석가모니가 입멸한 뒤 이 세상에 하생하여 중생들을 제도하는 미륵불을 그린 그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석가모니가 입멸한 뒤 이 세상에 하생하여 중생들을 제도하는 미륵불을 그린 그림.
내용 및 특징

사회가 불안하고 나라가 혼란할 때 사람들은 새로운 지상낙원을 꿈꾸는데, 이러한 사람들에게 메시아이자 미래불로 신앙되던 부처가 곧 꽁 머니 카지노 3 만이다. 인도 시크리에서 2세기 후반의 꽁 머니 카지노 3 만상이 출토된 것으로 볼 때 인도에서는 2∼3세기경 꽁 머니 카지노 3 만신앙이 꽤 활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신앙은 4세기에 이르러 축법호(竺法護)가 『불설꽁 머니 카지노 3 만하생경(佛說彌勒下生經)』을 한역한 이후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전파되었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은 삼국시대부터 열렬히 신앙되어 통일신라시대에는 꽁 머니 카지노 3 만을 주존으로 하는 법상종(法相宗)이 성립되었으며, 불교 조각과 회화로도 널리 조성되었다. 삼국시대에는 꽁 머니 카지노 3 만상생신앙의 유행으로 꽁 머니 카지노 3 만보살반가사유의 도상이, 통일신라시대 이후에는 꽁 머니 카지노 3 만하생신앙의 유행으로 꽁 머니 카지노 3 만하생과 꽁 머니 카지노 3 만설법의 도상이 유행하였다. 고려시대에도 법상종이 융성하였는데, 법상종은 현종 대(顯宗代) 현화사(玄化寺)의 창건과 더불어 화엄종과 함께 2대 종파로 급부상하였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신앙은 꽁 머니 카지노 3 만상생신앙(彌勒上生信仰)과 꽁 머니 카지노 3 만하생신앙(彌勒下生信仰)의 두 가지로 나뉜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상생신앙은 『관꽁 머니 카지노 3 만보살상생도솔천경(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에 근거하여 사후 꽁 머니 카지노 3 만보살이 있는 도솔천에 태어나 쾌락을 얻고 윤회전생(輪回轉生)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일종의 정토신앙이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하생신앙은 56억 7천만 년이라는 먼 미래세에 꽁 머니 카지노 3 만보살을 따라 하생하여 용화수 아래의 3회 설법에 참가하여 제도 받고자 하는 것으로, 『꽁 머니 카지노 3 만대성불경(彌勒大成佛經)』과 『꽁 머니 카지노 3 만하생경(彌勒下生經)』을 근간으로 한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불의 도상적 특징은 의자에 앉아 두 다리를 나란히 늘어뜨린 모습이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협시는 경전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청광보살(淸光菩薩)과 신광보살(神光菩薩)이라고 하며 대묘상보살(大妙相菩薩)과 법림보살(法臨菩薩)이라고도 한다. 밀교 경전인 『백보구초(白寶口抄 : 일본의 료손이 편찬한 밀교 경전으로 각 존상의 도상법에 관해 자세하게 적혀 있다)』에는 법음륜보살(法音輪菩薩)과 대묘상보살이라 기록되어 있다. 보림사 사천왕상(1515년)에서 출토된 『염불작법(念佛作法 : 1575년 간행된 염불의식집)』에는 대묘상보살과 법림보살로 기록되어 있다. 또 1678년 장곡사 꽁 머니 카지노 3 만괘불에는 대묘상보살과 법림보살로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일반적으로 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협시는 대묘상보살과 법림보살로 인식되었던 듯 하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불화는 크게 꽁 머니 카지노 3 만정토변상(彌勒淨土變相)과 꽁 머니 카지노 3 만하생도(彌勒下生圖), 꽁 머니 카지노 3 만내영도(彌勒來迎圖)의 세 가지 형식으로 나뉜다.

참고문헌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돌베개, 201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은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