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 기린흉배 ( )

목차
관련 정보
흥선대원군 기린 흉배
흥선대원군 기린 흉배
의생활
유물
국가유산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상복(常服) 단령(團領)에 달았던 기린(麒麟)이 수놓인 흉배.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흥선대원군 바카라흉배(興宣大院君 麒麟胸背)
분류
유물/생활공예/복식공예/의복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79년 01월 26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0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상복(常服) 단령(團領)에 달았던 기린(麒麟)이 수놓인 흉배.
개설

카지노 바카라B2E8;카지노 바카라B839;없이샌즈 카지노 사이트D749;샌즈 카지노 사이트BC30;1쌍이 1979년 1월 23일국가민바카라사이트18D;문화바카라사이트720;바카라사이트0B0;(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어국슬롯사이트9BD;중앙슬롯사이트C15;슬롯사이트B3C;관에 소장되어 있다.

흉배는 관리의 관복 단령 앞뒷면에 부착하여 품계를 나타내는 표식이다.토토 카지노ACBD;토토예전(禮典)에 의하면 바카라흉배는바카라사이트B300;바카라사이트AD70;의 예우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레고카지노C774;레고카지노D558;레고카지노C751;은 바카라흉배가 대군의 것이기 때문에주1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서인지 1895년(고종 32)부터는 거북흉배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 바카라흉배는 흥선대원군이 적어도 1895년 이전 시기에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비슷한 바카라흉배가 1987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흥선대원군 자적단령에 부착되어 있는데, 이 흉배에 비하여 바카라의 표현방법이 정교하지 못하고 크기도 작아 좀 더 후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바카라은 일종의 상상의 동물로서중국의 『고금도화집성(古今圖畵集成)』에서는 바카라에 대해 ‘산 풀을 밟지 않는 어진 짐승으로 그 모습은 사슴의 몸, 소의 꼬리, 이리의 이마, 말의 발굽을 하고 있으며, 머리에 살로 돋아난 뿔이 있고 털은 5색이며 배 바닥은 누런 털이 수북하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함께 수록된 바카라 그림과 이 흉배의 바카라이 매우 흡사하다.

내용

바카라흉배는 단령의 앞뒷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1쌍으로 되어 있다. 몸 전체가 비늘 모양으로 되어 있는 바카라 한 마리가 구름을 헤치고 발굽을 모아 질주하고 있는 모습 아래 바위와 물결 등을 배치하였다.주2 주3에 금사 · 은사로 바카라과 장생문을 수놓았다. 크기는 가로 21.5㎝, 세로 23㎝로 수가 정교하며 치밀하게 문양이 배치되어 있다. 자수 방법은 굵고 가는 금사와 은사를 사용하여주4으로 구름과 바카라을 표현하였다. 가장자리에는 여러 줄의 가는 금사(金絲)를 사용하여 징금수법으로 선을 둘렀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문화재청, 2006)
『명선(名選)』중(中)(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한국전통복식사연구(韓國傳統服飾史硏究)』(고복남, 일조각, 1986)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 -중요민속자료편(重要民俗資料篇) 하(下)-』(문화재관리국, 1986)
주석
주1

임금이 대를 이을 자손이 없어, 방계(傍系)로서 왕위를 이은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던 벼슬.우리말샘

주2

청금석의 빛깔과 같이 검은색을 띤 푸른색.우리말샘

주3

구름무늬를 놓은 비단.우리말샘

주4

무늬를 듬성듬성 징그면서 수놓는 법. 또는 그 수.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바카라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바카라]'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